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젠더거버넌스 운영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고찰 - 젠더거버넌스 행위자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Gender Governance Operations - Focus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Gender Governance 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32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젠더거버넌스 행위자들의 거버넌스 운영 경험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젠더거버넌스의 주된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젠더거버넌...

      본 연구는 젠더거버넌스 행위자들의 거버넌스 운영 경험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젠더거버넌스의 주된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젠더거버넌스 운영의 실효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젠더거버넌스 운영의 문제점은 관료·전문가·시민 등 3가지 행위자별로 범주화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관료그룹과 관련된 문제 유형은 ‘불안정한 거버넌스 지속’, ‘변화거부’, ‘대등하지 않은 파트너십’, ‘젠더감수성 부족’ 등 4개의 본질적 주제로 묶이며, 둘째, 전문가그룹의 문제 유형은 ‘탁상공론’, ‘소극적 참여’ 등 2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으며, 셋째, 시민그룹의 문제 유형으로는 ‘개인에 의존’, ‘실현가능성 부족’, ‘공공성 부족’, ‘여전한 가부장성’ 등 4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위의 세 가지 주요 행위자별 범주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행정 혁신, 시민사회 역량강화, 지역에 기반한 전문가와 시민의 적극적 참여 및 젠더거버넌스 운영에서의 권한강화, 거버넌스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 공유 및 변화를 위한 도전 등을 젠더거버넌스 운영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gender governance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Korea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s of key actors in the participation of gender actors, and to find way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gender governance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Korea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s of key actors in the participation of gender actor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ender governance operations based on thi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uitable for exploring the ‘essence of experience’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gender governance operation can be categorized and explained by three actors: bureaucrats, experts, and citizens. First, the types of issues related to bureaucratic groups are grouped into four essential themes: ‘Constant Unstable Governance’, ‘Rejection of Change’, ‘Unmatched Partnership’, and ‘Insufficient Gender Sensitivity’. Second, the types of problems related to the expert group appeared as two essential themes: ‘tabletop theory’ and ‘passive participation’. Third, four intrinsic themes were derived as a type of problem for the civic group: ‘Depending on the individual’, ‘Insufficient feasibility’, ‘Insufficient public’, and ‘Still patriarchy’.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above three main actor-specific categorie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ender governance management: administrative innovation, civil society capacity building, active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gender governance management of experts and citizens based in the region, sharing goals to achieve through governance and challenge for chan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주, "충남 성주류화 젠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추진 주체들의 역할과 과제" 2012

      2 박은하, "청소년 젠더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젠더거버넌스에 참여한 시민활동가의 젠더감수성 발달 경험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4) : 83-114, 2020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4 Creswell, John M,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5 안태윤, "젠더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6

      6 원숙연, "젠더-거버넌스의 가능성 탐색: 성매매방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85-124, 2006

      7 원숙연, "젠더-‘거버넌스’? ‘젠더’-거버넌스? : 서울시의 ‘여성이 행복한 도시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여성연구원 28 (28): 3-36, 2011

      8 이재경, "여성주의 정책 패러다임 모색과 ‘성평등’" 한국여성학회 28 (28): 1-33, 2012

      9 김은경, "여성정책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분석: 여성부의 협력사업 사례" 아시아여성연구원 47 (47): 67-101, 2008

      10 장영민, "여성발전기본법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06

      1 김영주, "충남 성주류화 젠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추진 주체들의 역할과 과제" 2012

      2 박은하, "청소년 젠더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젠더거버넌스에 참여한 시민활동가의 젠더감수성 발달 경험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4) : 83-114, 2020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4 Creswell, John M,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5 안태윤, "젠더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6

      6 원숙연, "젠더-거버넌스의 가능성 탐색: 성매매방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85-124, 2006

      7 원숙연, "젠더-‘거버넌스’? ‘젠더’-거버넌스? : 서울시의 ‘여성이 행복한 도시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여성연구원 28 (28): 3-36, 2011

      8 이재경, "여성주의 정책 패러다임 모색과 ‘성평등’" 한국여성학회 28 (28): 1-33, 2012

      9 김은경, "여성정책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분석: 여성부의 협력사업 사례" 아시아여성연구원 47 (47): 67-101, 2008

      10 장영민, "여성발전기본법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06

      11 신상숙,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거버넌스 ― 국가기구의 제도적 선택성과 여성운동* ―" 한국여성연구소 11 (11): 153-197, 2011

      12 정인경, "신자유주의 시대 젠더 거버넌스: 기회와 위험"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333-368, 2013

      13 강현아, "성주류화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구성 주체의 역할: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2012

      14 황은정, "성주류화 정책을 위한 젠더거버넌스 형성가능성 -서울지역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모니터링 과정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83-206, 2015

      15 박은미, "성주류화 정책실현 사례 및 시사점: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2013

      16 안경주, "성별영향평가와 젠더-거버넌스의 구축:세 지역사례의 분석을 통해 본 쟁점" 한국여성학회 29 (29): 155-190, 2013

      17 이은아, "성 주류화와 성평등 사회구조로의 ‘전환가능성’: 성별영향분석평가 컨설팅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65-288, 2016

      18 서창록, "거버넌스의 정치학" 법문사 3-34, 2002

      19 김석준, "거버넌스의 이해" 대영문화사 15-58, 2002

      20 문순홍, "거버넌스와 젠더: 젠더친화적 거버넌스의 조건에 대한 탐구" 2000

      21 Rees, Teresa, "Reflection on the Uneven Development of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 7 (7): 555-574, 2005

      2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 Sage 2007

      23 Ghiloni, Beth, "Power Elites and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21-36, 1987

      24 UN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Platform for Action" UN 1995

      25 Moustakas, Clark,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26 van der Loo, Hans, "Modernisierung: Projekt und Paradox" dtv 1992

      27 Jordan, A. G, "Iron Triangles, Woolly Corporatism and Elastic Nets: Images of the Policy Process" 1 (1): 95-123, 1981

      28 Woodward. Alison, "Informal Governance in the European Union" Edward Elgar 76-93, 2004

      29 Walby, Sylvia, "Gender Mainstreaming: Productive Tensions in Theory and Practice. Social Politics" 12 (12): 321-343, 2005

      30 Hoard, Season, "Gender Expertise in Public Policy: Towards a Theory of Policy Success" Palgrave Macmillan 2015

      31 Verloo, Mieke, "Displacement and Empowerment: Reflections of the Concept and Practice of the Council of Europe Approach to Gender Mainstreaming and Gender Equality" 12 (12): 344-36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3 1.5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