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광역시 일부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 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of Industrial Workers in G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95505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 보건학과 , 2012. 8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P44 ; 26cm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인 : 구강보건행태, 근로자, 산업구강보건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증진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등 산업구강보건 사업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

      색인 : 구강보건행태, 근로자, 산업구강보건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증진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등 산업구강보건 사업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광주광역시 산업체 근로자들의 구강보건의식행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산업체 근로자 37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성적 : 잇솔질 횟수는 일일 3회가 45.4%로 가장 많았고, 취침 전 잇솔질을 하는 사람은 69.8%로 나타났다. 최근 1년 동안 구강진료기관을 방문한 사람은 50.4%이었다.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사람은 51.5%로 나타났고, 사용하는 보조구강위생용품은 치실이 33.5%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 구강진료이용 목적은 치아우식증 치료가 34.0%, 치주병 치료가 23.6%로 양대 구강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었다. 구강병으로 인한 연간 결근 및 조퇴율은 22.5%이었다. 근무시간으로 인해 구강진료를 포기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70.3%이었으며, 보험이 되지 않는 치료비용으로 인하여 치료를 포기하거나 발치를 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비율은 63.9%이었다. 구강진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여 스트레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78.2%이었고, 구강진료를 받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경제적인 이유가 27.6%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산업장 내 구강진료기관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필요하다’가 71.6%로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 참여의향은 ‘꼭 참석하겠다’가 28.4%, ‘가능한 참석하겠다’가 46.7%로 나타나 참석하겠다는 비율이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기회가 없어서가 64.7%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구강보건교육내용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은 포괄적인 치과상식으로 31.3%의 선택률을 기록하였으며, 구강보건교육방법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은 강연이었다.

      결론 : 근로자들이 가정이나 직장에서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eywords : Industrial oral health, Oral health behaviors, Work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in some industrial workers with the aim of arrang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indus...

      Keywords : Industrial oral health, Oral health behaviors, Work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in some industrial workers with the aim of arrang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industrial oral health program such a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vailable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workers' oral health.

      Methods :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377 workers of industrial businesses where are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ults : Toothbrushing frequency was the largest in three times a day with 45.4%. People who brush teeth before going to bed were indicated to be 69.8%. People who visited dental service institutes for the recent 1 year accounted for 50.4%. People of using oral hygiene auxiliary supplies were indicated to be 51.5%. As for oral hygiene auxiliary supplies of being used, dental floss was the largest with 33.5%. The final aim of using dental treatment was to cure major oral disease with 34.0% for curing dental caries and 23.6% for curing periodontitis. The rate of annual absence and leaving early owing to oral disease accounted for 22.5%.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having abandoned dental treatment due to working time accounted for 70.3%. Ratio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having abandoned treatment or extracting a tooth owing to costs of dental prosthesis treatment without insurance accounted for 63.9%.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being stressed by failing to have dental treatment properly accounted for 78.2%. As for a reason of failing to have dental treatment, a financial reason showed the largest response with 27.6%. To the question about necessity of dental service institute within industrial place, the response as saying of 'being necessary' was indicated to be 71.6%.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oral health education was indicated to be 28.4% for 'having a will to certainly participate' and to be 46.7% for having a will to participate if possible.' Thus, the ratio with a will to participate was higher. As for a reason of not taking oral health education, the response was the largest with 64.7% for a reason of having no opportunity. What has the highest preference out of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the comprehensive dental common sense with selective ratio of 31.3%. What has the highest preference out of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was lecture.

      Conclusion :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ill need to be developed so that workers can enhance ability of managing themselves at home or in work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 1. 연구대상 3
      • 2. 연구방법 3
      • 3. 자료분석 4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 1. 연구대상 3
      • 2. 연구방법 3
      • 3. 자료분석 4
      • Ⅲ. 연구성적 6
      •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
      • 2. 연구대상자의 구강보건행태 8
      • 2.1. 연구대상자의 구강보건행동에 관한 조사결과 8
      • 2.2.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조사결과 11
      • 2.2.1.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에 대한 조사결과 11
      • 2.2.2.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조사결과 13
      • 3. 연구대상자의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 15
      • 3.1.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과 관련 행태 조사결과 15
      • 3.2. 구강병으로 인한 일상생활 활동제한 17
      • 4. 연구대상자의 구강보건교육요구도 19
      • 4.1. 구강보건교육 경험 및 참여의향 조사결과 19
      • 4.2. 산업장 내 구강진료기관 필요성 인식 22
      • 4.3. 선호하는 구강보건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조사결과 24
      • Ⅳ. 고 안 26
      • Ⅴ. 결 론 30
      • 참고문헌 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