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연 실온 및 변온 환경에서 광엽형 톨 훼스큐 품종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비교 =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aily Seed Germinating Pattern in Varieties of Coarse-textured Tall fescue under Alternative and Natural Room Temperature Cond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8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톨 훼스큐 종자의 발아율, 발아패턴 및 발 아특성은 생육환경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크 게 나타났다. 자연 실온 환경에서 발아력은 ISTA 변온과 약간 다르게 나타났고 최종 발 아율은 85.25~9...

      톨 훼스큐 종자의 발아율, 발아패턴 및 발
      아특성은 생육환경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크
      게 나타났다. 자연 실온 환경에서 발아력은
      ISTA 변온과 약간 다르게 나타났고 최종 발
      아율은 85.25~97.00% 사이로 다양하였다. 톨
      훼스큐의 발아패턴은 최초 발아의 경우 ISTA
      변온에 비해 2~3일 정도 늦은 치상 후 7~9일
      사이에 시작되었다. 최초 발아 시기는 공시 품
      종 간 1일 정도 차이가 있었으며, Arid III
      및 Olympic Gold 품종이 7~8일 사이로 다소
      빨랐다. 발아율 50%에 도달한 기간은 최초 발
      아 후 3~4일 경과 후인 치상 후 11~12일 사
      이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ISTA 변온에 비해
      3~4일 정도 늦은 것이었다.
      또한 실무적으로 요구되는 발아율 75% 도
      달기간은 ISTA 변온에 비해 품종에 따라
      1.55~4.77일 정도 늦은 치상 후 12.38~14.29
      일 사이로 나타났다. 공시 품종 중 75% 발아
      율 도달 기간이 가장 빠른 품종은 Olympic
      Gold 품종이었고, 반대로 가장 느린 종류는
      Tar Heel II 품종이었다.
      톨 훼스큐 품종 간 발아특성 및 발아패턴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Olympic Gold
      품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실
      험을 통해 밝혀진 품종 간 생리․생태적 특성
      과 ISTA 변온 및 자연 실온 조건 간 비교 자료는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실무적인 기
      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early establishment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attern of tall fescue(TF, Festuca arundinacea Shreb.). Four varieties of TF were evaluated in the study.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a room temperature condi...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early establishment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attern of tall fescue(TF, Festuca arundinacea Shreb.). Four varieties of TF
      were evaluated in the study.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a room temperature
      condition of 5℃ to 25℃(natural conditions). Daily and cumulative germination patterns
      were measured and analyzed on a daily ba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ermination patterns, days to the first
      germination, days to 50% germination, days to 75% germination, and germination
      percentage with different environments and varieties. Germination percentage was
      variable with varieties at the end of study. It was 85.25 to 97.00% under natural
      conditions.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early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among the entries according to different conditions. The first germination was
      initiated between 7 and 9 DAS(days after seeding) under natural conditions, being 2 to
      3 days later as compared with ISTA conditions. It was 11 to 12 DAS in days to the
      50% germination, which was 3 to 4 days after the first germination.
      Days to the 75% germination were 12.38 to 14.29 DAS, being 1.55 to 4.77 days
      slower as compared with ISTA conditions. Olympic Gold was regarded as the fastest
      variety and Tar Heel II was slowest. Data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formation on differences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among varieties
      would be usefully applied for TF establishment such as golf course constru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상렬, "축구경기장의 잔디초종 선정에 관한 연구 - 2002년 월드컵 인천경기장 모형돔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0 (30): 88-94, 2002

      2 이재필, "차광이 한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15 (15): 51-64, 2001

      3 이혜정, "여름철 근권부의 냉온처리가 경기장 잔디의 생육및 무기성분 량에 미치는 영향" 15 (15): 69-179, 2001

      4 김경남, "생육환경에 따른 제3세대 크리핑 벤트그래스 신품종의 종자 발아력, 초기 발아 특성, 발아세 및 발아 피크 기간 비교"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79-91, 2008

      5 김경남, "생육환경에 따라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및 Festuca arudinacea Schreb.의 초종 및 품종별 발아세, 발아속도 및 발아율 비교" 17 (17): 1-12, 2003

      6 전우방, "국제종자검정협회(ISTA)규정" 11 (11): 211-264, 1997

      7 김경남, "USGA 지반구조에서 한지형 잔디의 여름 고온기 적응력, 색상 및 연중 녹색 유지기간 비교" 한국조경학회 33 (33): 83-93, 2005

      8 Beard, J.B,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658-, 1973

      9 Turgeon, A.J, "Turfgrass Management. Fourth ed." Prentice-Hall, Inc. 406-, 1996

      10 Beard, J.B, "Turf Management for Golf Courses" Burgess Publishing Company Minneapolis 1982

      1 심상렬, "축구경기장의 잔디초종 선정에 관한 연구 - 2002년 월드컵 인천경기장 모형돔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0 (30): 88-94, 2002

      2 이재필, "차광이 한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15 (15): 51-64, 2001

      3 이혜정, "여름철 근권부의 냉온처리가 경기장 잔디의 생육및 무기성분 량에 미치는 영향" 15 (15): 69-179, 2001

      4 김경남, "생육환경에 따른 제3세대 크리핑 벤트그래스 신품종의 종자 발아력, 초기 발아 특성, 발아세 및 발아 피크 기간 비교"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79-91, 2008

      5 김경남, "생육환경에 따라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및 Festuca arudinacea Schreb.의 초종 및 품종별 발아세, 발아속도 및 발아율 비교" 17 (17): 1-12, 2003

      6 전우방, "국제종자검정협회(ISTA)규정" 11 (11): 211-264, 1997

      7 김경남, "USGA 지반구조에서 한지형 잔디의 여름 고온기 적응력, 색상 및 연중 녹색 유지기간 비교" 한국조경학회 33 (33): 83-93, 2005

      8 Beard, J.B,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658-, 1973

      9 Turgeon, A.J, "Turfgrass Management. Fourth ed." Prentice-Hall, Inc. 406-, 1996

      10 Beard, J.B, "Turf Management for Golf Courses" Burgess Publishing Company Minneapolis 1982

      11 Meyer, W.A, "Tall fescue (Festuca aruninacea) in Turfgrass Biology, Genetics, and Breeding" John Wiley & Sons, Inc. 107-127, 2003

      12 Hanson, A.A, "Species and varieties in Turfgrass Science" ASA 14 : 370-409, 1969

      13 김경남, "STM 총서 III - 잔디조성론" 서울: 삼육대학교 출판부 420-, 2007

      14 김경남, "STM 총서 I - 잔디학개론" 서울: 삼육대학교 출판부 361p-, 2005a

      15 SAS Institute, Inc,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4th ed" SAS Inst., Inc. 1686-, 1990

      16 Anonymous, "Rules for testingseeds" 54 (54): 1-112, 1964

      17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6. Progress Report 2000"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2001b

      18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6. Progress Report 1999"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2000

      19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6. Progress Report 1998"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1999

      20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6. Final Report 1997-2000"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2001a

      21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2. Final Report 1993-95"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1996a

      22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2. 1995 Progress Report"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1996b

      23 NTEP, "National Tall Fescue Test-1992. 1994 Progress Report" National Turfgrass Federation, Inc., Beltsville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1995

      24 The Lawn Institute, "Lawn Institute Special Topic Sheets" Tennessee Cumberland Printing Corp. 1991

      25 김경남, "ISTA 생육환경 조건에서 광엽형 톨 훼스큐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12 (12): 25-36, 2008

      26 Watschke, T.L, "Ecological aspects of turf communities in Turfgrass" ASA-CSSASSSA 32 : 129-174, 1992

      27 Beard, J.B, "Beard's Turfgrass Encyclopedia for Golf Courses, Grounds, Lawns and Sports Field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05

      28 Fry, J, "Applied Turfgrass Science and Physiology" John Wiley Sons, Inc. 309-,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1-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4 0.59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