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와 이도의 삶과 문학 = Hyunwa Lee Do's Life and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9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7세기 고령의 선비, 현와 이도의 삶과 문학을 조명한 것이다. 현와는 임란 직후 서울에서 양녕대군의 6세손으로 태어나 평탄한 소년기를 보내다가 광해조 대북정권의 난정에 가담한...

      이 글은 17세기 고령의 선비, 현와 이도의 삶과 문학을 조명한 것이다. 현와는 임란 직후 서울에서 양녕대군의 6세손으로 태어나 평탄한 소년기를 보내다가 광해조 대북정권의 난정에 가담한 백형 이심이 인조반정으로 처형되면서 집안형편이 어렵게 되었다. 그즈음 현와는 영남의 선비 이대기의 딸과 혼인하면서 초계로 낙남했고, 그 이후로 점차 영남사인으로 정착하게 된다. 소과에는 입격했으나 대과에 매번 불리하여 일정 시기에 와서 과거를 그만두었고, 고령으로 거처를 옮긴 뒤 60세를 전후하여 음직으로 종묘서 직장, 안기도 찰방 등을 역임했다.
      현와의 문학세계를 개괄적으로 검토했는 바, 현와의 시 중에서 척화파 대신 정온과 성주의 병졸 이사룡의 절의정신을 노래한 작품이 수작으로 꼽히는데 모두가 병자호란이 낳은 문예적 분비물인 셈이다. 장편 산문작품은 가야산을 유람하면서 견문한 내용과 느낌을 기록한 유람기로 묘사의 사실성이 돋보이는데, 그가 초계 지역사회에서 주도적 인물이었음을 알게 해준다. 단편으로는 안동의 기녀 당아와 나눈 로맨스를 담담하게 묘사한 송별 서문과 문생 전형의 서재 이름을 풀이한 두암팔경시 서문이 평가할 만하다. 현와는 선진양한 고문을 전범으로 삼아 학습한 어우 유몽인에게서 고문을 배웠기에 장자의 문장을 전범으로 삼고 장자적 상상력에 기초하여 문장구법을 구사하려 했다. 그러나 그의 문법이 전고의 활용 등과 같은 부분에서 다소 의미전달력이 떨어져 문체가 통창하지 못한 결함이 간혹 엿보인다.
      이 글에서는 지역한문학의 활성화라는 의도 아래, 새로운 작가의 발굴이라는 면에 중점을 두고, 현와의 삶과 교유를 구체적으로 살펴 향후 심화될 그의 문학세계 검토에 토대를 마련하고자 힘썼다. 아울러 이 글을 통해 17세기 병자호란 이후 나타난 蹈海의식과 忠憤정신의 형상화가 고령지역 한문학의 주된 주제였음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on the literature of Hyunwa Lee Do(1593~1668) who has lived in 17th century. Hyunwa, his literary name, was born on 1593 right after Japanese Yimjin Invasion of Korea for the 6th descendant from Yanneong-Daegoon. Eventually Gwanghae...

      This paper studied on the literature of Hyunwa Lee Do(1593~1668) who has lived in 17th century. Hyunwa, his literary name, was born on 1593 right after Japanese Yimjin Invasion of Korea for the 6th descendant from Yanneong-Daegoon. Eventually Gwanghae's misgovernment committed by Daebuk regime caused Yinjo Banjung(coup). As soon as his oldest brother who get involved in a misgovernment died by execution, his family was broken up. He was married Lee Daegi's daughter, and then he moved to Chogea of Youngnan Province from Seoul.
      Hyunwa was gradually settled immigrants in Yeungnam as a provincial Sunbi. Until then he passed Samasi but still failed Mungwa. By the way, before long he moved to Goryung, and took up a public office as a Jongmyouseo Jikjang, Angido Chalbang.
      We can summarize a literary world of Hyunwa as follows. Poems that vividly described Jong-on and Lee sa-ryong's faithful mind was loved to recite, and prose writings as a diary of Gayasan sight-seeing, farewell preface about pure love with gisaeng Dang-a, reading expressed his thoughts on Duarm which was a Joan-hyong's studying room are his major work.
      In short, he was one of the talented provincial intelligentsia in 17th century of Choson dynasty, used Jangja's imagination to write prose. To conclude, I believe that his literary works based on Byungja-horan which broke out in 1636. Also his Dohae mind and Chungboon sprit stemmed from the bitter experience forced to give in to Chung, Manchurian empire treated as a Barbari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弦窩의 文集과 家系
      • 3. 弦窩의 삶과 交遊
      • 4. 弦窩의 文學世界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弦窩의 文集과 家系
      • 3. 弦窩의 삶과 交遊
      • 4. 弦窩의 文學世界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호훈, "조선후기 정치사상 연구 : 17세기 북인계 남인을 중심으로" 혜안 2004

      2 이종호, "신유한의 문도와 고문사 교육" 우리한문학회 21 : 333-377, 2009

      3 오수창, "동계 정온의 정치활동과 그 이념"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11 : 2001

      4 한명기, "동계 정온의 정치적 행정과 그 역사적 의의" 남명학연구원 9 : 2001

      5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005

      6 설석규, "남명학파의 정치적 지조를 지킨 선비: 설학 이대기" 남명학연구원 13 : 2008

      7 문무학, "고령문학사 試論" 향토문학연구회 6 : 2003

      8 朴而章, "龍潭集"

      9 李希顔, "黃江實紀"

      10 曺以天, "鳳谷逸稿"

      1 정호훈, "조선후기 정치사상 연구 : 17세기 북인계 남인을 중심으로" 혜안 2004

      2 이종호, "신유한의 문도와 고문사 교육" 우리한문학회 21 : 333-377, 2009

      3 오수창, "동계 정온의 정치활동과 그 이념"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11 : 2001

      4 한명기, "동계 정온의 정치적 행정과 그 역사적 의의" 남명학연구원 9 : 2001

      5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005

      6 설석규, "남명학파의 정치적 지조를 지킨 선비: 설학 이대기" 남명학연구원 13 : 2008

      7 문무학, "고령문학사 試論" 향토문학연구회 6 : 2003

      8 朴而章, "龍潭集"

      9 李希顔, "黃江實紀"

      10 曺以天, "鳳谷逸稿"

      11 오용원, "高靈 樓亭의 文學的 解釋과 空間 機能" 퇴계연구소 (45) : 37-74, 2009

      12 李大期, "雪壑集"

      13 蔣文益, "釣耕庵集"

      14 李滉, "退溪別集"

      15 許熙, "赫臨齋集"

      16 草溪鄕校, "草溪輿誌"

      17 "英祖實錄"

      18 李獻慶, "艮翁集"

      19 李亨源, "聾庵實紀"

      20 鄭宗魯, "立齋集"

      21 許穆, "眉叟記言"

      22 朴羾衢, "畸翁集"

      23 釐正廳, "璿源錄"

      24 黃㦿, "漫浪集"

      25 許, "水色集"

      26 曺挺立, "梧溪集"

      27 郭壽岡, "梅軒集"

      28 鄭蘊, "桐溪集"

      29 張錫藎, "果齋集"

      30 奇宇萬, "松沙集"

      31 金沔, "松庵實紀"

      32 李種杞, "晩求集"

      33 張錫英, "晦堂集"

      34 編纂委, "昌寧曺氏副司直公派譜"

      35 李天慶, "日新堂集"

      36 柳夢寅, "於于集"

      37 全滎, "斗巖集"

      38 成以道, "斗回庵集"

      39 정시열, "挹翠軒 朴誾의 漢詩 硏究" 퇴계연구소 (45) : 107-148, 2009

      40 鄭侙, "愚川集"

      41 許傳, "性齋集"

      42 李蒤, "弦窩集"

      43 尹東野, "弦窩集"

      44 朴奎昊, "弦窩文集"

      45 崔錫鳳, "嶺誌要選"

      46 鄭源鎬, "嶠南誌"

      47 盧相稷, "小訥集"

      48 李震相, "寒洲集"

      49 完山李氏, "完山世稿"

      50 鄭暄, "學圃集"

      51 "孝宗實錄"

      52 張福樞, "四未軒集"

      53 이세동, "南皐 朴應衡의 삶과 詩" 퇴계연구소 (45) : 75-106, 2009

      54 裵幼華, "八斯遺稿"

      55 盧克弘, "光州盧氏世稿"

      56 郭鍾錫, "俛宇集"

      57 呂孝孟, "休叟遺稿"

      58 實錄廳, "仁祖實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