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진 리의 『파친코』에 나타난 재일한인의 장소담론 = Place Discourse of Koreans in Japan: Min Jin Lee’s Pachink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modern socio-political history of territorial struggles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Korean war, the division of South-North Korea and overseas displacement, Korean cultural contents are intermittent with a uniquely keen sense of placeness...

      Due to the modern socio-political history of territorial struggles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Korean war, the division of South-North Korea and overseas displacement, Korean cultural contents are intermittent with a uniquely keen sense of placeness. Korean American writer, Min Jin Lee’s recently published novel Pachinko (2017), based on the Korean expatriate minority community, involves a place politics of a multi-layered matrix of topophilia and topophobia. Pachinko strongly questions a rigid understanding of territorial boundaries of closed nationalism and expands a strong sense of a transnational outlook. This paper proposes Pachinko as a literary text for the civic concern of global citizenship to envision the empathetic civilization. The discussion of place politics in literature ultimately leads to the enhancement of the democratic value of coexistence as global citizens, and the empathetic extension of the global awareness of the human life circl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human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근대사의 문화콘텐츠에는 일본강점기, 한국전쟁, 남북 분단, 디아스포라로 이어지는 장소이동의 역사적 상황으로 인한 장소의식이 두드러진다. 피식민적 상황으로 인한 강제 이주와 ...

      한국 근대사의 문화콘텐츠에는 일본강점기, 한국전쟁, 남북 분단, 디아스포라로 이어지는 장소이동의 역사적 상황으로 인한 장소의식이 두드러진다. 피식민적 상황으로 인한 강제 이주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장소애착으로, 동시에 정치경제적 경계에 대한 자의식과 금지된 지역에 대한 좌절의 정서는 장소상흔으로 드러나고 있다. 디아스포라적 장소의식에 공감하는 재미한인 작가 민진 리(Min Jin Lee)의 최신작『파친코』(Pachinko, 2017)에는 한국 근대사에서 형성된 재일한인들의 장소의식과 정서구조가 부각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소는 역사의 동인이자, 존재의 근간을 형성한다는 시각에서, 장소성의 모티프가 분명한 『파친코』를 중심으로 재일 한인의 장소 담론을 고찰한다. 나아가 국가경계 중심의 폐쇄적 장소성을 넘어서는 탈경계적 공존의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장소 담론의 사회적 독해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공감의 문명 공동체로서 인류 미래의 지속가능성을 향한 글로벌 시민의식의 확장을 모색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oddings, Nel, "Yonsei Christian Education Forum" Hakyidong 52-, 2009

      2 Rifkin, Jeremy, "The Empathetic Civilization"

      3 Rifkin, Jeremy, "The Empathetic Civilization" 120-, 2010

      4 Rifkin, Jeremy, "The Empathetic Civilization" Mineum 16-17, 2010

      5 Tuan, Yi-Fu, "Space and Place" Daeyeun 6-, 2007

      6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ness" Nonhyung 309-, 2005

      7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ness"

      8 Lee, Min Jin, "Pachinko" Munhak Sasang 11-, 2018

      9 Lee, Min Jin, "Pachinko" Grand Central Publishing 2017

      10 Noddings, Nel, "Educating Citizens for Global Awareness"

      1 Noddings, Nel, "Yonsei Christian Education Forum" Hakyidong 52-, 2009

      2 Rifkin, Jeremy, "The Empathetic Civilization"

      3 Rifkin, Jeremy, "The Empathetic Civilization" 120-, 2010

      4 Rifkin, Jeremy, "The Empathetic Civilization" Mineum 16-17, 2010

      5 Tuan, Yi-Fu, "Space and Place" Daeyeun 6-, 2007

      6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ness" Nonhyung 309-, 2005

      7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ness"

      8 Lee, Min Jin, "Pachinko" Munhak Sasang 11-, 2018

      9 Lee, Min Jin, "Pachinko" Grand Central Publishing 2017

      10 Noddings, Nel, "Educating Citizens for Global Awareness"

      11 Safran, William,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1 (1): 83-99,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