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史』 속의 한자어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15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말에는 다양한 필요에 의해 이미 일찍부터 한자어의 유입이 있어 왔으며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나 되는 현상은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을 ...

      우리말에는 다양한 필요에 의해 이미 일찍부터 한자어의 유입이 있어 왔으며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나 되는 현상은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고려시대 언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일부 고유어 어휘와 문법형태소에 집중됨으로써 당시 언어의 전면적 양상을 보여주기에 어려운 불완전한 어휘 구조를 보여줄 수밖에 없었고 무엇보다 현대 국어에 남겨진 수십만 단어의 한자어들이 가지고 있는 어휘사적 양상을 추적하기 어려운 현실에 처하게 되었다.
      본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려사>에 실려 있는 한자어 어휘들에 대해서 목록화하고 그 의미와 용법을 추적해 보기 위해 구상되었다. <고려사>의 한자어는 비록 한문의 형식을 빌어서 사용되었지만 당시에 실제 사용된 관직명, 학술용어, 궁중어 및 일상어, 외래어 등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어휘들은 대개 2음절 이상의 합성적 개념어로 구성되는 일이 일반적이며 현대 국어나 중세 국어의 한자어들과의 연속성이 있는 경우, 그 의미와 용법이 좀더 분명하게 확인되는 특징을 지닌다. 특히 편년체로 작성된 <고려사>의 世家 부분에 실린 어휘들이 고려시대의 어휘를 시대적으로 보여주고 있어서 고려시대를 기점으로 우리말 한자어의 연원을 밝히는 데 주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당시의 한자로 기록된 외래어들(거란어, 몽골어, 여진어 등)에 대한 연구는 향후 동아시아의 어휘를 중심으로 한 언어 교류 양상을 밝히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과제에서 확인한 고려시대 한자어는 1차적으로 그동안 연구되어 온 고려시대 고유어와 문법형태소들과 함께 고려시대의 어휘 체계 전반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고려시대의 어휘 사전 구축이나 역사 해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려사≫ 속의 한자어 어휘들을 유형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훈독 한자어
      가. 고려식 한자어(=한국 한자어) : 훈차 한자어 + 고려에서 조어된 한자어
      나. 중국계 한자어 : 漢계 한자어, 唐계 한자어, 거란/요계 한자어, 金계 한자어, 宋계 한자어, 元계 한자어
      다. 범어계 번역 한자어 : 불교 용어.

      (2) 음차 한자어
      가. 고유어계 음차어 : 인명, 지명, 초기 관직명 등
      나. 몽골어계 음차어
      다. 여진어계 음차어
      라. 범어계 음차어
      마. 기타 음차어

      ≪고려사≫<태조실록> 권1 1년~2년 조의 기사 속에서 다음과 같은 한자어 어휘들이 추출된다.

      (3) 乾符(唐 僖宗의 年號), 南第, 蛟龍, 聰明, 睿智, 龍顔日角, 方頤廣顙, 氣度, 語音, 濟世之量, 後百濟, 高勾麗, 國號, 泰封, 沙粲, 衣黃, 乾寧, 丙辰, 太守, 大王, 朝鮮, 肅愼, 卞韓, 長子, 勃禦塹城, 城主, 光化(唐 昭宗의 年號), 太祖, 精騎大監, 庚申, 廣忠靑(廣州, 忠州, 淸州를 통틀어 이르는 말), 郡縣, 阿粲, 天復(唐 昭宗의 年號), 癸亥, 舟師(=水軍), 西海, 良州師(良州의 渠師), 屬目(=注視), 閼粲, 天祐(唐 哀宗의 年號), 乙丑, 丙寅, 精氣將軍, 土地, 士馬(=兵馬), 新羅, 幷呑, 滅都, 新羅來附者, 誅殺, 梁, 開平(後梁 太祖의 年號), 己巳, 閫外(=城外 또는 境外), 韓粲, 海軍大將軍, 士卒, 吳越船(吳越國으로 보내는 배), 褒獎, 戰艦, 浦口, 級, 斬濩, 小舸(조그마한 배), 管內, 賊兵, 虞疑(=憂疑心), 三韓之地, 糧餉(=軍糧), 解體, 福, 主上, 讒諛, 浸潤, 諸將, 賊師, 海島, 水戰, 水獺, 小賊, 結垕(=結託), 島賊, 勝負, 善水者, 餘, 人, ...

      이 어휘들 속에는 아직 신라 때의 전통이 남겨진 음차, 훈차의 차자표기자의 예들(沙粲, 勃禦塹城, 阿粲, 閼粲, 韓粲 등)과 한국식으로 조자된 한자어들(廣忠靑, 良州師, 善水者 등), 중국 한자어의 용법이 우리말에서 그대로 사용되는 예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예들을 유형별로 정리하여 목록화하고 문맥속 의미를 중심으로 어휘 의미를 추출한 뒤, 출현 시기를 분명히 하여 해당 한자어의 어휘 정보를 구체화할 것이다. 나아가 이를 여타의 다른 언어학적 범주(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로 구별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어휘 사전을 만들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