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후기 사회변동과 신분의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4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충선왕은 세자 시절부터 노비탈점의 폐단에 대해 그 심각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국정대행 시기와 두 차례의 집권 초기에 노비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러한 탈점노...

      충선왕은 세자 시절부터 노비탈점의 폐단에 대해 그 심각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국정대행 시기와 두 차례의 집권 초기에 노비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러한 탈점노비와 사건노비의 몰수는 前王의 측근세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치적 의도가 우선되었으며, 아울러 노비탈점의 폐해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충선왕의 측근세력에 의해 노비탈점이 자행되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조처의 한계성 역시 뚜렷한 것이었다.
      사건노비의 몰수는 충혜왕 후4년에 다시 시행되었다. 그 징수대상 노비는 충선왕대와 동일하였으며, 주관자와의 관계에 따라 피해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연이은 충혜왕의 공신전의 회수와 內庫 귀속 조치는 사건노비 몰수와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충혜왕은 이후 몇 달만에 원에 의해 게양으로 유배되었으므로, 그 실효성과 지속성이라는 면에서는 한계가 분명하였다. 이는 충선왕이 충숙왕대 초기에도 上王으로서 상당한 정치적 실권을 행사한 상황과 비교된다.
      사건노비의 한 부류인 寄上奴婢는 권세가에게 아부할 요량으로 증여되는 방식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권력을 매개로 반강제적인 방법에 의해 확보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辨正 과정에서 탈점노비가 本主나 국가기관에 환수되지 않고 왕실의 사유재산으로 전용 가능한 願刹이나 창고에 귀속되었다는 사실은, 노비제의 파행적 운영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주로 공신이나 측근 관료에게 주어진 先王下賜奴婢는 대개 권세가인 受給者들의 경제적 토대가 되었다. 그런데 정치적 역학관계에 따라 하사노비는 회수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노비는 다시 새로운 관료에게 지급되는 방식으로 몰수·활용되기도 하였다.
      投屬奴婢는 권세가나 혹은 고려말에 발달하는 농장에 투탁하는 형식에 의해 주로 발생하였다. 그런데 투속은 권력을 매개로 합법을 가장한 民의 탈점일 가능성이 농후하였다. 이들이 국가에 의해 몰수대상이 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개인들의 매매를 통해 획득된 人相貿易奴婢 역시 몰수대상이 되었다는 점에서 투속노비와 마찬가지로 탈법적·불법적 소지가 다분히 포함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건노비는 조상 전래의 사노비인 祖業奴婢와 구분되어 파악되고 있었다. 그런데 壓良爲賤이나 賜牌를 빙자한 노비의 확대로 인해 투속노비 내지 기상노비의 형태로써 ‘사건노비’화될 가능성이 컸다. 때로는 권세가에 아부하기 위해, 때로는 권력에 굴종하여 조업노비가 사건외비로 전화될 개연성도 있었다. 아울러 공신에게 하사하는 노비와 권력가에게 바치는 기상노비의 증가는 외관노비의 감소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사건노비는 당시의 고질적이며 심각한 노비제 운영의 문제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lass of people known as kisang nobi (slaves presented as bribes), which constituted one of the above-mentioned four classes of slaves, came into being as a result of the search for methods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which could be offered t...

      The class of people known as kisang nobi (slaves presented as bribes), which constituted one of the above-mentioned four classes of slaves, came into being as a result of the search for methods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which could be offered to the powers that be as a bribe. This type of slave was generally forcefully seized or acquired by those in power. However, during the reform process, ownership of these slaves was reverted to the royal Buddhist temple or royal treasury, where they could be used as the private property of the royal family, rather than to their original owners or government organizations. This type of situation makes clear the twisted manner in which the slavery system was managed.
      The slaves granted by the previous king to his meritorious subjects or close associates represented the economic basis upon which the latter maintained their power. However, these slaves were subsequently confisc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vailing political dynamics. More often than not, these slaves were confiscated and then granted to new officials.
      T΄usok nobi (entrusted slaves) were individuals who voluntarily offered themselves as slaves to the powers that be or to the large-scale landlords that developed during late Koryŏ. However, while the slaves obtained through this t΄usok system appeared on the surface to have been seized through legal means, there is much reason to believe that such individuals were in fact forcefully turned into slaves by the powers that be. This asser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is type of slave also became the subject of confiscation on the part of the state during the above-mentioned reforms. In this regard, the fact that the insang muyŏk nobi (slaves obtained through personal transactions) were, like the t΄usok nobi, made the object of confiscation only serves to further heighten the possibility that this type of slave was also initially seized through illegal means.
      These four classes of slaves (sagŏn nobi) were regarded as being separate from the choŏp nobi, or private slaves inherited from one’s ancestors. However, the marked increase in the number of slaves resulting from the practices of amnyang wich΄ŏn (壓良爲賤, degradation of a commoner to slave or lowborn class) and sap΄ae (賜牌, deeds to land and slaves granted by the king) raises the possibility that some choŏp nobi were in fact included within the four classes of slaves as either t΄usok nobi or kisang nobi. These choŏp nobi in all likelihood were included amongst these four classes of slaves (sagŏn nobi) either as part of indirect efforts to curry the favor of those in power, or of direct subjugation to the latter. Furthermore, the increase of slaves granted to meritorious subjects and of the kisang nobi offered to those in power led to a decrease of oegwan nobi (public slaves). Therefore, the emergence of these four classes of slaves (sagŏn nobi) in many ways clearly illustrates the serious problems which plagued the management of the slave system during this particular perio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