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역사와 연구동향 = The History and Research Trend of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3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trospect the history of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in Korea and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in order not only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but also to present the future research suggests...

      This study aims to retrospect the history of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in Korea and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in order not only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but also to present the future research sugges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kes periodical distinction of the history into three periods, the beginning period(1950–1979), the growing period(1980–1999), and the identity establishment period(2000–current) and presents major scholars and related institutions, associations, etc. in each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467 articles from 2010 to 2018, including both 288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and 179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out that various research topics, objects, and methods/methodologies have been used in this period and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the field and the future research sugges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역사를 개관하고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변화와 현 상태를 고찰하고 향후 연구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 이다. 이를 위해 본 연...

      본 연구는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역사를 개관하고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변화와 현 상태를 고찰하고 향후 연구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역사를 태동기(1950–1979), 성장기(1980–1999), 정체성 확립기(2000–현재)로 개관하고, 이 시기 활동한 주요학자들과 관련 학회 및 협회들을 포함한 다양한 기관들과 센터들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최근 연구동향의 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의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에 게재된 288편의 논문과 한국목회상담협회의 「목회와 상담」에 게재된 179편의 논문을 합한 총 467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연구논문들은 논문의 제목, 내용, 초록, 키워드를 바탕으로 연구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연구의 주제, 대상, 방법이 활용되었음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기독(목회)상담의 현주소와 향후 연구방향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linebell, H., "효과적인 목회상담: 상담의 개정방식"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1971

      2 Clinebell, H., "현대목회상담" 전망사 1979

      3 朴聖子, "한국교회 여성의 신앙형태에 대한 여성신학적 연구 : 종교적 정신병리 현상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4 권수영, "한국교회 목회적 돌봄 및 상담의 자취와 전망" 한국기독교학회 (50) : 215-248, 2007

      5 박근원, "한국 목회상담의 역사 개요" 97 : 28-35, 1997

      6 손운산, "한국 목회돌봄과 목회상담의 역사와 과제" 한국목회상담학회 17 : 7-39, 2011

      7 유영권, "한국 기독(목회)상담학의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60 : 93-111, 2010

      8 Johnson, P., "종교심리학" 대한기독교서회 1964

      9 정연득, "정체성, 관점, 대화: 목회상담의 방법론적 기초"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233-271, 2014

      10 노항규, "용서 변화 현상 모델의 목회상담적 적용 : 남편 외도를 겪은 아내의 용서 경험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1 Clinebell, H., "효과적인 목회상담: 상담의 개정방식"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1971

      2 Clinebell, H., "현대목회상담" 전망사 1979

      3 朴聖子, "한국교회 여성의 신앙형태에 대한 여성신학적 연구 : 종교적 정신병리 현상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4 권수영, "한국교회 목회적 돌봄 및 상담의 자취와 전망" 한국기독교학회 (50) : 215-248, 2007

      5 박근원, "한국 목회상담의 역사 개요" 97 : 28-35, 1997

      6 손운산, "한국 목회돌봄과 목회상담의 역사와 과제" 한국목회상담학회 17 : 7-39, 2011

      7 유영권, "한국 기독(목회)상담학의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60 : 93-111, 2010

      8 Johnson, P., "종교심리학" 대한기독교서회 1964

      9 정연득, "정체성, 관점, 대화: 목회상담의 방법론적 기초"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233-271, 2014

      10 노항규, "용서 변화 현상 모델의 목회상담적 적용 : 남편 외도를 겪은 아내의 용서 경험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11 이유경, "선교사 부부 갈등 경험과 극복 경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5

      12 김계원,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521-542, 2011

      13 Rogers, C., "상담과 심리치료" 지문각 1963

      14 최양숙, "비동거 가족경험 : '기러기아빠'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5 Hiltner, S., "목회카운셀링" 대한기독교서회 1976

      16 Hiltner, S., "목회신학원론" 대한기독교서회 1968

      17 장미혜,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 「목회와 상담」 게재논문 분석(2001~2016)" 한국목회상담학회 28 : 269-300, 2017

      18 정석환, "목회상담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3

      19 반피득, "목회상담학 개론" 대한기독교서회 1978

      20 안석모, "목회상담이론입문" 학지사 3-8, 2009

      21 황의영, "목회상담원리" 생명의말씀사 1970

      22 Clinebell, H., "목회상담신론" 한국장로교출판사 1987

      23 Wise, C., "목회상담"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65

      24 Wise, C., "목회문의학" 대한기독교서회 1962

      25 최정헌, "남성 우울증 극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6 이명진, "기독교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성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7 백정미, "기독교인 부부관계에서 영적자원과 관계요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28 Oates, W., "기독교 목회학" 생명의말씀사 1974

      29 Oh, Whachul, "Transforming han: Its psychological, theological implications and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Union Theological Seminary 2012

      30 Ahn, Suk–Mo, "Toward a Local Pastoral Care and Pastoral Theology: The Basics, Model, and the Text of Han in Light of Charles Gerkin’s Pastoral Hermeneutics" Emory University 1991

      31 Lee, Jae Hoon, "The exploration of the inner wounds–han" Union Theological Seminary 1990

      32 Lee, Sang Uk, "The experience of homesickness and the method of introspection:Pastoral theology from a Korean American perspective"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2004

      33 Sohn, Woon San, "Telling and retelling life stories: A narrative approach to pastoral care" Vanderbilt University 1990

      34 Chung, Hee–Sung, "Resurrection of the Body: A Critical Analysis of Naomi Goldenberg’s Religious Language from A Korean Women’s Perspective" Drew University 1996

      35 Van der Ven, J., "Practical theology: An empirical approach" Kok Pharos Publishing House 1993

      36 Chung, Pooreum, "Pastoral theological framework for care and counseling with divorced women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merican church"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2010

      37 Yoon, Deuk Hyoung,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bereaved par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role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coping with loss of a child"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2015

      38 Ramsay, N. J.,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Redefining the Paradigms" Abingdon Press 2004

      39 Lim, Kyungsoo, "Male middle–life crisi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theological implication and pastoral interventions"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9

      40 Hong, In Jong, "Male batterers: An ecosystemic analysis on conjungal violence in the Korean immigrant famil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5

      41 Lartey, E. Y., "In Living Color: An Intercultural Approach to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Jessica Kingsley 2003

      42 Heitink, G., "Grand Rapids" Eerdmans 1999

      43 Kwon, Soo–Young, "God’s representations: A psychological and cultural model" Graduate Theological Union 2003

      44 Jueng, Suk Hwan, "Generativity in the midlife experiences of Korea first generation immigrants: Implications for pastoral care" Northwestern University 1997

      45 Kim, Young Ae, "From the brokenness to wholeness: A theoretical analysis of Korean women’s han and a contextualized healing methodology" School of Claremont 1991

      46 Lee, J. Hee Cheol, "Exploring shame: Re–articulation through the lens of social psychology and Korean theology" Graduate Theological Union 2007

      47 Choi, Jae Rack, "Ethical Critique of Self–Actualization in Humanistic Psychology:Validation for a ‘Culture of Care’ among Korean People" Drew University 1991

      48 Yoo, Sang Hi, "Embracing paradox and complexities: Agency, resilience, and spirituality of Korean women in conflictive and abusive marital relationships"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2015

      49 Oh, Kyou Hoon, "Dimensions of chong in Korean Christians" Northwestern University 2000

      50 Yoo, Young Gweon, "Death rituals: Its implication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Vanderbilt University 1995

      51 Bobultz Jr., "Contents Analysi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1973–1998)" 46 : 496-503, 1999

      52 Kwon, Jin Sook, "Contemplating connection: A feminist pastoral theology of connection for Korean Christian immigrant parent–child relationships"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2011

      53 Koh, Young Soon, "Broken bread: Towards a pastoral theology of embodiment"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2001

      54 Kim, Jin Young, "A son’s search for identity through relationship: A cross–cultural venture in psychoanalysis and Confucianism" Drew University 1998

      55 Jang, Jung Eun, "A self–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1907 revival movement in Korea" Drew University 2014

      56 Pan, Shinwan, "A psychological study of divine and parental images of Korea protestant glossolalists in comparison to nonglossolalists" Graduate Theological Union 1995

      57 Ka, Yohan, "A model of spiritual & psychological development: A Korean Wesleyan perspective on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Vanderbilt University 2008

      58 Hong, Young Taek, "A Social–cultural analysis and family therapy approach to the Korea family in transition" Iliff School of Theology and the University of Denver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5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