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특수아동의 도덕성 발달 실증 연구 : ADHD, 정신지체, 자폐성 장애아동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moral development of special children through music therapy : focused on the ADHD,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1797

      • 저자
      • 발행사항

        진주 : 慶尙大學校,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慶尙大學校 大學院 , 倫理敎育學科 , 201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9 판사항(5)

      • DDC

        371.9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152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32-145

      • 소장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치료활동이 특수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도덕성은 친사회성과 도덕적 정서에 국한된다. 특수아동의 친사회성의 변화를 알...

      본 연구는 음악치료활동이 특수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도덕성은 친사회성과 도덕적 정서에 국한된다. 특수아동의 친사회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Ⅰ을 실시하였고, 도덕적 정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Ⅱ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8주간에 걸쳐 주1회 50분씩 총 8회의 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특수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실험Ⅰ은 평균연령 9.6세로 자폐아동, 지적장애아동, ADHD 아동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척도는 두레·홀로 성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Ⅱ는 평균연령 8.9세로 자폐아동, 지적장애아동, ADHD 아동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각각 10명의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정서판단력, 정서이해력, 정서조절력의 하위변인으로 구성된 메타기질측정도구를 두 집단에게 각각 사전・사후검사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점수 차이에 대하여 비모수 t검정을 하였다. 실험Ⅰ,Ⅱ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한 특수아동의 사회성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연구문제Ⅰ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감소를 보임으로써 지지되었다.
      둘째, 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한 특수아동의 정서판단력과 정서이해력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연구문제Ⅱ는 지지되었지만 정서조절력은 음악치료활동보다는 일반적인 학습에서 더욱 발달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인지가 낮고 정서적 표현력이 낮은 특수아동들에게 음악활동이 비언어적인 교류수단으로서 대상자들에게 표현력 향상과 긍정적인 감정해소 방법제시, 동료와의 상호 교류 향상을 통하여 효과적인 감정 표현 방법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친사회성과 도덕적 정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아동을 위한 정서성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서 도덕성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연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nging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special children by music therapy. In this study, morality has limited meaning as prosociality and moral emotion. In order to investigate moral development of specia...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nging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special children by music therapy. In this study, morality has limited meaning as prosociality and moral emotion.
      In order to investigate moral development of special children, this study mobilized two experiments. In one side, Experiment I employed Durae-Hollo (Allocentrism-Ideocentrism) as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prosociality. Durae means the disposition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other persons. Hollo disposition is to be very limited and narrow. In the other side, to measure the level of moral emotion, Experiment II did Trait Meta-Mood Scale (TMMS) which measured the degree of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psychologically. Two experiments were shown comparing the result of pre/post test.
      For Experiment Ⅰ, 20 subjects 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activity in 8 rounds totally, 50 minutes each time,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also joined special education for the experiment which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hange of sociability of special children. Each of 20 subjects i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rised of the autistic,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ADHD children who were about 9.6 years old.
      Whole procedures and conditions of Experiment Ⅱ was as same as Experiment Ⅰ. Fore Experiment Ⅱ, 10 subjects joined. Participants age was about 8.9 years old. Original 3 concepts in TMMS was interpreted into emotional judgment,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ng.
      As results of two experiments, this study got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after joining the music therapy activity, special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rosociality. Especially Durae disposition was positive, Hollo disposition was not very well improved.
      Second, after experiment, speci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all aspects of emotional judgment,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ng. Especially the change of emotional understanding was relatively high.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the sentimental judgment and sentimental understanding of special children participating in music therapy activit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ut the sentimental control was found to have a greater development effect from normal education than from music therapy activity.
      Finally, through participating music therapy program, this study did show that morality of special children can be developed. Even though this study did focus on the prosociality and moral emotion to explain morality, hopefully the range of morality could be enlarged and applied to many area relating to moral education and ac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연구모형 4
      • 4. 연구절차 6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연구모형 4
      • 4. 연구절차 6
      • 5. 실험환경 8
      • 6. 프로그램 내용구성 12
      • 7. 용어의 정리 14
      • Ⅱ. 이론적 배경 18
      • 1.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 18
      • 가. 특수아동의 정의 및 분류 18
      • 나. ADHD,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의 정서·행동적 특징 32
      • 다. ADHD,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의 교육목표와 방법 37
      • 2. 음악치료의 목적과 기능 42
      • 가. 음악치료의 목적 42
      • 나. 음악치료의 방법 51
      • 다. 음악치료의 기능 61
      • 3. 도덕성의 개념과 도덕성 발달의 접근법 65
      • 가. 도덕성의 개념 및 유사개념 65
      • 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접근법 75
      • 다. 친사회성과 정서성 발달의 도덕교육적 의의 78
      • 4. 음악치료활동과 도덕성 변화 간의 관계 81
      • 가. 독립적 관계 81
      • 나. 포함관계 85
      • 다. 중첩관계 87
      • Ⅲ. 연구방법 91
      • 1. 연구대상 91
      • 가. 실험Ⅰ의 연구대상 91
      • 나. 실험Ⅱ의 연구대상 94
      • 2.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99
      • 가. 실험Ⅰ의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99
      • 나. 실험Ⅱ의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100
      • 다.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 104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06
      • 1. 실험Ⅰ 106
      • 가.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의 음악치료효과 106
      • 나. 연령에 따른 실험집단의 음악치료효과 107
      • 다. 장애유형에 따른 실험집단의 음악치료효과 111
      • 라. 실험Ⅰ에 대한 결과 종합 116
      • 2. 실험Ⅱ 117
      • 가.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의 음악치료효과 117
      • 나. 연령에 따른 실험집단의 음악치료효과 119
      • 다. 장애유형에 따른 실험집단의 음악치료효과 120
      • 라. 실험Ⅱ에 대한 결과 종합 123
      • 3. 종합논의 125
      • Ⅴ. 결 론 129
      • 참고문헌 1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