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眞美大觀』과 일본 고대 불교조각 = The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 and the Ancient Buddhist Sculpture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6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illustrated art catalogues in Japan, the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Shinbi Taikan, 『眞美大觀』) was published from 1899. Until 1908, the publisher Shimbi shoin(審美書院) had completed all 20 books in the set. This set of the ...

      The first illustrated art catalogues in Japan, the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Shinbi Taikan, 『眞美大觀』) was published from 1899. Until 1908, the publisher Shimbi shoin(審美書院) had completed all 20 books in the set. This set of the illustrated art catalogues can be highly valued as the first publication in Japan, which ha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Japanese art history during the Meiji(明治) period. These series presented almost every significant art work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Tokugawa(德川) period. The publisher said in the introductory remarks that they collected the important art relics from the Buddhist temples in Nara(奈良) and Kyoto (京都) and the private collections.
      All the books which bound Japanese style, have two types of plates, the foldout collotype plates on thick paper and the non-foldout collotype plates on thin woven paper folded over a sheet of thicker backing paper. And each plates are protected by a very thin paper like a tissue on which is printed th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on the plate in Japanese and English. The pictures in the books were photographed and collotyped by Ogawa Kazumasa(小川一眞)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investigation of treasures in Ginki province(近畿寶物調査)' from 1888 with Ernest E. Fenollosa and Okakura Tenshin(罔倉天心). The photographs that Ogawa had taken during those periods were used several times in the publications including the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 and the Histoire de l'Art du Japon. The publications with the collotyped photographs of Ogawa show us the first photographic reproduction of cultural property and the visual popularization through those photographs.
      From the Meiji period, the Japanese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who served the government thought that the Buddhism and its art were equal to the Christianism. Therefore they argued the most important culture in Asia was the Japanese Buddhist art which the Japanese had preserved for a long time. In this point of view, the editors of the series, the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 chose the image of the Shakya(釋迦) triad in Kondo(金堂) of Horyuji(法隆寺) as the first plate in the book, volume one. Whether the art works could be a model for the artists was the only significant standard for the selection of the art works for the books. And the editorial boards regarded the ancient ones as the classic, which could be worth while for the scholars to investigate.
      Shimbishoin informed that the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 was awarded the Gold Prize for printing in the 1900 Paris World Exposition. The series, which were the first illustrated art catalogues that fitted with the policy of the Meiji government, were the publication that opened the beginning of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assets by photographs. Also the series projected by semi-governmental management were a visual embodiment of the Japanese art history constructed in the Meiji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日本 최초의 圖錄 『眞美大觀』
      • Ⅱ. 서문을 통해 본 『眞美大觀』의 간행 목적
      • Ⅲ. 『眞美大觀』의 작품 선정과 편집 방침
      • Ⅳ. ‘미술의 모범’으로서의 고대 불교조각
      • Ⅴ. 성공적인 ‘문명국 일본’의 과시
      • Ⅰ. 日本 최초의 圖錄 『眞美大觀』
      • Ⅱ. 서문을 통해 본 『眞美大觀』의 간행 목적
      • Ⅲ. 『眞美大觀』의 작품 선정과 편집 방침
      • Ⅳ. ‘미술의 모범’으로서의 고대 불교조각
      • Ⅴ. 성공적인 ‘문명국 일본’의 과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희정, "일본미술사 성립기의 인도미술 인식 - 메이지(明治)기에서 다이쇼(大正)기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0) : 173-205, 2008

      2 다카기 히로시, "일본 미술사와 조선미술사의 성립, in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3 스테판 다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4

      4 김용철,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과 일본 미술사의 성립" 7 : 2004

      5 다카기 히로시, "근대 일본의 문화재 보호와 고대미술" 한국미술연구소 (11) : 2000

      6 스테판 다나카, "근대 일본과 ‘동양’의 창안, in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 지성사 1995

      7 高木博志, "近代天皇制の文化史的硏究" 校倉書房 1995

      8 임남수, "法隆寺의 歷史" 16 : 2001

      9 大橋一章, "法隆寺美術論爭の視點" グラフ社 1998

      10 靑井哲人, "法隆寺と世界建築史-伊東忠太「法隆寺建築論」の二重性とその歸趨, in 日本における美術史學の成立と展開" 東京國立文化財硏究所 2001

      1 강희정, "일본미술사 성립기의 인도미술 인식 - 메이지(明治)기에서 다이쇼(大正)기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0) : 173-205, 2008

      2 다카기 히로시, "일본 미술사와 조선미술사의 성립, in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3 스테판 다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4

      4 김용철,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과 일본 미술사의 성립" 7 : 2004

      5 다카기 히로시, "근대 일본의 문화재 보호와 고대미술" 한국미술연구소 (11) : 2000

      6 스테판 다나카, "근대 일본과 ‘동양’의 창안, in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 지성사 1995

      7 高木博志, "近代天皇制の文化史的硏究" 校倉書房 1995

      8 임남수, "法隆寺의 歷史" 16 : 2001

      9 大橋一章, "法隆寺美術論爭の視點" グラフ社 1998

      10 靑井哲人, "法隆寺と世界建築史-伊東忠太「法隆寺建築論」の二重性とその歸趨, in 日本における美術史學の成立と展開" 東京國立文化財硏究所 2001

      11 藤原貞郞, "東洋美術史學의 형성과정에서 역사관·문화적 가치관: 분석방법을 둘러싼 일본과 歐美의 競合에 대해서" 한국미술연구소 (20) : 353-379, 2005

      12 廣瀨繁明, "明治期における <文化財> 保護政策と關野貞- 美術史から 建築史, そして考古學への展開, in 日本における美術史學の成立と展開" 東京國立文化財硏究所 2002

      13 佐藤道信, "明治國家と近代美術 - 美の政治學" 吉川弘文館 1999

      14 "日本における美術史學の成立と展開" 東京國立文化財硏究所 2001

      15 사토 도신, "岡倉天心의 人間像과 美術館" 한국미술연구소 (8) : 1999

      16 기노시타 나가히로, "岡倉天心과 美術史" 한국미술연구소 (9) : 1999

      17 "された" 東京都寫眞美術館 2000

      18 "『眞美大觀』1-11, 13, 16, 20卷, 京都: 審美書院, 1899-1908"

      19 기타자와 노리아키, "“미술” 개념의 형성과 리얼리즘의 轉位: 메이지·다이쇼기의 “미술” 인식에 대하여" 한국미술연구소 (2) : 1995

      20 사토 도신, "‘近代 日本美術史’의 形成과 그 硏究動向" 한국미술연구소 (10) : 2000

      21 馬渕明子, "1900年パリ萬國博覽會とHistorie de l’Art du Japonをめぐて, in 語る現在, 語られる過去-日本美術史學100年" 平凡社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 한국미술연구소
      영문명 : Sung Kang Foundation -> Center for Art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성강문화재단 -> (재)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영문명 : Sungn Gang Culture Foundation -> Sung Kang Foun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1 0.8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