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코리빙하우스 주거만족도 영향에 관한 연구 : 코로나 19상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co-living house : with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31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ared housing has been supplied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emergence of housing poverty problems for young peopl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hared housing that shares space with neighbors, privacy problems and...

      Shared housing has been supplied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emergence of housing poverty problems for young peopl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hared housing that shares space with neighbors, privacy problems and housing management problems have arise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end to prefer work and various cultural activities other than residential functions in their homes due to COVID-19, and Co-living House has begun to be introduced in Korea to solve such problem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two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for residents of Co-living House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housing satisfac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supply Co-living House. The study targets were analyzed for Mangrove Sungin , Share one Yeoksam 2, Share one Sillim, Jangan Life, and Anam Life. First, the effect of Co-living Hous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analyzed. First, looking 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arget site, the majority of women in their 20s were in all five target si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five target sites, the difference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arget sit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average difference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ayout by floor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average difference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pply entity was found to have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in private supply, a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by supply entity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 93 -
      the impact of living hous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ccess to schools and 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erms of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monthly rent and management fee levels had a significant effect in econom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e more satisfied the protection of personal privacy, the highe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 term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more satisfied the size of personal space and the walking path, the highe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relation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neighborhood relationship increased, and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more residents who lived on a monthly rent than those who rented a living house.
      Due to the nature of the Co-living House, which supplies monthly rent cheaper than ordinary houses, residents who previously lived on monthly rent seem to be satisfied with monthly rent and administrative expen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housing satisfaction by supply entity, residents of Co-living House supplied by private compani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living House than with loc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living hous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living hous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ow monthly rent, management fee, and accessibility to schools and work places, and that personal privacy was protected and the size of personal space and the use of various shared spaces. The Co-living House, which will be supplied in the future, is limited to Seoul, so there is a need to be supplied at a low monthly rent to various regions rather than to supply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ize of personal space and privacy protection, and to configure a share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Second, Co-living House supplied by the private sector was not cheaper than Co-living House supplied by the public, but the functions and sizes of various shared spaces were significant in residentia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Co-living House to be supplied in the future needs to be designed in harmony so that only shared spaces are emphasized or monthly rent is not emphasized by combining the location of the public supply Co-living House and the advantages of low monthly rent and various shared spaces and personal privacy prot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쉐어하우스와 같은 공유주택은 최근 1인가구 증가와 함께 청년들의 주거빈곤문 제가 대두되면서 공급 되고 있다. 하지만 공간을 이웃과 함께 공유하는 공유주거 의 특성상 사생활 문제, 주...

      쉐어하우스와 같은 공유주택은 최근 1인가구 증가와 함께 청년들의 주거빈곤문 제가 대두되면서 공급 되고 있다. 하지만 공간을 이웃과 함께 공유하는 공유주거 의 특성상 사생활 문제, 주택관리 문제가 발생하였다. 청년 1인가구는 코로나로 인해주택내에서주거기능외업무와다양한문화활동을선호하는추세며,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리빙하우스가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코리빙하우스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민간공급과 공공공급 코리빙하우스의 주거만족도는 차이가 있는지와 같은 두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코리빙하우스 주거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연구이다.
      연구 대상지는 ‘맹그로브 숭인점’, ‘쉐어원 역삼2’, ‘쉐어원 신림’, ‘장안생활’, ‘안암생활’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코리빙하우스의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연구대상지의개인적특성을살펴보면대상지5곳모두20대여성이과반 수로 나타났다. 대상지 5곳의 주거만족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대상지에 따른 주 거만족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평면 및 층별 배치에 따른 주거만족 도 평균 차이도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급주체에 따른 주거만족도 평 균 차이는 민간공급이 더 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급주체별 주거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해보았다.
      코리빙하우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입지특성에서는 학교 및 직장과의 접근성이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 적특성에서는월세및관리비수준이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운 영 및 관리 특성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해 만족할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아 졌으며, 물리적 특성에서는 개인공간의 규모, 보행동선에 만족할수록 주거만족도 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관계 특성은 이웃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 족할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아졌으며 개인특성에서는 코리빙하우스 입주 전 전세로 거주했던 거주자보다 월세로 거주했던 거주자일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주택보다 저렴한 월세로 공급하는 코리빙하우스의 특성 상 이전에 월세로 거주했던 거주자일수록 월세 및 관리비에 만족하는 것으로 보
      - vi -
      인다.
      공급주체별 주거만족도 영향 분석 결과, 민간기업이 공급한 코리빙하우스에 입 주한 거주자들은 입지 및 경제적 특성보다 코리빙하우스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기업이 공급한 코리빙하우스에 입주한 거주 자들은 물리적 특성보다 입지 및 경제적 특성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리빙하우스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코리빙하우스 거주자들은 저렴한 월세 및 관리비와 학교 및 직장과의 접 근성에 대해 만족하였고, 개인 프라이버시는 보호받고 개인공간의 규모와 다양한 공유공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공급될 코리빙 하우스는 서울로 한정되어 공급하기보다 다양한 지역에 저렴한 월세로 공급될 피 요가 있다. 또한, 개인공간의 규모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하며, 다양한 기능의 공유공간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이 공급한 코리빙하우스는 공공이 공급한 코리빙하우스보다 저렴하 지 않지만 다양한 공유공간의 기능과 규모가 주거만족도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공공이 공급한 코리빙하우스는 민간이 공급한 코리빙하우스보다 다양한 공유공간 의기능과규모가다양하지않지만월세및관리비가저렴하고학교및직장과의 접근성이 주거만족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공급될 코리빙하우스는 공 공공급 코리빙하우스의 입지 및 저렴한 월세와 민간공급 코리빙하우스의 다양한 공유공간 및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의 장점을 합쳐 공유공간만 강조되거나 월세만 강조되지 않도록 조화롭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4
      •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2. 연구의 내용 및 과정 6
      •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8
      • 제1절 공유경제의 개념 8
      • 1. 공유경제의 개념 8
      • 제2절 코리빙하우스의 개념 및 목적 10
      • 1. 코리빙하우스의 등장배경 및 목적 10
      • 2. 코리빙하우스의 개념 및 유형 11
      • 제3절 이웃관계의 개념 19
      • 1. 이웃 및 이웃관계의 개념 19
      • 2. 코리빙하우스의 이웃관계와 결합형 네트워크 20
      • 제4절 주거만족도의 개념 22
      • 1. 주거만족도의 개념 22
      • 제5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23
      • 1. 코리빙하우스에 관한 연구 23
      • 2. 이웃관계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26
      • 3. 연구의 차별성 28
      • 제3장 분석의 틀 설정 29
      • 제1절 연구대상지 선정 및 현황 29
      • 1. 연구대상지 선정 29
      • 2. 연구대상지 개요 및 현황 32
      • 제2절 연구모형의 설정 51
      • 1. 이론적 관계정립 및 분석단계 51
      • 2. 연구의 변수 및 측정항목 설정 53
      • 3. 가설적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56
      • 제3절 설문 설계 및 분석방법 58
      • 1. 설문 설계 58
      • 2. 분석방법 59
      • 제4장 코리빙하우스의 주거만족도 영향 분석 61
      • 제1절 개인적 특성 분석 및 차이분석 61
      • 1. 일반분석 61
      • 2. 기술 통계 분석 66
      • 3. 영향 모델별 차이 분석 67
      • 제2절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69
      • 1. 주거만족도 영향 모델 분석 69
      • 제5장 결론 77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77
      •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