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Awareness and the Necessity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4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mong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June 7, 2021 to June 16, 2021.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ccupat...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mong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June 7, 2021 to June 16, 2021.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ere 154 women (77%), the age of 112 (55%) 26-30 years old, and 71 patients (35.5%) with a clinical experience of 3 to 5 years or more 99 students (49.5%) had a bachelor's degree and 97 (48.5%) worked at a rehabilitation hospital.

      Second, 81 people (40.5%) responded negatively to whether they were aware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70%, 68.5%, and 66.5%, respectively, said that they did not respond to the systemicity,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gave a negative response. A total of 184 people (92%) answered that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necessary.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medical insurance, 141 people (63.5%) responded positively, and the approach method was high in 'activity of daily living training' (33.2%) and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19.3%). As for the expected effect, the availability of 'activity daily of living training' suitable for the actual home environment was the highest at 76.0%, and the problem with the lack of legal system was the highest at 57.0%.

      Third, in the difference in necess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eed was higher among those aged 31-35 than those of those aged 26-30 (p>.05). Regarding the operation plan and details, the respondents aged 31 to 35 and 36 years of age and older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application of medical insurance than those aged 26 to 30.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positive responses to medical insurance application were higher in professional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than bachelor's degree. (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e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operation plan, and detail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hat can raise awareness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by examining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various studies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1년 6월 7일부터 2021년 6월 16일까지 200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응답받은 설문지는 총 200부로 결과는 다음...

      본 연구는 2021년 6월 7일부터 2021년 6월 16일까지 200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응답받은 설문지는 총 200부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는 여자가 154명(77%)였으며, 연령은 26~30세 112명(55%), 임상경력은 3년 이상~5년 미만이 71명(35.5%), 최종학력은 학사 99명(49.5%), 근무기관은 재활병원 97명(48.5%)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여부에서 81명(40.5%)이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체계성, 정보의 접근성, 만족도에 대해서는 각각 70%, 68.5%, 66.5%가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 응답을 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총 184명(92%)였다. 의료보험 적용에 대해서는 141명(63.5%)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접근 방법으론 일상생활활동훈련(33.2%), 가정환경수정(19.3%)로 높았다. 기대효과로는 실제 가정환경에 맞는 일상생활훈련 교육가능이 76.0%로 가장 높았고 문제점으로는 법률적제도의 미흡이 57.0%로 가장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필요성의 차이에서 26~30세보다 31~35세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p>.05). 운영방안 및 세부사항에서는 26~30세 보다 31~35세, 36세 이상에서 의료보험적용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p>.05). 최종학력 따라서는 학사보다는 전문학사와 석사에서 의료보험 적용에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p>.05)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운영방안 및 세부사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향후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을 알아봄으로써 인식도를 높이고 필요성을 강조 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써의 의미가 있으며, 향후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커뮤니티케어(지역사회 통합돌봄)의 개념 5
      • 2.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 1)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개념 7
      • 2)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효과 8
      • 3)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현황 9
      • Ⅲ. 연구 방법 11
      • 1. 연구 기간 및 대상 11
      • 1) 연구대상 선정 기준 11
      • 2. 연구 도구 12
      • 3. 연구절차 13
      • 1) 예비조사 13
      • 2) 본 조사 13
      • 4. 자료수집 및 분석 13
      • 5. 연구 윤리 14
      • Ⅳ. 연구 결과 15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
      • 2.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 17
      • 1)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 17
      • 2)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필요성 19
      • 3)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운영방안 및 세부사항 21
      • 4)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기대효과 및 문제점 23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 필요성, 운영방안 및 세부사항의 차이 비교 24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방문 작업치료 인식도의 차이 24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방문 작업치료 필요성의 차이 25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방문 작업치료 운영방안(의료보험적용의 필요성) 26
      • V. 고찰 27
      • 1.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27
      •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27
      • Ⅵ. 결론 32
      • 참고문헌 34
      • 영문초록 38
      • 부 록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