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50년대 신학교의 설립과 성격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he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minaries in the 185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주로 1850년대 조선에 설립된 신학교의 설립 과정과 성격을 다룬 연구이다. 특히 2005년부터 제기된 정식 신학교의 출현 시점과 관련하여;기존의 주장과 자료들을 재검토했고;이를 통...

      이 글은 주로 1850년대 조선에 설립된 신학교의 설립 과정과 성격을 다룬 연구이다. 특히 2005년부터 제기된 정식 신학교의 출현 시점과 관련하여;기존의 주장과 자료들을 재검토했고;이를 통해 1850년대 설립된 신학교들의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1850년에 정식 신학교가 등장했다는 연구에 대해;1855년 메스트르 신부가 세운 배론 신학교가 정식 신학교였다는 2005년 이전의 설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1850년 이전 조선 대목구에서의 신학생 양성은 한 곳에 정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선교사들이 사목 순방 중에 하거나;여름 휴식처에서 몇 달간 교육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이동형 혹은 임시 형태’ 의 교육이었다. 그러나 정식 신학교는 ‘신학생 교육을 목적으로 교구장의 지시와 정주 형태의 신학교 운영’이 요구됨으로;1850년 이전의 앵베르 주교와 페레올 주교 때에는 아직 정식 신학교가 조선에 설립되지 않았다. 이것은 앵베르 주교와 페레올 주교도 자신들의 서한에서 인정하는 바이다.
      그러다가 1850년에 다블뤼 신부가 병이 나서 신학생들만 가르치게 되었는데;이를 계기로 정주 형태의 신학교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학교는 다블뤼 신부의 병이 계기가 되었고;다블뤼 신부의 병이 나으면 다시 이전과 같은 이동형 혹은 임시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컸다. 그러므로 이 신학교는 정주형이지만 ‘임시성’이 강하여 ‘임시 정주형 신학교’라고 할 수 있고;1851년 5월 이전에 설립된 배티 신학교가 이러한 성격의 학교라고 하겠다.
      신학생들이 유학을 떠난 1854년 3월 이후;배티 신학교의 교육은 중지되었다. 그리고 1855년에 메스트르 신부가 배론에 와서 신학교를 설립하였다. 이것은 선교사들이 처음부터 신학생 교육을 위해 일정한 장소를 선정한 것으로;정식 신학교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대목구의 신학생 교육은;‘이동 ? 임시 형태의 교육’에서 ‘임시 정주형 신학교’ 그리고 ‘정식 정주형 신학교’로 발전되어 갔으며;‘정식 정주형 신학교’는 1855년에 설립된 배론 신학교라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Catholic Church’s educational project was activ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1831) and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as assigned for missions in Joseon. As a result, Kim Dae-geon, Choi Yang-up, a...

      The Korean Catholic Church’s educational project was activ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1831) and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as assigned for missions in Joseon. As a result, Kim Dae-geon, Choi Yang-up, and Choi Bang-je left to study in Macao in 1836 and Bishop Imbert came to Joseon to educate Jung Ha-sang and others. After 1844, Kim Dae-geon and Fr. Daveluy started educating Theology students, and Fr. Maistre established Baeron Seminary in 1855. The foundation of Baeron Seminary means that the personal education of Theology students by missionaries was evolved into the form of official seminaries and Baeron Seminary has been known as the first semina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ince 2005, however, some have argued that the first seminary of the Korean Church is not Baeron Seminary, but the seminary founded by Fr. Daveluy in 1850. These studies have used new resources to support the argument and their performance was meaningful as they attempted to clarify the “foundation of seminaries” in the 1850s. However, these studies have mis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inary founded in 1850. As a result, they have failed to clarify the meaning of Baeron Seminary and the process of founding an official seminary in Joseon (now Korea).
      Therefore, the author has re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oundation of the seminaries founded in the 1850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First, in regards to the time of foundation of official seminaries, the Theology education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developed from “mobile/temporary education” before 1850, to “temporary settlement of seminary” in 1850, to “official settlement of seminary” in 1855. The seminary in 1850 was a temporary settlement considering that it was founded by Fr. Daveluy’s disease. Baeron Seminary, established in 1855, was the official settlement that was build at a certain location with the purpose to found a seminary.
      Second, the seminary in 1850, although it was a temporary establishment, was the first settled seminary in Joseon. Baeti Seminary, in particular, has a historical meaning as it led to the foundation of Baeron Seminary.
      Third, Baeti Seminary was closed after March 1854, but the Joseon Church soon decided to resume Theology education. The missionaries decided to found the official settlement of seminary instead of the previous “mobile or temporary one.” For this purpose, they looked for a good location at the end of 1854 and chose Baeron as the right place for the seminary. In January 1855, Fr. Maistre brought the students here to found the seminary.
      Fourth, when Baeron Seminary was founded, the parish seminary consisted of the seminary and the preparation school. The seminary was taken charge by Fr. Maistre and the preparation school was established somewhere else and taken charge by Fr. Daveluy due to the persec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머리말
      • 2. 다블뤼 신학교의 성격
      • 3. 배론 신학교의 성격
      • 4. 맺음말
      • 국문 초록
      • 1. 머리말
      • 2. 다블뤼 신학교의 성격
      • 3. 배론 신학교의 성격
      • 4.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2 노용필, "한국 근 ․ 현대 사회와 가톨릭" 2008

      3 최석우, "한국 교회와 한국인 성직자 양성−예수성심신학교를 중심으로" 11 : 1985

      4 우용제, "한국 교육사에서의 성요셉신학교의 위상" (51) : 2005

      5 "페레올 문서"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6 차기진, "최양업 신부의 사목 중심지에 대한 연구−요동 차쿠와 진천 동골 ․배티를 중심으로, In 최양업 신부의 사목지역과 선종지 연구"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윈회 2007

      7 노용필, "예수성심신학교의 사제양성 교육, In 한국 근 ․ 현대 100년 속의가톨릭교회(상)" 가톨릭출판사

      8 배은하, "역사의 땅, 배움의 땅 배론" 성바오로출판사 1992

      9 "앵베르 주교 서한" 천주교 수원교구 2011

      10 이원순, "소신학교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7

      1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2 노용필, "한국 근 ․ 현대 사회와 가톨릭" 2008

      3 최석우, "한국 교회와 한국인 성직자 양성−예수성심신학교를 중심으로" 11 : 1985

      4 우용제, "한국 교육사에서의 성요셉신학교의 위상" (51) : 2005

      5 "페레올 문서"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6 차기진, "최양업 신부의 사목 중심지에 대한 연구−요동 차쿠와 진천 동골 ․배티를 중심으로, In 최양업 신부의 사목지역과 선종지 연구"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윈회 2007

      7 노용필, "예수성심신학교의 사제양성 교육, In 한국 근 ․ 현대 100년 속의가톨릭교회(상)" 가톨릭출판사

      8 배은하, "역사의 땅, 배움의 땅 배론" 성바오로출판사 1992

      9 "앵베르 주교 서한" 천주교 수원교구 2011

      10 이원순, "소신학교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7

      11 샤를 살몽, "성다블뤼 주교의 생애" 대전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6

      12 주세페 알베리고, "보편공의회문헌집 제3권 : 트렌토 공의회 ․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가톨릭 출판사 2006

      13 주재용, "배론(舟論)聖地" 가톨릭출판사 1975

      14 "다블뤼 서한 I"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

      15 "다블뤼 문서 II"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

      16 정규량, "군난 시대를 감상케 하는 제천 배론" (659) : 1929

      17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50년사"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007

      18 신대원, "‘최양업 신부의 생애와 교회사적 몇 가지 쟁점’ 고찰" 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8) : 127-188, 2011

      19 Edward N. Peters, "The 1917 or Pio-Benedictine Code of Canon Law, In English Translation with Extensive Scholarly Apparatus" Ignatius Press 455-, 2001

      20 "A-MEP Vol. 579(B) Corée 1797-1874 필사문서 판독자료집"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문화위원회 2010

      21 "A-MEP Vol. 577 Corée 1797-1860 필사문서 판독자료집"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문화위원회 2010

      22 장동하, "1850년, 조선교구 신학교 설립에 관한 연구" 51 :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