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도서(島嶼)의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Utilization of Islands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서 가장 취약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도서해양지역은 역대 정부에서 가장 수혜를 못 받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가 국가와 국민의 역량을 도서(섬...

      한국사회에서 가장 취약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도서해양지역은 역대 정부에서 가장 수혜를 못 받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가 국가와 국민의 역량을 도서(섬)에 집중하면 한반도 통일 이후 7,500만 민족의 미래 먹거리 및 고부가가치의 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도 있다는 가설 하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정부가 제4차 국토종합계획이 2020년 만료되고, 2021년부터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1-2040)을 수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균형발전·통일·지속가능·글로벌 경쟁력을 키워드로 하고 있고 최근에는 스마트 시티가 논의되고 있는데, 해양이 누락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정책 마련 촉구의 의미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9년 6월까지 추진된 우리나라 도서 해양의 부존자원 이용실태 및 도서개발 시책들을 종합적으로 문헌고찰하고,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벤치마케팅했던 일본의 이도촉진법 등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2021~2040년 5차 국토종합계획에 정부 도서(島嶼)정책의 정책 마련 촉구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도서 섬 실태와 그 이용의 문제점 및 개선책을 요약하면 첫째, 자연생태적인 입지 여건이 천혜의 어장이라는 것이다. 3,339여개의 유무인도가 천혜의 방파제 역할을 하며 과거 연안역을 따라 조업 및 한중일 동북아 국제무역을 하였던 우리나라 도서에 대한 자연생태 자원적·경제적 가치와 동해안 및 서해안 남해안의 굽이굽이 리아스식 해안선 및 홑섬 혹은 겹섬으로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도서경관적 가치 및 21세기 해양관광시대를 맞아 다양한 해양레포츠와 리조트 등 개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우리나라 도서는 보고(寶庫)가 아닌 애물 단지 취급을 받거나 유배지 혹은 낙도(落島)로 국가나 국민으로부터 외면을 당해왔다는 사실이다. 그 동안 1차부터 4차에 걸쳐 국토종합개발계획이 이루어졌고, 새마을사업, 4차에 걸친 도서종합개발계획사업 등을 추진하였지만 개발의 시너지 효과는 크게 드러나질 못한 상태에 있다는 것이 자명해졌다. 이에 따라 도서 섬 지역주민들의 정착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도시화 지역에 비해 노령화 지수, 빈곤지수가 더욱 더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인 도서 섬의 교육 문화여건 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 도서 섬 거주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나 소득은 육역의 도시지역보다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토균형발전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서는 국가정책의 대전환을 꾀해야 할 것이며, 특히 도서 섬 지역의 발전과 미래 대한민국의 경제영토 확장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vulnerable islands in the Korean societ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the least benefi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centrate the capacity of the state and people on the islands.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The most vulnerable islands in the Korean societ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the least benefi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centrate the capacity of the state and people on the islands.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on the islands where the future food of 75 million people and high value-added growth engines can be created.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is establishing the 5th National Land Comprehensive Plan (2021-2040) from 2021. The 5th National Land Comprehensive Plan, which focuses on safety, balanced development, unification, sustainability, and global competitiveness, is missing the oceans, which means calling for a policy for th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literature on the use of resources and island development policies promoted through June 2019. In particular,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comparative analysis with Japan's Island Promotion Act, which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and benchmark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 this, the 5th National Land Comprehensive Plan for 2021~2040 has suggested government island policies and an improvement plan.
      To summari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islands in Korea and their problems and remedies: Firstly, natural ecological location conditions provide the best fishing grounds. More than 3,339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s have served as a breakwater for thousands of people. In addition, the islands that have been populated in the past along the coastal area and which engaged in international trade in Northeast Asia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have natural ecological, resource, and economic values. These have the landscape value of unusual islands formed by the east coast and the west coast, the real coastline of the south coast, and single or double islands.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island, which has various development potentials such as various marine leisure activities and resorts, has been treated as a treasure, not as a treasure, place of exile, or as backward. In the meantime, the 1st through 4th National Comprehensive Land Development Plans were completed and though the Saemaul Undong project and the 4th Isl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were implemented, the synergy effect of development was not revealed. As a result, the settlement rate of the island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aging index and the poverty index are becoming more intense compared with the urbanization areas. The overall educa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the islands are weak, and the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of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are found to be weaker than those of the urban areas. In this context, the 5th National Land Comprehensive Plan, which is being promoted in terms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s expected to change the national policy.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islands and the expansion of the economic territory of Korea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자치부, "희망한국-행정자치부 정책백서" 행정자치부 3-125, 2008

      2 남정호, "황해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협력관리체제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 (20): 169-212, 2005

      3 차미숙, "해외의 섬 개발정책 사례와 시사점: 그리스 산토리니섬과 이탈리아 카프리섬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0-68, 2007

      4 전남발전연구원, "해외 신혼여행 섬 관광지 개발 동향 및 시사점" 전남발전연구원 1-35, 2012

      5 이웅규, "해양관광진흥법 제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30 (30): 41-68, 2018

      6 김농오, "해양·관광개발의 방향과 전략" 목포대학교 3-86, 2004

      7 연합뉴스, "해남 오시아노 관광단지 활성화…화원-신안 연결도로 가시화"

      8 김농오, "한국조경학회 호남지회 조경 발자취 자료집" 한국조경학회 호남지회 1059-1092, 2016

      9 김농오,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한국조경학회 119-139, 2002

      10 한경원, "한국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추진체계와 개선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 1-16, 2018

      1 행정자치부, "희망한국-행정자치부 정책백서" 행정자치부 3-125, 2008

      2 남정호, "황해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협력관리체제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 (20): 169-212, 2005

      3 차미숙, "해외의 섬 개발정책 사례와 시사점: 그리스 산토리니섬과 이탈리아 카프리섬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0-68, 2007

      4 전남발전연구원, "해외 신혼여행 섬 관광지 개발 동향 및 시사점" 전남발전연구원 1-35, 2012

      5 이웅규, "해양관광진흥법 제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30 (30): 41-68, 2018

      6 김농오, "해양·관광개발의 방향과 전략" 목포대학교 3-86, 2004

      7 연합뉴스, "해남 오시아노 관광단지 활성화…화원-신안 연결도로 가시화"

      8 김농오, "한국조경학회 호남지회 조경 발자취 자료집" 한국조경학회 호남지회 1059-1092, 2016

      9 김농오,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한국조경학회 119-139, 2002

      10 한경원, "한국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추진체계와 개선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 1-16, 2018

      11 양영철, "한국과 일본의 어촌 · 어항법 분석과 피셔리나 개발방향" 한국항해항만학회 36 (36): 81-87, 2012

      12 "통계청(KOSIS)"

      13 윤광일, "지역주의의 변화: 1988년, 2003년 및 2016년 조사결과 비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113-149, 2017

      14 설동일, "지구 온난화와 태풍의 변화 경향" 한국항해항만학회 34 (34): 453-458, 2010

      15 김도희,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와 대책" 해양환경안전학회 16 (16): 421-425, 2010

      16 통계청(KOSIS), "주민등록 인구현황"

      17 박진경, "주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도서개발정책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법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50) : 129-153, 2017

      18 임학성, "조선시기 京畿 島嶼지역의 空間認識 변화 -國營牧場 설치(조선 전기)에서 水軍鎭 설치(조선 후기)로-" 도서문화연구원 (43) : 39-64, 2014

      19 권영섭,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국토연구원 1-302, 2016

      20 행정자치부, "제4차 도서종합개발10개년계획(2018-2027)" 행정자치부 1-97, 2016

      21 건설교통부,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0~2020)" 건설교통부 5-148, 1999

      22 대한민국정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대한민국정부 8-196, 2011

      23 대한민국정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 대한민국정부 8-233, 2005

      24 박진경, "제3차 도서종합개발 10개년(’08~’17)계획 변경(안) 타당성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14, 2014

      25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제3차 도서종합개발 10개년(’08~’17) 계획 변경(안) 타당성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49, 2014

      26 행정자치부, "제3차 도서종합개발 10개년(08~17)계획" 행정자치부 2-87, 2008

      27 대한민국정부,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2001)" 대한민국정부 6-147, 1992

      28 대한민국정부,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1991)" 대한민국정부 7-133, 1982

      29 대한민국정부,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대한민국정부 5-153, 1971

      30 김농오, "전라남도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변화 분석" 도서문화연구원 (48) : 175-198, 2016

      31 김정호, "장보고와 청해진" 혜안 158-162, 1996

      32 송지영, "입체도시공원 개발을 위한 시사점 도출" 대한건축학회 25 (25): 21-30, 2009

      33 김승,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일본인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 211-261, 2006

      34 신순호, "일본의 이도(離島) 활성화 정책" 국토연구원 58-64, 2011

      35 조은정, "읍ㆍ면급 섬지역의 산업구조에 의한 공간기능 분화 유형별 특성" 한국농촌계획학회 21 (21): 129-141, 2015

      36 박상우, "우리나라 도서개발 정책 방향 모색: 한ㆍ일간 도서개발 정책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 : 67-92, 2009

      37 김승대, "우리 헌법과 한반도 영토ㆍ국경문제" 법학연구소 50 (50): 117-147, 2009

      38 김호경, "언론의 ‘해양환경’에 대한 의제설정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85-398, 2016

      39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 통합 모니터링 운영지침" 국립수산과학원 3-80, 2015

      40 강봉룡, "섬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에 즈음한 제언"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138-146, 2018

      41 심보균, "섬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과 정부의 섬 정책방향"

      42 강봉룡, "섬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과 정부의 섬 정책방향"

      43 이동신, "섬 연구의 특수성과 향후 발전방향 - 한국도서연구지의 발행과정과 관련하여-" 한국도서(섬)학회 22 (22): 1-24, 2010

      44 김농오, "서남해 도서 관광자원이용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 임해지역개발연구소 7 : 69-125, 1988

      45 박성현, "서남권 다도해 해역의 해양레저 기반여건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30 (30): 253-258, 2006

      46 김농오, "백제 문화유적 형태" ㈜환경과조경 123 : 48-53, 1998

      47 홍석훈, "문재인 정부의 평화・통일정책:북핵 문제와 미・중관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9 (19): 45-68, 2018

      48 남정호, "무인도서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기본 정책방향"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8 (8): 227-235, 2005

      49 최지연, "무인도서의 관광개발 여건과 추진방향" 해양환경안전학회 291-292, 2012

      5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서지역 개발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24, 2010

      51 김준, "도서정책의 성찰과 지속가능한 섬 만들기를 위한 시론" 경남발전연구원 121 : 14-23, 2012

      52 신순호, "도서개발정책에 대한 주민의식구조의 변화 분석-1995년과 2011년의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44) : 203-235, 2014

      53 박진경, "도서 미래발전을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150, 2015

      54 이정록, "남해안 선벨트 구상의 지역정책화 과정과 특징에 관한 시론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48 (48): 651-666, 2013

      55 奥野一生, "離島振興政策の展開と離島の動向" 71 (71): 362-371, 1998

      56 경향신문, "[사설]엉터리 도서종합개발계획에 기가 찬다"

      57 MIKI, T., "Overview of the Island Promotion Policy in Japan and its Development" The Association of Japanese Geographers 1-88, 2015

      58 Dallari, F., "European and Global Perspectives on Sacred Landscape" 9 (9): 252-256, 2018

      59 Altman, Irwin, "Culture and Environment" Books Publishing Co 3-234, 1984

      60 전라남도, "21C 전남도서 발전전략" 전라남도 31-82, 2000

      61 해양수산부, "2014년도 해양수산 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