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과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 = Korean Humor Fictions by Kim Gyutaek and Another Possibility of Laughing in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03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과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을 소개하면서 이 작품들에 나...

      이 논문에서는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과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을 소개하면서 이 작품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김규택 작품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을 1930년대 웃음에 관한 담론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은 기존의 담론과는 다른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웃음이라는 점이 규명되었다. 1930년대 웃음에 관한 담론은 일반적으로 웃음의 양상을 저항과 비판의 태도를 보여주는 웃음과 낙관과 긍정의 자세로 순응과 도피의 태도를 보여주는 웃음으로 나누어 대립적으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웃음에 대한 이항 대립적인 관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모던과 전통의 대립이나 남편과 아내의 대립처럼 당대에 새롭게 대두되었던 사회의 논쟁지점을 민감하게 포착하였다. 그의 작품은 극단적 대립의 지점에 있는 두 가지 가치관들을 대조시키면서 웃음을 유발하였다. 이 웃음의가장 큰 특징은 어느 한쪽이 상대의 부족함을 폭로하며 자신의 우월함을 강조하는 웃음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김규택은 지배적인 담론 속에서 존재 가치를 부여받지 못한 대상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할 수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일회적인 . 소비 문화로 치부되었던 모던 문화와 전통적인 규범에서 비난받았던 신여성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자유롭게 표명할 수 있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당대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가치와 욕망들을 공론의 장으로 끌어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서 나타나는 자유로운 토론의 장과 거기에서 발생하는 웃음은 풍자와 냉소의 방식이 아니더라도 현실 체제에 순응하지 않을 수 있는 웃음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possibilities of laughter appeared in the humor fictions by Kim Gyutaek. For this goal, this paper introduced Kim’s humor fictions not yet known, analyzed the features of laughter in these works and compared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possibilities of laughter appeared in the humor fictions by Kim Gyutaek. For this goal, this paper introduced Kim’s humor fictions not yet known, analyzed the features of laughter in these works and compared it with discourse on laughter in 1930s. As a result, the laughter in Kim’s humor fictions showed the new possibilities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scourse has been elucidated. Discourse on laughter of 1930s was generally devided two confrontational aspects. One was laughing had a role to resist against the social problems by satire. Another was laughing had a role to escape from the social problems by excessive optimism. But there’s no satire and no escape in Kim’s humor fictions. He accepted all value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took a distance to criticize. Kim’s humor fictions caused a laugh while debating of two different values. Those were generally conflict of modern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or conflict of wife and husband. In this debate, Two confrontational values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even though it wasn’t accepted in common sense. So readers could catch various opinions of their society. Expressing various values, especially expressing minority opinions, it was new possibilities of Kim gyutaek’s humor fi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혜성"

      2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프레스빌 1996

      3 최석태, "한국 만화의 선구자들" 열화당 1995

      4 신명직, "한국 근대문학과 일본" 소명출판 2003

      5 박근서, "코미디, 웃음과 행복의 텍스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채만식, "채만식 전집 염마" 창작과비평사 1987

      7 "중앙"

      8 조선일보사 사료연구실, "조선일보 사람들-일제시대 편" 랜덤하우스중앙 2004

      9 "조선일보"

      10 "조광"

      1 "혜성"

      2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프레스빌 1996

      3 최석태, "한국 만화의 선구자들" 열화당 1995

      4 신명직, "한국 근대문학과 일본" 소명출판 2003

      5 박근서, "코미디, 웃음과 행복의 텍스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채만식, "채만식 전집 염마" 창작과비평사 1987

      7 "중앙"

      8 조선일보사 사료연구실, "조선일보 사람들-일제시대 편" 랜덤하우스중앙 2004

      9 "조선일보"

      10 "조광"

      11 "제일선"

      12 채석진, "제국의 , 감각: ‘에로 그로 넌센스’" 5 : 43-87, 2005

      13 최동현,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 속의 대중희극" 태학사 1997

      14 김지영, "일제강점기 유모어소설의 현실인식과 시대적 의미" 우리문학회 (44) : 465-508, 2014

      15 임선애, "유모어 소설의 성격과 의의 1930년대 작품을 대상으로" 한민족어문학회 26 : 241-254, 1994

      16 강현구, "유모어 소설'의 세계관과 웃음의 기법-1930년∼1950년대 '유모어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4) : 23-52, 2004

      17 "월간매신"

      18 최호석, "웅초 김규택의 장편 만문만화에 대한 연구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양식적 전환과 관련하여" 한국언어문학회 (92) : 183-208, 2015

      19 임선애, "웃음의 원리와 쾌감의 정치학 ― 일제강점기 ‘유모어소설’류 연구 ―" 한국사상문화학회 (67) : 39-62, 2013

      20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 2005

      21 "여성"

      22 미리엄 실버버그, "에로틱 그로테스크 넌센스-근대 일본의 대중문화" 현실문화 2014

      23 소래섭, "에로, 그로, 넌센스 근대적 자극의 탄생" 살림 2005

      24 "신여성"

      25 "신시대"

      26 "신세기"

      27 이주라, "식민지시기 유머소설의 등장과 그 특징"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217-255, 2012

      28 천정환, "식민지 조선인의 웃음:《삼천리》소재 소화와 신불출 만담의 경우" 문화사학회 (18) : 7-38, 2009

      29 스티브 닐, "세상의 모든 코미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30 "삼천리"

      31 소래섭,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웅진지식하우스 2011

      32 "별건곤"

      33 이승희, "배우 신불출, 웃음의 정치" 한국극예술학회 (33) : 13-49, 2011

      34 신명직, "모던이, 경성을 거닐다-만문만화로 보는 근대의 얼굴" 현실문화연구 2003

      35 "매일신보"

      36 "동아일보"

      37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코미디" 이론과실천 2013

      38 최혜진, "김규택 판소리 문학 작품의 근대적 특징과 의미" 판소리학회 (35) : 251-286, 2013

      39 바버라 에런라이크, "긍정의 배신" 부키 2011

      40 박숙자, "‘통쾌’에서 ‘명랑’까지 : 식민지 문화와 감성의 정치학" 한민족문화학회 (30) : 213-238, 2009

      41 고은지, "1930년대 대중문화 속의 ‘춘향전’의 모던화 양상과 그 의미-<만화 모던 춘향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34) : 272-30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