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硏經書院의 설립과 위상 및 의의 = The Establishm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Yeongyeong Seowon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ongyeong Seowon School(硏經書院) was the first of its kind in Daegu, representing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in the Daegu area. First constructed in 1563 (the 1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then, torn down during the Japane...

      Yeongyeong Seowon School(硏經書院) was the first of its kind in Daegu, representing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in the Daegu area. First constructed in 1563 (the 1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then, torn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the School went through a long period of being rebuilt. As the provincial office of Gyeongsang Province(慶尙監營) was set up in Daegu in 1601 (the 3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Yeongyeong Seowon School faithfully fulfilled its function as a Seowon School in Daegu, the capital city of Gyeongsang Province.
      This ultimately led to the School becoming the main Seowon School when it came to the Toegye Studies in the Daegu area. However, in 1871 (the 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School subjected to abolition as a result of the nationwide abolition policy against Seowon Schools led by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King Gojong's father who was acting as a regent at the time. The abolition made the School leave around three-hundred-year-long prosperity behind history.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Yeongyeong Seowon School made an immeasurable contribution to educational, academic and cultural aspects in the Daegu area. In recent days, recognizing the enormous influence of the School on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Daegu, and agreeing on the need for the School to regain its reputatio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aegu education, some interested figures in this matter in the Daegu area have embarked on a campaign for restoring the Seowon School. Against this backdrop, the writer of this thesis has touched on the status,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Yeongyeong Seowon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경서원은 대구 최초의 서원으로 대구지역 교육의 원류이다. 이 서원은 1563년(명종 18)에 건립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며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중건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경상감영...

      연경서원은 대구 최초의 서원으로 대구지역 교육의 원류이다. 이 서원은 1563년(명종 18)에 건립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며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중건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경상감영이 대구에 설치됨에 연경서원은 경상도 首府의 서원이자 監營의 서원으로 그 기능을 다하였다. 이로써 연경서원은 洛中地域 퇴계학의 중심서원이 되었다. 그러나 1871년(고종 8)에 이르러 대원군의 서원철폐정책으로 훼철됨으로써 300여 년간 융성하였던 연경서원의 발자취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연경서원이 대구지역의 교육과 학술, 문화에 끼친 공로는 지대하다. 이것은 『대구읍지』를 비롯한 史書와 先儒들의 문집 속에 기록된 많은 문헌이 이를 실증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대구의 뜻있는 인사들이 연경서원이 대구의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과 대구교육의 원류로서 연경서원이 복원되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우고 복원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래서 논자는 본 논고에서 우리나라의 서원 중에서 연경서원의 위상과 특징 및 의의에 대하여 건립연도, 건물의 규모, 건립의 주체, 배향인물, 강학의 참여자, 사액여부, 관리의 방문, 훼철여부, 지역사회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연경서원 복원을 위한 타당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광, "旅軒文集"

      2 이황, "퇴계문집" 계명한문연구회 1990

      3 이병훈, "조선후기 영남지역 원사의 건립과 변화 검토" 한국서원학회 6 : 2018

      4 손처눌, "영모당 통강제자록" 청호서원 2001

      5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영남지역 퇴계학맥의 전개" 중문출판사 2020

      6 구본욱, "연경서원의 경영과 조선 중기 대구지역의 유학" 영남퇴계학연구원 (11) : 177-215, 2012

      7 구본욱, "연경서원의 강학과 대구지역 제3세대 유학자" 28 : 2019

      8 홍원식, "연경서원 제향 인물과 그 배경" 영남퇴계학연구원 (16) : 7-27, 2015

      9 구본욱, "연경서원 이건시 任司錄과 扶助記" 영남퇴계학연구원 16 : 2015

      10 이수환, "서원 기록자료의 정리현황과 과제" 한국서원학회 2 : 2013

      1 장현광, "旅軒文集"

      2 이황, "퇴계문집" 계명한문연구회 1990

      3 이병훈, "조선후기 영남지역 원사의 건립과 변화 검토" 한국서원학회 6 : 2018

      4 손처눌, "영모당 통강제자록" 청호서원 2001

      5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영남지역 퇴계학맥의 전개" 중문출판사 2020

      6 구본욱, "연경서원의 경영과 조선 중기 대구지역의 유학" 영남퇴계학연구원 (11) : 177-215, 2012

      7 구본욱, "연경서원의 강학과 대구지역 제3세대 유학자" 28 : 2019

      8 홍원식, "연경서원 제향 인물과 그 배경" 영남퇴계학연구원 (16) : 7-27, 2015

      9 구본욱, "연경서원 이건시 任司錄과 扶助記" 영남퇴계학연구원 16 : 2015

      10 이수환, "서원 기록자료의 정리현황과 과제" 한국서원학회 2 : 2013

      11 이숙량, "매암문집" 花樹齋 1938

      12 구본욱, "대구지역의 성리학을 연 溪東 全慶昌" 조선사연구회 20 : 2011

      13 구본욱, "대구유림의 임진란 창의와 팔공산 회맹" 조선사연구회 24 : 2015

      14 구본욱, "녹봉정사의 건립과 경영 및 강학" 한국학연구원 (78) : 7-39, 2020

      15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낙중학, 조선시대 낙동강 중류의 유학" 계명대출판부 2012

      16 정구, "국역 한강집 3" 민족문화추진회 2003

      17 이황, "국역 퇴계전서 2, 4, 10" 퇴계학연구원 10-, 1991

      18 이원정, "龜巖文集" 景巖齋 1937

      19 박필주, "黎湖文集"

      20 권문해, "草澗日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21 "硏經書院 移建時 日記"

      22 전경창, "溪東文集"

      23 이언직, "明湖集"

      24 손처눌, "慕堂文集"

      25 정구, "寒岡文集"

      26 구본욱, "大邱儒賢 通講錄의 正字化와 해제" 영남퇴계학연구원 11 : 2012

      27 "《鹿齋 講舍錄》, 李商進, <硏經書院 移建記(편액)>"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