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유 기간에 따른 심미적 제품의 감각포만과 지각된 편익 차이에 대한 연구 = Differences of Sensory Satiation and Perceived Benefits According to Time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3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peated exposure to the aesthetic design results in consumers experiencing satiation because of the sensory satiety. In other words, consumers experience satiety, defined as the drop in sensory pleasure with repeated aesthetic consumption. However, t...

      Repeated exposure to the aesthetic design results in consumers experiencing satiation because of the sensory satiety. In other words, consumers experience satiety, defined as the drop in sensory pleasure with repeated aesthetic consumption. However, the sensory satiety formed by cognitive overload may dilute memory of sensory satiety due to amnesia after a certain time. Amnesia of sensory satiety can be defined as a situation in which the memory of the sensory satiety stored by working memory fades and experiences withdrawal difficul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sensory satiety affects perceived benefits negatively. However, sensory satiety can be reduced over time even if it is repeatedly exposed to aesthetic design. To further refine the amnesia effect of sensory satiety changes in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benefits of owner's perception of aesthetic products were also investig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심미적 제품에 감각포만을 경험한 소비자는 다른 제품을 탐색하려는 의지 가 형성된다. 따라서 심미적 제품을 관리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감각포만을 적절하게 관리...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심미적 제품에 감각포만을 경험한 소비자는 다른 제품을 탐색하려는 의지 가 형성된다. 따라서 심미적 제품을 관리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감각포만을 적절하게 관리해야할 필요 성을 가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경험하는 감각포만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강도가 약 해질 수 있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심미적 제품을 반복적으로 접한 소비자는 싫증을 경험하 고 이러한 정보들이 작업기억을 통해 저장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억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쇠잔되고 새 롭게 유입된 정보들에 의해 기억 인출 과정에서 간섭을 받아 자연스럽게 망각될 수 있다. 심미적 제품 에 감각포만을 경험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망각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을 살 펴보면, 심미적 제품의 감각포만이 회복되는 과정을 검증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는 심미적 제품 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감각포만을 경험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러한 감각포만은 줄 어들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심미적 제품에 대해 소유 자가 지각하는 기능적‧정서적 편익 그리고 제품전환의도의 변화도 함께 검증하고자 했다. 검증결과 심 미적 제품 구매 후 3개월까지는 싫증과 익숙함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싫증과 익숙함이 점진적 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주언, "심미적 브랜드(Aesthetic Brand)란 무엇인가? : 심미적 브랜드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 한국광고학회 24 (24): 79-106, 2013

      2 이은미, "심미적 디자인의 감각포만이 지각된 가치와 제품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37 (37): 15-23, 2019

      3 전주언, "심미적 디자인에 대한 감각포만의 발견: 감각포만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품학회 37 (37): 31-39, 2019

      4 안광호,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형성의 이중경로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0 (20): 67-89, 2009

      5 전미영, "누가, 어떤 상품에 싫증을 느끼는가?" 한국소비자학회 18 (18): 1-24, 2007

      6 Lasaleta, J. D., "When promoting similarity slows satiation : The relationship of variety, categorization, similarity, and satiation" 55 (55): 446-457, 2018

      7 Lee, B. G.,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witching blogs?" 7 (7): 83-97, 2011

      8 Galak, J., "Variety amnesia : Recalling past variety can accelerate recovery from satiation" 36 (36): 575-584, 2009

      9 Lattin, J. M., "Using a variety-seeking model to identify substitut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competing products" 22 (22): 330-339, 1985

      10 Morewedge, C., "Thought for food : Imagined consumption reduces actual consumption" 330 (330): 1530-1533, 2010

      1 전주언, "심미적 브랜드(Aesthetic Brand)란 무엇인가? : 심미적 브랜드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 한국광고학회 24 (24): 79-106, 2013

      2 이은미, "심미적 디자인의 감각포만이 지각된 가치와 제품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37 (37): 15-23, 2019

      3 전주언, "심미적 디자인에 대한 감각포만의 발견: 감각포만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품학회 37 (37): 31-39, 2019

      4 안광호,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형성의 이중경로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0 (20): 67-89, 2009

      5 전미영, "누가, 어떤 상품에 싫증을 느끼는가?" 한국소비자학회 18 (18): 1-24, 2007

      6 Lasaleta, J. D., "When promoting similarity slows satiation : The relationship of variety, categorization, similarity, and satiation" 55 (55): 446-457, 2018

      7 Lee, B. G.,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witching blogs?" 7 (7): 83-97, 2011

      8 Galak, J., "Variety amnesia : Recalling past variety can accelerate recovery from satiation" 36 (36): 575-584, 2009

      9 Lattin, J. M., "Using a variety-seeking model to identify substitut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competing products" 22 (22): 330-339, 1985

      10 Morewedge, C., "Thought for food : Imagined consumption reduces actual consumption" 330 (330): 1530-1533, 2010

      11 Redden, J. P., "The subjective sense of feeling satiated" 142 (142): 209-217, 2013

      12 Inman, J. J., "The role of sensory-specific satiety in attribute-level variety seeking" 28 (28): 105-120, 2001

      13 Holbrook, M.,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9 (9): 132-140, 1982

      14 Pine, B. J., "The experience economy : Work is theatre and every business sta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

      15 Chaudhuri, A.,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 The role of brand loyalty" 65 (65): 81-93, 2001

      16 Yim, C. K., "Strengthening customer loyalty through intimacy and passion : Roles of customer-firm affection and customer-staff relationships in services" 45 (45): 741-756, 2008

      17 Park, C. W.,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50 (50): 135-145, 1986

      18 Hetherington, M., "Stimulus satiation : Effects of repeated exposure to foods on pleasantness and intake" 38 (38): 19-28, 2002

      19 Glanzer, M., "Stimulus satiation : An explanation of spontaneous alternation and related phenomena" 60 (60): 257-268, 1953

      20 Krishna, A., "Sensory marketing, embodiment, and grounded cognition : A review and introduction" 24 (24): 159-168, 2014

      21 Krishna, A., "Sensory aspects of package design" 93 (93): 43-54, 2017

      22 Larson, J. S., "Satiation from sensory simulation : Evaluating foods decreases enjoyment of similar foods" 24 (24): 188-194, 2014

      23 Nelson, N. M., "Remembering satiation :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satiation" 44 (44): 633-650, 2017

      24 Redden, J. P., "Reducing satiation : The role of categorization level" 34 (34): 624-634, 2008

      25 Raju, P. S., "Optimum stimulation level : Its relationship to personality, demographics, and exploratory behavior" 7 (7): 272-282, 1980

      26 Jekin, J. G., "Obliviscence during sleep and waking" 35 (35): 605-612, 1924

      27 Schmitt, B. H., "Marketing aesthetics : The strategic management of brands" The Free Press 1997

      28 Malhotra, N. K., "Information and sensory overload in psychology and marketing" 1 (1): 9-21, 1984

      29 Rolls, B. J., "How sensory properties of foods affect human feeding behavior" 29 (29): 409-417, 1982

      30 Krishna, A., "Feminine to smell but masculine to touch multisensory consistency and its effe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20 (20): 410-418, 2010

      31 Keaveney, S. M., "Customer switching behavior in service industries : An exploratory study" 59 (59): 71-82, 1995

      32 Glanzer, M., "Curiosity, exploratory drive, and stimulus satiation" 55 (55): 302-315, 1958

      33 Patrick, V. M., "Curating the JCP special issue on aesthetic in consumer psychology : An introduction to the aesthetic issue" 20 (20): 393-397, 2010

      34 Arnould, E., "Consumers" McGrow-Hill International Edition 2004

      35 Oliver, R. L.,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 bases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20 (20): 418-430, 1993

      36 Ratner, R. K., "Choosing less-preferred experiences for the sake of variety" 26 (26): 1-15, 1999

      37 Lindstrom, M., "Brand sense: How to build powerful brands through touch, taste, smell, sight and sound" The Free Press 2005

      38 Jeon, J. E., "Brand schematicity moderates the effect of aesthetic brands on brand accessories purchase intentions" 44 (44): 1733-1746, 2016

      39 Brakus, J. J., "Brand experience: What is it? How is it measured? Does it affect loyalty?" 73 (73): 52-68, 2009

      40 Zuckerman, M., "Behavioral expressions and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41 Krishna, A., "An integrative review of sensory marketing : Engaging the senses to affect perception, judgment, and behavior" 22 (22): 332-351, 2012

      42 Berlyne, D. E.,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NY: Appleton specific satiety in attribute‐level variety seeking" 28 (28): 105-120, 1971

      43 Patrick, V. M., "Aesthetic incongruity resolution" 48 (48): 393-402, 2011

      44 Gutman, J., "A means-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es" 46 (46): 60-72,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 3.07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