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채보상운동 초기, 발상지 대구지역의 운동 전개 양상에 대한 재검토 = Re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Daegu, the Birthplace of the Movement in Its Early D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1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국채보상운동 초기, 발상지 대구지역의 전개 양상을 재검토하여 선행연구에서의 미비점을 수정·보완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

      본고의 목적은 국채보상운동 초기, 발상지 대구지역의 전개 양상을 재검토하여 선행연구에서의 미비점을 수정·보완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07년 1월 29일 서상돈의 국채보상 발의는 「취지서」로 작성되어 전국적으로 배포되었다. 종래에는 「취지서」가 1종만 작성된 것으로 보았지만, 사실은 1월 말에 작성된 「1차 취지서」와 이를 윤문·교정하여 2월 상순에 다시 작성한 「2차 취지서」의 2종이 있었다.
      둘째, 발의와 취지문의 배포에도 불구하고 국채보상운동에 큰 진전이 없자, 대구의 운동 추진세력은 운동 전담 단체를 새로 조직하고, 대규모 군중집회의 개최를 준비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 조직된 단체는 ‘대구금연상채회’와 ‘대구민의소’였는데, 이들은 국채보상운동을 전담하는 단체로서는 전국 최초로 조직된 것이었다. 이 가운데서 ‘대구민의소’는 대구군민대회를 주최·진행하기 위한 만들어진 실행단체였으며, ‘대구금연상채회(얼마 후 ’대구단연상채회‘로 개명됨)’가 대구지역의 국채보상운동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갔던 핵심 단체였다.
      셋째, ‘대구민의소’는 두 번에 걸쳐 대구군민대회를 개최하였는데, 이 두 번의 군중집회는 이후 대구의 국채보상운동을 활성화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넷째, 대구는 여성들이 전국 최초로 국채보상운동에의 참여를 밝혔던 장소인데, 종래에는 활동의 중심에 ‘남일동패물폐지부인회’가 있다고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는 정식 단체가 아니며, 실제로 대구에서 여성들의 국채보상운동을 이끌었던 단체는 그 정신과 방법론을 계승한 ‘대구남산국채보상부인회’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Daegu, the birthplace of the movement in its early days, and revise and supplement insufficiencies in previous studies. The new findings of the study were s...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Daegu, the birthplace of the movement in its early days, and revise and supplement insufficiencies in previous studies. The new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 Sang-don's motion for national debt repayment was written as a prospectus in January 29, 1907 and distributed around the nation. The old understanding was that only one prospectus was written. The fact is that there were two prospectuses including the first one written in late January and the second one rewritten based on the first one through embellishment and proofreading during the first ten days of February.
      Secondly, recognizing that there was no big progress in the movement despite the distribution of the motion and prospectus, the group that pushed the movement forward in Daegu formed new organizations devoted to the movement and prepared for a large mass demonstration. The new organizations devoted to the movement were "Daegu Geumyeon Sangchaehoi" and "Daegu Minuiso," firsts of their kind in the nation. "Daegu Minuiso" was an enforcement agency to hold a demonstration of soldiers and civilians and ensure its progress. "Daegu Geumyeon(Danyeon) Sangchaehoi" was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 to lead the movement in practice in the Daegu area.
      Thirdly, "Daegu Minuiso" held two demonstrations of civilians, which offered a critical chance to vitalize the movement in Daegu and spread it around the nation.
      Finally, women declar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in Daegu first in the nation. It was understood in the past that "Namildong Paemul Pyeji Buinhoi" was at the center of their activities in the movement, but it was not an official organization. It was "Daegu Namsan Gukchae Bosang Buinhoi" that actually led women's activities in the movement in Daegu.
      (honorary profess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mklee@knu.ac.k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상훈,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성산이씨 홍와고택」 자료로 본 국채보상운동의 단면-" 동아인문학회 (33) : 341-371, 2015

      2 최기영, "애국계몽운동Ⅱ-문화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3 임경희, "북후정(北堠亭) 위치에 관한 고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3 (13): 87-99, 2014

      4 최세정, "대구여성 독립운동인물사" 대구여성가족재단 2019

      5 이문기, "대구 의기(義妓) 염농산[‘기생 앵무’]의 생애와 성주군 용암면 두리방천 축조의 의미" 역사교육학회 (75) : 389-464, 2020

      6 박희진, "대구 수창사의 활동과 국채보상운동" 대구사학회 131 : 203-246, 2018

      7 이동언, "김광제의 생애와 국권회복운동" 12 : 1998

      8 박영석, "국채보상운동의 근대국가 정치사상-국권론과 민권론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017

      9 조항래, "국채보상운동사"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2007

      10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국채보상운동기록물1~7"

      1 심상훈,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성산이씨 홍와고택」 자료로 본 국채보상운동의 단면-" 동아인문학회 (33) : 341-371, 2015

      2 최기영, "애국계몽운동Ⅱ-문화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3 임경희, "북후정(北堠亭) 위치에 관한 고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3 (13): 87-99, 2014

      4 최세정, "대구여성 독립운동인물사" 대구여성가족재단 2019

      5 이문기, "대구 의기(義妓) 염농산[‘기생 앵무’]의 생애와 성주군 용암면 두리방천 축조의 의미" 역사교육학회 (75) : 389-464, 2020

      6 박희진, "대구 수창사의 활동과 국채보상운동" 대구사학회 131 : 203-246, 2018

      7 이동언, "김광제의 생애와 국권회복운동" 12 : 1998

      8 박영석, "국채보상운동의 근대국가 정치사상-국권론과 민권론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017

      9 조항래, "국채보상운동사"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2007

      10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국채보상운동기록물1~7"

      11 엄창옥, "국채보상운동 사람・기억・공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9

      12 구본욱, "고령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 홍와 이두훈 가(家)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1) : 101-138, 2017

      13 "각사등록 慶尙道篇 5"

      14 권대웅, "高靈郡斷煙償債會의 설립과 義捐金모집" 한국근현대사학회 (77) : 56-82, 2016

      15 金度亨, "韓末 大邱地域 商人層의 動向과 國債報償運動" 8 : 1997

      16 李松姬, "韓末 國債報償運動에 關한 一硏究" 15 : 1978

      17 朴容, "韓國近代女性運動史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18 崔埈, "韓國新聞史論攷" 一潮閣 1976

      19 "萬歲報"

      20 "皇城新聞"

      21 金光濟, "演說大海" 廣東書館 1909

      22 鄭晉錫, "日帝經濟侵略과 國債報償運動" 아세아문화사 1994

      23 "日帝經濟侵略과 國債報償運動" 아세아문화사 1994

      24 外部, "慶尙南北道來去案 제7책"

      25 "帝國新聞"

      26 "大韓自强會月報"

      27 "大韓每日申報"

      28 朴容玉, "國債報償運動에의 女性參與" (12・13) : 1967

      29 崔埈, "國債報償運動과 프레스・캠페인" 3 : 1967

      30 박영규, "國債報償運動史" 大邱商工會議所 1997

      31 이진현, "1907년 2월 대구광문사의 위치에 관한 연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3 (13): 21-31,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