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발달심리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과학철학적 탐색: 발달현상의 연구와 발달적 맥락의 의미 = Developmental context is not an object of thought, but a thought in itsel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7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서 발달심리학의 주된 연구대상은 무엇일까? 인간발달에 대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사실의 발견일까, 아니면 한국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행동과 사고의 변화에 대한 심리...

      한국사회에서 발달심리학의 주된 연구대상은 무엇일까? 인간발달에 대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사실의 발견일까, 아니면 한국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행동과 사고의 변화에 대한 심리학적인 탐색일까? 한국사회의 발달심리학은 한국인의 심리와 발달현상을 탐색하기보다는 보편적인 인간의 발달현상을 한국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탐색하였다. 이렇듯 일반적인 발달현상을 한국인을 통해 연구하면서, 한국인의 행동과 사고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 상태였다. 이것은 특정 사회 속에서 발달심리학이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하면서 어떤 연구활동을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발달심리학의 주된 연구대상이 되는 ‘발달적 변화’나 ‘발달 현상’은 그것이 일어나는 맥락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한국인의 발달 내용과 속성에는 한국사회라는 맥락이 작용한다. 실험실 맥락 만을 고집하였던 한국심리학의 전통적인 연구를 고려해 본다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발달 현상을 탐색하려는 노력은 발달심리학 연구 방향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것은 한편으로 전통적인 심리학 연구에서 채택되어 왔던 변인 중심적 접근보다, 각 개인을 조직화된 전체로 보고 그 변화와 적응의 과정을 살펴보려는 개인 중심적 접근의 도입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구분되는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 연구문제와 내용이 맥락 속에서 어떤 타당성을 가지는가를 고려하는 발달심리학의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발달심리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새롭게 재고시킬 것이다. 또한 이런 변화의 과정은 발달심리학 연구가 한국인이 경험하는 구체적인 발달문제를 해결하고 또 발달을 촉진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in Korea has limited itself in the area of child studies, so that it could not identify the developmental phenomena in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is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developmental psycholo...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in Korea has limited itself in the area of child studies, so that it could not identify the developmental phenomena in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is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developmental psychology in Korean society which seeks to scrutinize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mind in the society. The developmental change means the integrated phenomena of the content and nature of developmental change. The content of developmental change is intrinsic to the context in which the change occurs, so that the developmental research has to deal with the developmental issues in Korean social context. The framework to study the developmental phenomena in context has set up by distinguishing the content and nature of developmental change. It is also to look for the person-centered approach rather than to pursue the variable centered approach. I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has to take its place in Korean society, it will be dependent upon not by the methodological rigidity, but by the social impact valid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