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클라우드 저장소 장점을 활용한 기록 콘텐츠 관리기능 설계 = Designing the Record Management Functions for Record Content Using Advantages of Cloud Stor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중앙행정기관은 업무관리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온나라2.0으로 변경하였다. 국가기록원은 클라우드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을 이관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기록관...

      최근 중앙행정기관은 업무관리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온나라2.0으로 변경하였다. 국가기록원은 클라우드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을 이관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을 극대화하여 기록관리가 보다 효과적․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재설계할 수 있는 기회이다. 전자기록 관리의 프로세스와 방법이 종이기록 관리 방식을 단순히 전자화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디지털 기술에 따른 변환(Transformation)의 수준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첫째, 이관의 방식을 변환해 볼 수 있다. 업무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이 클라우드 저장소를 공유하게 되면 처리과에서 기록관으로 기록물 이관 시 콘텐츠 파일들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메타데이터만 복사하는 방식으로 이관할 수 있어 비용이 줄고 무결성 훼손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둘째, 기록물의 저장공간 할당에 대한 전략을 구상해 볼 수 있다. 클라우드 저장소를 업무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이 공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콘텐츠 파일들을 저장할 때 기록의 보존기간에 따라 저장하는 위치를 구분함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셋째, 기록의 생산시스템, 기록관리시스템, 정보공개시스템 등 콘텐츠에 접근하는 시스템들이 클라우드 저장소를 공유하게 되면 콘텐츠의 중복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를 전환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changed its business management system to cloud-based On-nara 2.0. To transfer and manage the records of the cloud business management system, the National Archives Service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 cl...

      Recentl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changed its business management system to cloud-based On-nara 2.0. To transfer and manage the records of the cloud business management system, the National Archives Service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 cloud-based records management system.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maximize the benefits of cloud computing and redesign the records management to b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e process and method of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can be transformed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First, we can change the transfer method for electronic records. When the business an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s share the same cloud storage,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content files between the two systems without moving the contents files physically, thus copying only the metadata and reducing the cost and the risk of integrity damage. Second, the strategy for allocating storage space for contents can be conceived. Assuming that the cloud storage is shared by the business and the record management systems, it is advantageous to distinguish the storage location based on the retention period of the content files. Third, systems that access content files, such as records creation, records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can share the cloud storage and minimize the duplication of content fi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2 이생동,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한 기록관리시스템 체계 개선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3 김주영,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하여 기록생산시스템에서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전자기록물을 이관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9 (19): 1-24, 2019

      4 국가기록원, "클라우드 기반의 RMS 전환 추진현황" 국가기록원 2016

      5 국가기록원, "차세대 기록관리모델 재설계 연구 개발 보고서" 국가기록원 2017

      6 안대진,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방안" 한국기록학회 (54) : 211-248, 2017

      7 국가기록원, "정부지식 공유활용기반 고도화 4차(중앙부처 클라우드 기록관리 확산) 완료보고회" 국가기록원 2019

      8 "정부 클라우드저장소(G드라이브) 이용지침"

      9 "전자정부법"

      10 서울특별시,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2016

      1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2 이생동,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한 기록관리시스템 체계 개선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3 김주영,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하여 기록생산시스템에서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전자기록물을 이관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9 (19): 1-24, 2019

      4 국가기록원, "클라우드 기반의 RMS 전환 추진현황" 국가기록원 2016

      5 국가기록원, "차세대 기록관리모델 재설계 연구 개발 보고서" 국가기록원 2017

      6 안대진,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방안" 한국기록학회 (54) : 211-248, 2017

      7 국가기록원, "정부지식 공유활용기반 고도화 4차(중앙부처 클라우드 기록관리 확산) 완료보고회" 국가기록원 2019

      8 "정부 클라우드저장소(G드라이브) 이용지침"

      9 "전자정부법"

      10 서울특별시,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2016

      11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기록관리혁신 로드맵"

      12 대통령비서실, "기록관리체계 재설계 방안 연구" 2004

      1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