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조~고종대 지밀방 궁녀의 삶과 직무 = The life and duties of the court ladies in Jimil-Bang (king’s private quarters) from the reign of King Sunjo to that of King about Gojong - A case study about Jejo Sanggung(Court lady) named H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0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man introduced in this atticle is identified only as Ha. She served as a court lady fOt more than seventy years from the reign of King Sunjo (r. 1800-1834) to that of King Gojong (1863-1907). She rose to the highest position among all court ladi...

      The woman introduced in this atticle is identified only as Ha. She served as a court lady fOt more than seventy years from the reign of King Sunjo (r. 1800-1834) to that of King Gojong (1863-1907). She rose to the highest position among all court ladies, that of Jejo Sanggung, and was responsible for handling matters pertaining to all the property that belonged to the women’s section of the Royal Court under the control of the queen.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contain details about the date of her death, the location of her parents’ house, her duties and salary, and her complex network of cliques among other things.
      Her career at the royal court coincided with the period spanning the door-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Empire (Daehan, 1897-1910). During that period, the Joseon Dynasty underwent epochal changes. As the highest court lady, she had to carry out her duties by maintaining the traditions of the Royal Court while simultaneously adapting to the chang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Research on the life of Lady Ha has enabled researchers to shed light on the considerable role played by court lad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handicrafts of the Royal Court, the details of which have remained obscure until now.
      The results of research on her life as a court lady can be exploited in a variety of relevant research areas. Her story is not merely a story about an individual: Rather, it offers a glimpse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 of a high-ranking court lady and the type of network of social relationships she maintained with others within the Royal Court. It is thought that the content of this article could also serve as a useful material for studies of women’s social activities, including those associated with fine art, during the Joseon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관련기록의 편찬시기와 진위 재검토
      • Ⅲ. 고종의 어제치제문을 통해 본 일대기
      • Ⅳ. 제조상궁으로서의 직책과 직무
      • Ⅴ. 하상궁의 직무 내용과 특징
      • Ⅰ. 서론
      • Ⅱ. 관련기록의 편찬시기와 진위 재검토
      • Ⅲ. 고종의 어제치제문을 통해 본 일대기
      • Ⅳ. 제조상궁으로서의 직책과 직무
      • Ⅴ. 하상궁의 직무 내용과 특징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李英淑, "「朝鮮初期內命婦에 대하여" 歷史學報 96, 1982

      2 金命吉, "樂善齋周邊" 東亞日報·東洋放送, 1977

      3 정연식, "조선시대 이후 벼와 쌀의 상대적 가치와 용량" 역사와 현실 (69) : 293 ~ 321, 2008

      4 이미선, "조선시대 後宮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 2012

      5 金一根, "일등상궁 하상궁의 궁체글씨" 월간서예, 2002

      6 "위시분뇨긔"

      7 李恩英, "양식적 슬픔의 미학 :조선 초기의 제문을 중심으로" 태학사, 2004

      8 "병인맹춘큰뎐의련도"

      9 "병인맹춘큰뎐분뇨도"

      10 "병인대전분뇨도"

      1 李英淑, "「朝鮮初期內命婦에 대하여" 歷史學報 96, 1982

      2 金命吉, "樂善齋周邊" 東亞日報·東洋放送, 1977

      3 정연식, "조선시대 이후 벼와 쌀의 상대적 가치와 용량" 역사와 현실 (69) : 293 ~ 321, 2008

      4 이미선, "조선시대 後宮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 2012

      5 金一根, "일등상궁 하상궁의 궁체글씨" 월간서예, 2002

      6 "위시분뇨긔"

      7 李恩英, "양식적 슬픔의 미학 :조선 초기의 제문을 중심으로" 태학사, 2004

      8 "병인맹춘큰뎐의련도"

      9 "병인맹춘큰뎐분뇨도"

      10 "병인대전분뇨도"

      11 오인영, "미국 여성의 개화기 한국 체험 :푸트 부인(Mrs.RoseF. Foote)의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학술회의 발표문, 2005

      12 묄렌도르프 지음, "묄렌도르프自傳" 집문당, 1998

      13 구혜인, "동아시아의 궁중 미술" CAS한국미술연구소, 2013

      14 박성준, "대한제국기 신설 궁의 재정기반과 황실재정정리" 역사교육 105 (105) : 99 ~ 136, 2008

      15 신명호, "궁녀" 시공사, 2004

      16 김현숙, "韓國 近代 西洋人 顧問官 硏究 (1882-190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7 "荷齋日記"

      18 "經國大典" 2005

      19 "珠淵集"

      20 "朝鮮王朝實錄"

      21 金用淑, "朝鮮朝宮中風俗硏究" 일지사, 1987

      22 金用淑, "朝鮮後期內人生活硏究" 亞細亞女性硏究 3, 1964

      23 李恩英,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 英祖 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한국한문학연구 (30) : 103 ~ 143, 2002

      24 "承政院日記"

      25 "尹致昊日記"

      26 "宮房致祭文謄錄"

      27 李王職, "女官制度沿革 ,1910~1945間寫,장서각소장,K2-2032(MF35-1257)"

      28 황정연, "19-20세기 초 조선 궁녀의침선 활동과 궁중 자수서화병풍의 제작"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26) : 7 ~ 39, 2013

      29 조영준, "18世紀後半~20世紀初 宮房田의 規模, 分布 및 變動" 조선시대사학보 (44) : 175 ~ 22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