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明代 類書와 소설에 관한 試論 = A Study on Old Encyclopaedias and Novel in the M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91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考察明代的出版情況, 就發現類書和小說的發行數量比其他種類還多。 這一點可能意味著使類書和小說之間在某種程度上保持密切的關係。 本文就基於這種觀點來闡述自己的見解。 在明代...

      考察明代的出版情況, 就發現類書和小說的發行數量比其他種類還多。 這一點可能意味著使類書和小說之間在某種程度上保持密切的關係。 本文就基於這種觀點來闡述自己的見解。
      在明代發行的一般類書中, 像宋代的『太平禦覽』一樣, 有不少記載說部資料的類書。 如『永樂大典』中的宋代文言小說資料, 就能證明這一點。 這不僅說明收集類書資料的對象範圍非常廣泛, 而且也正說明類書在前代小說資料的保存及傳播過程中起了不少的作用。 而故事專門類書是編撰類書時收集和引用的資料皆爲說部(故事)的類書。 這種類書, 明代就有『群書類編故事』、 『故事選要』、 『白眉故事』、 『黃眉故事』、 『事類捷錄』等。 盡管編撰這一類書的主要目的就是便於檢索, 但使人感到有興趣的是, 類書中的項目說明部分的引用文章, 不是由具有普遍規律的經、 史、 子、 集等繁雜的資料構成, 而是大部分都由說部資料構成。 這一點就說明類書和小說的正式結合。 而且這種現象到了明代使閱讀類書的讀者大量增加, 因而推動了類書的發行。 到了明代, 大量發行所謂『太平廣記』之類的類書體小說集, 比起一般類書及故事專門類書, 這種類書體小說集, 在分類方式上大體具有濃厚的類似『太平廣記』的小說性。 受到『太平廣記』影響而發行的明代許多類書體小說集, 就是借著類書的基本屬性之一的分類這形式, 幷收集小說而編成, 相對來說故事專門類書仍被讀者當作檢索所利用, 相反, 這種類書體小說集爲廣大讀者提供更多的可讀性資料而更具意義。
      最後提到的是被譽爲明代道家小說家的鄧志謨與類書編撰之間的問題。 其實, 鄧志謨在一生當中所編撰的類書比小說還多, 這就說明他比小說創作更注重類書的編撰。 不管즘마樣, 鄧志謨卽是一位小說家同時又是類書編撰者, 他在創作小說的過程中흔可能有效地利用了類書。 령外, 可以說編撰類書和故事眞正結合的故事專門類書是一種自然的現象。 當然, 鄧志謨的那種表現也與明代出版界大量發行的類書及小說的客觀環境幷不無關。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면서
      • 2. 명대 유서 개황
      • 3. 명대 유서와 소설
      • 1. 들어가면서
      • 2. 명대 유서 개황
      • 3. 명대 유서와 소설
      • 4. 鄧志謨와 명대 유서
      • 5. 나가면서
      • <參考文獻>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分類的對比>" 20 : 2004

      2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 -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2003

      3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2003

      1 "分類的對比>" 20 : 2004

      2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 -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2003

      3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68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