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교수들이 지각한 교수효능감 구성요인과 예측변수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5901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tructs and predictors of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faculty as considering the context-specific of the higher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tructs and predictors of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faculty as considering the context-specific of the higher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⑴ What are the latent factors of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university faculty ? ⑵ Are there the content,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latent factors ? (3) What different is the constructs of faculties' sense of teaching efficacy from the construct of teacher's sense of teaching efficacy in preceding research?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as teaching career, location of univeristy, faculties' major and so on. (5) What are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
      As a way addressing these topics, open-ended questions were asked to 146 of 1038 professors(dept. of language and literature, dept. of business and economics, dept. of engineering, dept. of education science) in order to identify teaching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with a high level of teaching efficacy. Then two rounds of studies were conducted with 497 professors as subjects. The studies used faculty's sense of teaching efficacy evaluation sheet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 and student, instructors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revised faculty opportunities audit, and the revised teacher's locus of control inventory.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factors lying beneath the instructive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the form of teaching efficacy were three constituents; confidence of major knowledge, regulatory of instructive strategy, leadership for stud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nce that the three latent constituents was 19.7%~31.12%, while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11.34%~20.23% of shared variances when they were compared to one ano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degree to which the plausibility of factor models was empirically confirmed, overall fit measures, indexes that show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were quiet good.
      Second, each of the three constructs didn't hav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Univ. type and faculty's major, teaching career. But I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eaching development method.
      Third, the predictors of the professor's teaching efficacy measured from the viewpoint of academic area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recorded higher scores than other variables. Teaching method of subject and university environment predicted professor's sense of teaching efficacy in the department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teaching contents and input time of the service and consultant predicted faculty's sense of teaching efficacy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and economics. And teaching method of subject and college environment predicted professor's sense of teaching efficacy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and economics, and location of university predicted faculty's sense of teaching efficacy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preceding study,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he faculty's sense of teaching efficacy consists of not just the constructs, which can be found in any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t was also comprised of context-specific constructs in higher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supported that the faculty's sense of teaching efficacy was not a single characteristic in and of itself. Rather it was a cluster of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three constructs were mixed together. In addition, not only intra-academic area characteristics but also inter-academic area wer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s the constructs of the faculty's sense of teaching efficacy. Therefore, the three underlying constituents should be considered to help professors' teaching effectively through teaching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문제 4.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교수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문제
      4.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교수효능감의 정의
      2. 교수활동과 교수효능감
      3. 교수효능감 이론과 구성요인
      4. 교수효능감과 통제소재
      5.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변인
      6. 교수효능감과 교과수업 특성
      7. 교수효능감과 학교조직 환경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절차
      3. 연구대상 및 표집
      4. 조사도구의 구성
      5. 자료 분석 절차
      6.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교수효능감 구성 요인의 탐색
      2. 교수효능감 구성 요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3. 교수효능감 구성 요인의 타당도
      4. 대학 교수의 집단 유형별 교수효능감 차이 분석
      5. 교수효능감 예측 변수 규명
      6. 종합적 논의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학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교수효능감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대학교수의 집단별 교수효능감의 차이분...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학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교수효능감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대학교수의 집단별 교수효능감의 차이분석 및 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변수규명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학교수들이 지각한 교수효능감의 구성요인 탐색
      2. 대학교수들이 지각한 교수효능감의 예측변수 규명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 182개, 4년제 일반대학 중 예체능 계열 및 의·약학 계열의 대학교수를 제외한 어문계열, 상경계열, 공학계열, 사범계열의 전임 교수 20,771명을 연구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세 차례에 걸친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자료처리를 위해 SA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집단간 차이검정,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잠재적인 요인구조는 전공지식에 대한 자신감, 수업전략에 대한 조절감, 학생에 대한 리더쉽의 3개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수의 집단유형별 교수효능감 차이 분석에서 대학유형에 따른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수의 전공계열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예측변수 규명 결과, 어문계열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변수로는 담당교과목의 특성 중 교육목표가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담당교과목의 교수방법의 확보, 대학의 전반적인 교육특성, 학생들의 학습능력, 봉사등에 대한 투자시간, 교육조교활동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추출된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의 3개의 하위 구성요인은 교수자가 교수활동의 특수상황인 가르치는 대상, 과목, 과제, 학교환경에 따라 다르게 지각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으며, 동시에 대학이라는 상황특수성에서 전공수업에 필요한 교수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과정을 조직하고 집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대학교수의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은 하나의 단일 특성이 아니라 3개의 독립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공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지원은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의 3개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대학에서 교육학 관련 교과목의 정규 이수경험과 교수개발 워크숍이나 세미나 참석 경험을 가진 대학교수들이 교수효능감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대학교수들의 담당수업에 대한 효능기대에 미치는 대학의 지원체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교수효능감의 요인 중 상황에 따른 수업전략의 조절감과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를 가지고 수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학생에 대한 리더십은 교수활동과 관련된 대학에서의 여러 경험들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가르치는 대상에 따른 교과목의 내용이해를 위한 수업전략의 조절감과 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태도를 위한 교수자의 리더쉽은 교수 스스로 가르치는 능력 함양을 위한 노력이나 교육조교 활동 경험, 교육학 관련 서적들을 통한 교육학 지식 습득을 통하기 보다는 직접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 워크숍이나 세미나 등을 통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했을 때 보다 교수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넷째, 대학교수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들이 어문계열, 상경계열, 공학계열, 사범계열, 비교계열 전체에 따라 다양한 예측력을 가진다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대학교수들이 전공수업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교수개발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