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규방가사에 나타난 혼인 갈등 양상과 가족 인식-<노처녀가>, <원한가>, <신가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84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상 목차는 다음과 같다. <예상 목차> 1. 서론 2. 혼인 갈등의 양상 및 해결 방식 1) 혼기를 놓친 노처녀: 노처녀가 2) 팔려 간 신부: 원한가, 동상가, 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상 목차는 다음과 같다.
      <예상 목차>
      1. 서론
      2. 혼인 갈등의 양상 및 해결 방식
      1) 혼기를 놓친 노처녀: 노처녀가
      2) 팔려 간 신부: 원한가, 동상가, 부녀가
      3) 사기로 인한 혼인 파탄: 신가전
      3. 혼인 갈등의 원인 및 가족에 대한 인식
      1) 무능한 혼인 주선자 부모
      2)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는 부수적 존재인 딸
      3) 울타리가 되어 줄 가족의 부재
      4. 결론

      1. 혼인 갈등의 양상 및 해결 방식
      1) 혼기를 놓친 노처녀: <노처녀가>
      <노처녀가>는 당대의 중매혼 제도나 양반가의 허위의식 등을 정면에서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처녀의 문제를 가장 진지하게 대변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노처녀 담론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는 혼인을 하지 못한 것 자체를 인생의 실패라고 여기며,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한다. 이는 결혼한 여성을 정상으로, 결혼하지 않은 여성을 비정상적이며 위험한 존재로 여기는 담론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갈등에 처한 작중 화자들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은 자신을 노처녀로 늙힌 부모를 원망하거나 자신의 박복함을 한탄하는 것밖에는 없다.

      2) 팔려 간 신부: <원한가>, <동상가>, <부녀가>
      이 작품들은 혼인이 가족을 위한 희생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그로 인해 당사자의 삶이 불행해지거나 파탄에 이르게 된 상황을 다루고 있다. 그 결과 작품에는 부모에 대한 원망과 자신이 꿈꾸던 이상적 혼인에 대한 동경, 고통스러운 현실에 대한 하소연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아서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체념하거나, 시집에서 뛰쳐나와서 떠돌아다니거나, 늙은 남편의 노리개로 살아가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는 이혼 자체가 부정적으로 인식되었고, 혼인의 파탄은 생계의 문제와도 직결되는 현실적인 문제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3) 사기로 인한 혼인 파탄: <신가전>
      <신가전>은 중매쟁이에게 속아 고자 신랑과 결혼하여 첫날밤에 파경을 맞게 된 문벌가의 무남독녀 이야기이다. 딸이 결혼에 실패하자 유복녀를 키워 온 어머니는 화병으로 죽고 어머니의 삼년상 후 주인공은 비구니가 된다. 이 작품은 조선시대의 남성 주도의 혼인문화와 중매혼의 문제를 잘 그리고 있으며, 혼인이 성사되지 못하고 파탄에 이르렀을 때 여성이 가게 되는 길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당대의 사회상과 혼인의 의미를 잘 보여 준다.

      3. 혼인 갈등의 원인 및 가족에 대한 인식
      1) 무능한 혼인 주선자 부모
      조선후기 노처녀 담론의 핵심은 사대부가 노처녀 문제에 있었는데, 당시 사치스러운 혼례 풍속에서 경제적 궁핍과 양반의 위신과 체면 때문에 신분에 적당한 혼처가 아니면 딸을 시집보내지 않은 데서 노처녀가 양산되었다. <노처녀가>류에서는 딸은 부모가 무능하여 딸을 늙히고 있다고 노골적으로 비난하고, 부모는 딸의 심정을 헤아리지 못하고 방치함으로써 갈등이 생겨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는 부수적 존재인 딸
      조선후기의 상업 및 화폐 경제의 발달,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유흥의 성행으로 인해 패가망신하는 이들이 생겨나고, 가족 관계가 무너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희생양이 된 사람은 딸이었다. 남존여비 사상을 기반으로 한 유교적 가족제도 하에서는 딸은 부수적 존재로 인식되었으므로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면 혼인을 핑계로 딸을 파는 일이 흔하였다. 이처럼 딸이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었으므로 시집에서도 노동력이나 씨받이, 성적 노리개로 인식되어 비인간적 삶을 살게 되었다.

      3) 울타리가 되어 줄 가족의 부재
      <신가전>은 모녀 가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혼인을 주선해 줄 남자 가족 구성원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남자 친척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재산을 지키고자 하는 신부 어머니의 강한 욕망과 억척스러움이 친척들과의 관계를 소원하게 만든 것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이 작품은 경제력을 이용해 쟁쟁한 가문에 딸을 시집보냄으로써 과부로 살아 온 자신의 삶을 보상 받고, 든든한 울타리를 얻고자 했던 모녀의 희망이 좌절된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