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상급학습자의 의견문 사용어휘 연구 -모어화자와 품사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ocabulary Used in Opinion Essays Written by Korean Advanced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Focusing on Comparison of Parts of Speech with Native Japanese Spea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0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모어화자와 학습자가 같은 주제로 작성한 의견문을 서로 비교하여 학습자의 어휘 사용을 품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의 의견문 작성에서의 품사 사용에서 몇 ...

      본고에서는 모어화자와 학습자가 같은 주제로 작성한 의견문을 서로 비교하여 학습자의 어휘 사용을 품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의 의견문 작성에서의 품사 사용에서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1) 모어화자에 비해 난이도가 낮은 어휘의 비율이 높고 이러한 어휘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ナ형용사는 그 차이가 현저하다.
      2) 모어화자에 비해 특정 단어를 지나치게 반복해서 사용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3) 단어의 다양한 의미나 용법을 구사하지 못하고 어휘를 사용하는 양상이 단순하다
      4) 자신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전개하는 데에 적절하지 않은 어휘를 모어화자에 비해 많이 사용한다.
      5) 특정 품사의 사용양상이 다른 품사의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동사와 형용사의 사용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명사나 ナ형용사의 사용양상으로부터 영향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있었다.
      이러한 학습자의 어휘사용의 특징을 바탕으로 의견문 작성을 위한 어휘 교육에 대한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우선 난이도 높은 어휘와 단어의 다양한 사용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의견문을 위한 어휘교육이 별도로 필요하며 특히 ナ형용사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usage of vocabulary in the opinion essays written by Korean advanced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native speakers, respectively. In contrast to the native speakers, the learners’ opinion essay reveals c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usage of vocabulary in the opinion essays written by Korean advanced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native speakers, respectively. In contrast to the native speakers, the learners’ opinion essay reveals certain key characteristics in their choice of words, and is listed as the following:
      1) The proportion of elementary or low difficulty vocabulary utilized is significantly greater as opposed to that of the native speaker’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application of na- adjectives is outstanding.
      2) Unlike the native speaker, the Korean learners continuously repeated specific words.
      3) The Korean learners had a tendency to not use a wide variety of words, and the choice of words were rather one dimensional.
      4) The Korean learners failed to appropriately use vocabulary thus deterring the development of a persuasive argument for the opinion essay.
      5) With the Korean learners, there were cases which the usage pattern of one specific part of speech affected the use of another part of speech. For example, the usage patterns of nouns and na-adjectives can influence the usage pattern of verbs and adjectives.
      Based on these five characteristics, it can be proposed that the following suggestions regarding vocabulary in opinion essays can be made. It is necessary in teaching students more advanced vocabulary and its appropriate, various utilizations. In addition, the education of vocabulary, with a focus on na-adjectives, for the sole purpose of opinion essays is crucial and should be implemented as a category of its ow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田代ひとみ, "読み手の評価別に見た日本語学習者の意見文の問題点" 横浜国立大学 (14) : 131-144, 2009

      2 石田麻美, "母語話者との対話における中上級日本語学習者の使用語彙調査" 筑波大学留学生センター (28) : 43-63, 2013

      3 金宥曝, "日本語学習者の書く文章のわかりにくさについて一言語的側面と認知的側面からの原因分一" 立命館アジア太平洋研究センター (12) : 47-59, 2006

      4 김유경, "日本語学習者の日本語の文章の分かりにくさの新たな定義" 대한일어일문학회 (47) : 89-102, 2010

      5 伊集院郁子, "日本・韓国・台湾の大学生による日本語意見文の構造的特徴-「主張」に着目して-" 東京外国語大学国際日本研究センター (2) : 1-16, 2012

      6 鈴木一史, "文章作成能力と語彙分析〜学年発達による語彙変化と文章特性〜" 全国大学国語教育学会 124 : 108-111, 2013

      7 西尾寅弥, "形容詞の意味・用法の記述的研究" 国立国語研究所, 秀英出版 21-42, 1972

      8 田代ひとみ, "中級日本語学習者の意見文における論理的表現" 横浜国立大学 (14) : 131-144, 2007

      9 趙海城, "上級~超級日本語学習者の作文からみた言語産出実体" 国立国語研究所 293-303, 2015

      1 田代ひとみ, "読み手の評価別に見た日本語学習者の意見文の問題点" 横浜国立大学 (14) : 131-144, 2009

      2 石田麻美, "母語話者との対話における中上級日本語学習者の使用語彙調査" 筑波大学留学生センター (28) : 43-63, 2013

      3 金宥曝, "日本語学習者の書く文章のわかりにくさについて一言語的側面と認知的側面からの原因分一" 立命館アジア太平洋研究センター (12) : 47-59, 2006

      4 김유경, "日本語学習者の日本語の文章の分かりにくさの新たな定義" 대한일어일문학회 (47) : 89-102, 2010

      5 伊集院郁子, "日本・韓国・台湾の大学生による日本語意見文の構造的特徴-「主張」に着目して-" 東京外国語大学国際日本研究センター (2) : 1-16, 2012

      6 鈴木一史, "文章作成能力と語彙分析〜学年発達による語彙変化と文章特性〜" 全国大学国語教育学会 124 : 108-111, 2013

      7 西尾寅弥, "形容詞の意味・用法の記述的研究" 国立国語研究所, 秀英出版 21-42, 1972

      8 田代ひとみ, "中級日本語学習者の意見文における論理的表現" 横浜国立大学 (14) : 131-144, 2007

      9 趙海城, "上級~超級日本語学習者の作文からみた言語産出実体" 国立国語研究所 293-303,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0.84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