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목간을 통해서 본 한국 목간의 형태와 내용 분류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대 삼국은 각국이 처한 환경속에서 국내외적인 필요에 의해 문자 사용이 점차 확산되어 갔다. 처음에는 외부 세력(중국)과의 교류 속에서 문자를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고대국가로 성장해...

      고대 삼국은 각국이 처한 환경속에서 국내외적인 필요에 의해 문자 사용이 점차 확산되어 갔다. 처음에는 외부 세력(중국)과의 교류 속에서 문자를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고대국가로 성장해가는 과정에서는 영역과 인민의 지배를 위한 수단으로 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바로 이렇게 목간은 국가의 문자에 의한 지배를 관철시키는 유력한 서사재료로서 고대 한반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알려진 목간은 6세기 이후의 것들이지만,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 위와 같은 문자상황이라면 적어도 4세기 무렵부터는 목간이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는 이보다 조금 늦은 시기였던 듯하다.
      그러나 중국의 간독문화가 온전히 고대 한국에 이식되었던 것은 아니다. 중국 간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죽간과 정형화된 편철간의 부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처음 중국 군현의 중심지였던 한반도 서북부 지역은 당시 서사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만한 대나무를 구하기 어려운 식생지대였다. 그렇기 때문에 현지에서의 수요는 목간이 중심을 이루었으며(앞의 戶口簿․賻儀名謁), 論語와 같은 典籍은 內郡地域에서 제작된 編綴竹簡을 사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이같은 경향은 한국 고대의 목간문화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현재까지 출토된 목간들을 검토해 보면 6~7세기 무렵에는 多面이나 圓柱形목간이 많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주로 文書木簡이나 典籍(論語)木簡 등으로 사용되었다. 그렇다면 고대 한국에서 목간이 사용되던 초기부터 중국의 編綴簡 樣式을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해도 좋다. 編綴簡은 다량의 내용을 墨書하거나 情報의 集積을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었던 형태인데, 고대 한국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多面이나 圓柱形木簡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원칙적으로 竹簡은 編綴해서 冊書의 형태로, 木簡은 單獨簡으로 사용하기 쉬운 書寫材料였다. 그렇기 때문에 竹簡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았던 고대 한국에서는 되도록 목간 1점에 모든 정보를 담고자 하였고, 그것이 6~7세기까지 광범위한 多面形․圓柱形 목간의 사용으로 이어졌다고 보인다. 결국 한국 목간문화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로 목간문화의 起源단계에서는 單獨簡을 추구하였던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목간을 이용하여 문자로 기록하기 시작했을 때 거기에 담아내는 情報의 單純性에서 기인하였던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秦漢時代 簡牘文化는 專制國家의 성립을 기반으로 情報의 多樣性과 傳達過程의 中層性으로부터 冊書簡의 사용을 추구하였던 것이지만, 고대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강력한 고대국가를 기반으로 목간문화가 전개되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국 간독문화를 고대 한국의 상황에 맞게 취사선택하였으며, 이같은 목간문화의 韓國的 變容은 곧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중요한 특성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도 더 많아지고 다양해진 정보의 집적을 위해 3~4세기를 경과하며 종이가 書寫材料의 主導的 地位를 차지해 갔던 것처럼 고대 한국에서도 신라가 삼국을 통합하는 7세기를 경과하면서 종이의 文字時代가 도래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8세기 목간에서 多面形․圓柱形木簡의 比重이 급속히 줄어들었던 현상에서 감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이의 사용은 문서행정의 全單位에서 실현되었던 것은 아니며, 8세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classification by the shape and substance of korean wooden tablets as viewed from ancient east asia wooden tablets

      A study on classification by the shape and substance of korean wooden tablets as viewed from ancient east asia wooden table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