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사회 현상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재고와 전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성장해 온 한국어교육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현상들을 일으켜 왔으며,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은 이 현상에 조응하여 어떠한 방향과 정체성을 ...

      이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성장해 온 한국어교육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현상들을 일으켜 왔으며,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은 이 현상에 조응하여 어떠한 방향과 정체성을 형성해 왔는지를 거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운다는 이미지는 민족주의와 결부되어 다소 편향성을 띤 채 한국 사회에 자리잡아 왔으며, 최근에는 유튜브와 같은 거대 플랫폼에서 ‘외국인 반응’과 같은 콘텐츠의 유형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국어교육 현상 속에서 보이는 편향성과 편견의 위태함은 동시에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며, 한국어교육을 연구하고 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에도 다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해 한국어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의 문제와 외적 운영의 문제로 나누어 학술사, 대학의 생태, 제도와 정책 면에서 그 난점을 살펴보았으며, 궁극적으로는 ‘국어-한국어’의 이분법적인 시각을 넘어 ‘자연어’로서 한국어의 의사소통을 살피고 그 역량에 기여하는 학문으로서, 또 한국 사회의 언어다양성에 대해 대응하고 바람직한 길을 모색할 수 있는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이 역할을 할 때 세계 어문학으로서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sought to take a broad view and examine the social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d grown around the 2000s, an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response to this ph...

      The present study sought to take a broad view and examine the social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d grown around the 2000s, an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response to this phenomena. The image of foreigners learning Korean has been somewhat biased in Korean society in conjunction with nationalism, and has recently evolved into a type of content such as “foreigners’ reaction” on mass contents platforms such as YouTube. The risk of bias and prejudice seen in the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gain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also having a huge impact on universities that stud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I divided the internal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into external operations and the difficulties of diachronic academic field, university ecology, administrative system and policy. Ultimately,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academic discipline have to play a significant role to find implications of communication, to overcome native-nonnative dichotomy, to exploring desirable prospects in language diversity community as a nature of language for Korean spea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한국어교육 현상’의 형성
      • 3. 한국어교육 현상과 ‘한국어교육학’의 조응(照應)
      • 4. 한국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학 전공의 현실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한국어교육 현상’의 형성
      • 3. 한국어교육 현상과 ‘한국어교육학’의 조응(照應)
      • 4. 한국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학 전공의 현실
      • 5. 나가며: 미래 세계 어문학과 한국어교육학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윤, "해외가 ‘깜짝’ 놀랐다고? 지나친 유튜브 ‘국뽕’ 콘텐트, 근원은"

      2 장규수,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6-173, 2011

      3 박재현, "한국어의 교육: 越境과 統合" 국어국문학회 (177) : 41-71, 2016

      4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59, 2012

      5 민병곤, "한국어교육학개론" 태학사 2020

      6 조태린, "한국어교육의 발전에 따른 국어관의 변화와 국어 연구의 변화 가능성" 우리말글학회 60 : 75-92, 2014

      7 강승혜,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7-60, 2003

      8 서수진, "코리안 티처 (제52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한겨레출판 2020

      9 강남욱, "지역 ‘외국어학습센터’의 필요성과 국가평생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 ‘문법적 경험’의 사회복지적 지평과 혜택에 대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139-147, 2019

      10 강남욱, "지석영본 <아학편(兒學編)>(1908)으로 살펴본 트랜스링구얼리즘(translingualism)과 교육적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7 (47): 457-491, 2019

      1 정희윤, "해외가 ‘깜짝’ 놀랐다고? 지나친 유튜브 ‘국뽕’ 콘텐트, 근원은"

      2 장규수,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6-173, 2011

      3 박재현, "한국어의 교육: 越境과 統合" 국어국문학회 (177) : 41-71, 2016

      4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59, 2012

      5 민병곤, "한국어교육학개론" 태학사 2020

      6 조태린, "한국어교육의 발전에 따른 국어관의 변화와 국어 연구의 변화 가능성" 우리말글학회 60 : 75-92, 2014

      7 강승혜,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7-60, 2003

      8 서수진, "코리안 티처 (제52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한겨레출판 2020

      9 강남욱, "지역 ‘외국어학습센터’의 필요성과 국가평생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 ‘문법적 경험’의 사회복지적 지평과 혜택에 대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139-147, 2019

      10 강남욱, "지석영본 <아학편(兒學編)>(1908)으로 살펴본 트랜스링구얼리즘(translingualism)과 교육적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7 (47): 457-491, 2019

      11 노영은,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외국인 리액션’ 콘텐츠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 : 7-38, 2020

      12 표명환,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41) : 45-65, 2011

      13 박영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월인 2001

      14 한국일보, "오피니언(칼럼), 백승주의 언어의 서식지 “한국어, 착취의 언어”(백승주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기고)"

      15 강남욱, "소통과 통합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책무" 교육연구원 38 (38): 241-266, 2018

      16 권순희,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 우리말학회 (39) : 5-24, 2014

      17 강남욱,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관계에 대한 학술사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455-468, 2015

      18 김기윤, "“국뽕도 과하면 치사량”? … 난무하는 국뽕 콘텐츠에 ‘반국뽕’도 늘어"

      19 조태린, "‘국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학회 (48) : 363-39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