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족어문학과 국어학: 영역과 경계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d : In the Territory and the Bound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8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최근 `국어학`의 대체 개념으로 부각된 `민족어학`의 개념을 되짚어보고 이러한 개념의 변화가 `한민족`에 대한 정체성의 확보와 유관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한민족어학(...

      본고에서는 최근 `국어학`의 대체 개념으로 부각된 `민족어학`의 개념을 되짚어보고 이러한 개념의 변화가 `한민족`에 대한 정체성의 확보와 유관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한민족어학(혹은 한어학)`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과 함께 `한류` 및 `한글문명권`의 시각에서 남북의 정치적 이념에 한계 지어진 명칭`한국어`와 `조선어`를 뛰어넘는 통합적 명칭으로서 `한민족어`의 사용을 강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민족어학` 혹은 `겨레말`, `우리말` 등의 대명사적 용법으로 우리 민족어를 지칭하려는 경향에 대해 국제적 시각에서 우리 민족어를 `한민족어` 혹은 `한어(韓語)`로 부를 수 있는 자신감을 획득할 때, 분단의 한계에 기인한 여러 개념상의 혼란이 정지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placing the concept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emerging alternative concept `The Study of National Language` is detrimental to securing the identity of Koreas national language.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use of `Korean Natio...

      Replacing the concept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emerging alternative concept `The Study of National Language` is detrimental to securing the identity of Koreas national language.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use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s an integrated name that goes beyond the names `Korean National` and `Chosen language`, which are limited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North and Sou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Wave` and `the Hangeul cultural sphere`. In this paper, we have recently examined the tendency to refer to our national language in terms of pronouns such as `ethnic language` or `"Georemal` or `Our language`. When we gained the confidence to call our national language as `Korean National Language` or `Han language` in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we expected that various conceptual confusion stemming from the limitation of division would cea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수, "현대의 국어연구사(1945~1992)" 서광학술자료사 1993

      2 김동석,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민족어문학회 0 (0): 385-414, 2006

      3 이상혁, "해방 후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의 경향" 민족어문학회 0 (0): 5-32, 2007

      4 한성우, "한민족 통일 시대를 위한 ‘민족어’의 성찰과 모색" 한국어문학회 (127) : 113-139, 2015

      5 최경봉, "한글민주주의" 책과함께 2012

      6 국어연구소, "한글맞춤법 해설"

      7 박창원, "한국어의 정비와 세계화 1" 박문사 2009

      8 김양진, "한국어와 만주어의 형태론적 동형성" 민족문화연구원 (67) : 97-125, 2015

      9 조태린, "한국어교육의 발전에 따른 국어관의 변화와 국어 연구의 변화 가능성" 우리말글학회 60 : 75-92, 2014

      10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연구원 2001

      1 김민수, "현대의 국어연구사(1945~1992)" 서광학술자료사 1993

      2 김동석,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민족어문학회 0 (0): 385-414, 2006

      3 이상혁, "해방 후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의 경향" 민족어문학회 0 (0): 5-32, 2007

      4 한성우, "한민족 통일 시대를 위한 ‘민족어’의 성찰과 모색" 한국어문학회 (127) : 113-139, 2015

      5 최경봉, "한글민주주의" 책과함께 2012

      6 국어연구소, "한글맞춤법 해설"

      7 박창원, "한국어의 정비와 세계화 1" 박문사 2009

      8 김양진, "한국어와 만주어의 형태론적 동형성" 민족문화연구원 (67) : 97-125, 2015

      9 조태린, "한국어교육의 발전에 따른 국어관의 변화와 국어 연구의 변화 가능성" 우리말글학회 60 : 75-92, 2014

      10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연구원 2001

      11 고영근, "통일언어철학의 탐색방향" 한국어문학회 (91) : 1-21, 2006

      12 고영근, "통일시대의 어문문제" 도서출판 길벗 1994

      13 정진아, "코리언의 민족어 현실과 통합의 미래 -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넘어 -" 겨레어문학회 (51) : 559-594, 2013

      14 김양진, "초기 한민족 형성기의 차자 표기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민족어" 민족어문학회 (61) : 253-290, 2010

      15 윤인진, "중앙아시아 한인의 언어와 민족정체성" 한국사회학회 1997

      16 킹 러스,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언어-고려말" 한글학회 217 : 1992

      17 곽충구,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역사와 그 언어적 성격"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9 : 127-168, 2004

      18 강주원, "중·조 국경 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9 서민정, "주변어로서 조선어, ‘국어’ 되기" 인문학연구소 65 : 7-31, 2009

      20 정진아, "재러 고려인의 생활문화" 선인 2012

      21 하정일, "임화의 민족문학론과 언어론" 한국근대문학회 (23) : 7-34, 2011

      22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함께 2005

      23 백두현, "우리말[韓國語]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 언어과학회 1 (1): 115-140, 2004

      24 고영근, "우리 언어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한신문화사 1996

      25 김하수, "연세 자유진리 4" 연세대 출판부 1993

      26 고영군,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27 이민홍, "언어민족주의와 언어사대주의의 갈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28 김민수, "신국어학사" 일조각 1980

      29 김민수,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4" 녹진 1991

      30 권재일, "북한의 우리말 연구 성과와 <조선어학전서>" 외솔회 114 : 150-183, 2008

      31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32 북한언어연구회, "북한의 어학혁명" 도서출판 백의 1989

      33 박선우, "북한의 어학혁명" 도서출판 백의 1989

      34 김민수, "북한의 국어연구" 고려대 출판부 1985

      35 김하수, "북한에서 보는 조선어에 대한 일반 언어학적 해석에 관하여" 국학연구원 98 : 509-523, 1997

      36 이상혁, "북한 조선어학의 특징에 대하여 -<조선어학전서>(2005)와 <언어학연구론문색인사전>(2006)을 대상으로-" 민족어문학회 (64) : 137-161, 2011

      37 고종석, "발굴 한국현대사 인물" 백산출판사 1991

      38 홍종선, "민족어의 통합 통일과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민족문화연구원 (59) : 291-313, 2013

      39 고영근,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 2008

      40 배개화, "민족어, 민족문학, 리얼리즘-임화의 경우-"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173-198, 2008

      41 김민수, "민족과 민족어" 이중언어학회 1 : 173-174, 1983

      42 이규호, "말의 힘-언어철학" 제일출판사 1974

      43 이상규, "내일을 위한 방언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44 김민수, "남북한 언어의 차이" 국립국어연구원 5 : 1995

      45 김양진(金亮鎭),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형태 규범(표기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0) : 83-119, 2003

      46 김민수,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2002

      47 김민수,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2002

      48 홍종선, "남북언어 통일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1998

      49 김민수, "김정일 시대의 북한언어" 태학사 1997

      50 김민수, "김정일 시대의 북한언어" 태학사 1997

      51 이상혁, "근대 학문 형성기 근대 국어의 성격에 대하여-문체의 변주와 어문규범의 길항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5 : 167-194, 2014

      52 복거일, "국제어 시대의 민족어" 문학과지성사 1998

      53 고영근, "국어학과 국문학의 통합과 확산-국어국문학: 하나인가, 둘인가" 국어국문학회 131 : 2002

      54 김민수, "국어정책론" 고대출판부 1973

      55 김민수, "국어와 민족문화" 집문당 1984

      56 박창원, "국어사의 새로운 이해(1)-전체적인 흐름의 이해를 중심으로-" 이화어문학회 32 : 171-214, 2013

      57 이연숙, "국어라는 사상" 소명출판 2006

      58 정경일, "국어 의식과 외래 학문의 영향" 민족어문학회 (61) : 225-252, 2010

      59 허승철, "구소련 지역 한인의 언어 동화와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재외한인학회 6 : 1996

      60 남풍현, "고려시대의 언어 문자관" 3 : 76-88, 1989

      61 이병근,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33, 2003

      62 문금현, "南北韓 語彙의 同質性과 異質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35-61, 2004

      63 김양진, "≪고려사(高麗史)≫ 속의 고려어(高麗語) 연구" 국어학회 (52) : 189-220, 2008

      64 이상혁, "‘한국어’ 명칭의 위상 변천과 그 전망 -언어 환경 변화에 따른 ‘Korean language’ 명칭 변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6) : 165-188, 2009

      65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기획좌담> 코리언의 생활문화와 민족공동의 생활문화"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54 :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