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랑스 국가주의와 학교 시민교육 : 국민교육에서 EMC까지 = Nationalism and School Civic Education in France : from National Education to EM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0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프랑스 학교 시민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국민교육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오늘날 어떤 특징과 지향점을 담고 있는지 검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학교교육체계를 완...

      본 연구는 프랑스 학교 시민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국민교육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오늘날 어떤 특징과 지향점을 담고 있는지 검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학교교육체계를 완성한 쥘 페리와 제3공화정의 공적에 초점을 맞추면, 국민교육은 교육기회의 평등과 능력주의를 정착시킨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국가발전을 위해 학교를 도구화하고 종교・문화적으로 소외된 집단을 양산했음이 드러난다. 특히 시민교육과 라이시테 는 페리에 의해 도입되어 국가이념을 전수하는 교과 및 원리로서 오늘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현대 프랑스 사회를 이해하는 단초가 된다. 프랑스에서 라이시테 원칙은 20세기 말부터 이슬람에 대한 엄격한 통제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학교 시민교육은 점차 애국주의적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19세기 말 국민국가 형성기와 매우 유사한 형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ivic education in French has historically played the role of national education and what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it contains today.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of Jules Ferry and the Third Repub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ivic education in French has historically played the role of national education and what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it contains today.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of Jules Ferry and the Third Republic, who completed the French school system, national education is evaluated to have performed a positive function of establishing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meritocracy. However, if you take an other perspective, schools have been instrumentalized and religiously marginalized groups have been produced for nat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helps to understand modern French society in that civic education and laïcité have been introduced by Ferry as a subject and principle that conveys national ideology to this day. The laïcité has been operating as a mechanism for strict control over Islam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EMC(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gradually emphasizes patriotic elements,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formation of a nation-stat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페리 시대’를 다른 각도로 조명하는 이유 Ⅱ. 제3공화정 국민교육의 특징 Ⅲ. 20세기 프랑스 시민교육의 전개 및 특징 Ⅳ. 21세기 프랑스 국가주의와 시민교육의 동향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 ‘페리 시대’를 다른 각도로 조명하는 이유 Ⅱ. 제3공화정 국민교육의 특징 Ⅲ. 20세기 프랑스 시민교육의 전개 및 특징 Ⅳ. 21세기 프랑스 국가주의와 시민교육의 동향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용구, "프랑스의 학교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의 학교 시민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83-118, 2010

      2 "프랑스교육부 문서(2018년 교육과정)"

      3 "프랑스교육부 문서(2015년 교육과정)"

      4 "프랑스교육부 문서(2008년 교육과정)"

      5 진숙경, "프랑스, 왜 다시 시민교육인가?"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2018): 1-28, 2018

      6 심성은, "프랑스 학교 민주시민교육" 99-112, 2017

      7 이영란, "프랑스 컬리지 3학년(Collège 3ème) 시민교과목 연구: 주요 지향점과 핵심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49-173, 2011

      8 김정인, "프랑스 제3공화정 초기 공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체계의 완성" 한국서양사학회 (132) : 141-171, 2017

      9 이하나, "프랑스 공화국의 타자로서 알제리 이슬람" 한국서양사연구회 (59) : 271-284, 2018

      10 홍태영,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1 송용구, "프랑스의 학교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의 학교 시민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83-118, 2010

      2 "프랑스교육부 문서(2018년 교육과정)"

      3 "프랑스교육부 문서(2015년 교육과정)"

      4 "프랑스교육부 문서(2008년 교육과정)"

      5 진숙경, "프랑스, 왜 다시 시민교육인가?"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2018): 1-28, 2018

      6 심성은, "프랑스 학교 민주시민교육" 99-112, 2017

      7 이영란, "프랑스 컬리지 3학년(Collège 3ème) 시민교과목 연구: 주요 지향점과 핵심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49-173, 2011

      8 김정인, "프랑스 제3공화정 초기 공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체계의 완성" 한국서양사학회 (132) : 141-171, 2017

      9 이하나, "프랑스 공화국의 타자로서 알제리 이슬람" 한국서양사연구회 (59) : 271-284, 2018

      10 홍태영,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11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 과정 연구: 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2016 : 2016

      12 정흥준, "노동교육의 진단과 합리화" 한국노동연구원 2018

      13 김세희, "‘라이시테’를 통해서 본 19세기 프랑스의 교육 근대화와 도덕·시민교육" 한국교육사학회 42 (42): 1-24, 2020

      14 "https://humanhist.com/culture/bataillon-scolaire-preparation-militaire-societes-de-tir -et-de-gymnastique"

      15 "http://www.le-temps-des-instituteurs.fr/ens-bataillons-scolaires.html"

      16 Stasi, B, "RAPPORT AU PRESIDENT DE LA REPUBLIQUE, Commission de réflextion sur l』application du principe de laïcité dans la République"

      17 Desmery, K, "Ouvrir le champ des possibles avec l』EMC. Cahiers Pedagogiques"

      18 Bert, P, "L』instruction civique à l』école, Paris(Nouveau cours d'enseignement primaire)"

      19 Morin, P, "L』enseignement de la laïcité toujours en débat"

      20 Buisson, F, "L』article de Manuels, Nouveau dictionnaire de Pédagogie"

      21 Laronche, M, "Le retour de l'instruction civique et morale"

      22 Janichon, D, "Le Manuel de Langue Française aux XIXème siècle: L』Emergence d』" Armand Colin 2006

      23 Troger, V, "Laicité à l』école: Pourra-t-on un jour sortir des polémique ?"

      24 Baubérot, J, "La Loi de 1905 n』aura pas lieu: Histoire des Politiques des Eglises et de l』Etat" Editions de la MSH 2019

      25 "LOI n° 2005-380 du 23 avril 2005 d'orientation et de programme pour l'avenir de l'école"

      26 "LOI n° 2004-228 du 15 mars 2004"

      27 Ozouf, M, "L'École, l'Église et la République(1871-1914)" Seuil 2007

      28 Desmery, K, "Kéren Desmery : Le difficile parcours de l』Education Morale et civique"

      29 Ozouf, M, "JULES FERRY, La liberté et la tradition" Gallimard 2014

      30 Gurry, B, "Introuvable éducation civique"

      31 Jarraud, F, "Instruction civique et morale: le grand retour de la réaction ?"

      32 Desmery, K, "Histoire de l』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de 2012 à aujourd』hui, Réseau Canopé. 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 de la Jeunesse et des Sports"

      33 "France Culture, 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 de quoi parle-t-on"

      34 Jospin, L, "Déclaration de Politique générale à l』"

      35 Dryef, Z, "Du Bataclan à Samuel Paty, le poins lent de la peur"

      36 Legros, C, "Aux racines de la laïcité, cette passion très française à l』histoire tourmentée"

      37 Desmery, K, "Affaire Mila : et l』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dans tout ça ?"

      38 Roman, E, "A l』école de Jules Ferry" 119 : 6-8, 2006

      39 Universalis, "8 octobre-5 novembre 1998 France. Mouvement de revendication lycé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2-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5 0.8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