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습지생태공원의 갈대확장 조절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Phragmites communis Expansion Control Methods at the Wetland Ecologic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0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expansion of reed at a wetland ecological park due to their aggressive reproduction capability. Therefore, proper topography and wetland hydrology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a wetland ecological p...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expansion of reed at a wetland ecological park due to their aggressive reproduction capability. Therefore, proper topography and wetland hydrology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a wetland ecological park.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at the initial stages to prevent reed expansion.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newly constructed wetland ecological park for 15 months to develop methods to control the reproduction and expansion of Phragmites communis. A complete shading method had the best effect on the prevention of reed reoccurrence among other methods. Complete removal of the rhizomes controlled the reed growth to a greater extent than cutting the aboveground shoots. Water-level manipulation was also better than a half-shading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reed re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il properties and edge effects can influence the reed growth. Cutting only the aboveground shoots facilitates the growth of re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ed control should be implemented repeatedly and an alteration in the wetland topography and hydrology may be more effective in the long term. Combination of treatments such as water-level management with shading should be considered to control the growth of reed. Adoptive management for created or restored ecosystem might be considered for accomplishment of its original purpo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자옥, "한국의 잡초도감" 한국농업시스템학회 2005

      2 양홍모, "하천수정화 여과습지에서 성장하는 갈대의 영양염류 흡수량"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89-99, 2006

      3 강호철, "자연습지의 구조적 특성과 갈대의 적정생육수심" 17 (17): 191-200, 1999

      4 원병오, "자연생태계의 복원과 관리:조류서식지 조성과 보호를 중심으로" 다른세상 2004

      5 이효혜미, "인공식물섬에 적합한 식물의 선발-4종 정수식물의 식생구조와 생장의 비교,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87-96" 4 (4): 87-96, 2001

      6 김호준, "인공습지에서 소각에 의한 갈대의 지상부제거영향" 57-58, 2008

      7 박우하, "인공습지 갈대관리" 42 (42): 29-32, 2009

      8 정용현, "을숙도 생태공원내 서식지별 환경요인과 갈대분포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50-61, 2008

      9 성기준, "을숙도 및 낙동강 하구의 갈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98-, 2006

      10 정연숙, "습지식물의 지상부 제거가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량에 미치는 효과" 17 (17): 459-465, 1999

      1 구자옥, "한국의 잡초도감" 한국농업시스템학회 2005

      2 양홍모, "하천수정화 여과습지에서 성장하는 갈대의 영양염류 흡수량"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89-99, 2006

      3 강호철, "자연습지의 구조적 특성과 갈대의 적정생육수심" 17 (17): 191-200, 1999

      4 원병오, "자연생태계의 복원과 관리:조류서식지 조성과 보호를 중심으로" 다른세상 2004

      5 이효혜미, "인공식물섬에 적합한 식물의 선발-4종 정수식물의 식생구조와 생장의 비교,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87-96" 4 (4): 87-96, 2001

      6 김호준, "인공습지에서 소각에 의한 갈대의 지상부제거영향" 57-58, 2008

      7 박우하, "인공습지 갈대관리" 42 (42): 29-32, 2009

      8 정용현, "을숙도 생태공원내 서식지별 환경요인과 갈대분포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50-61, 2008

      9 성기준, "을숙도 및 낙동강 하구의 갈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98-, 2006

      10 정연숙, "습지식물의 지상부 제거가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량에 미치는 효과" 17 (17): 459-465, 1999

      11 이호준, "생육지의 토양염분농도에 대한 갈대개체군의 적응" 16 (16): 63-74, 1993

      12 김구연, "낙동강하구 갈대군락의 성장에서 지상부제거에 따른 영향" 62-68, 2007

      13 김창호, "낙동강 하구의 습지환경 변화와 갈대 개체군의 성장동태" 3 : 1-13, 1997

      14 권오도, "간척지 벼 재배지에서 갈대 발생정도에 따른 수량 감소와 경엽처리제초제의 방제효과" 한국잡초학회 26 (26): 56-63, 2006

      15 U.S.Army Corps of Engineers, "Wetland Engineering Handbook, ERDC/EL TR-WRP- RE-21"

      16 Turner, R. E., "Valuation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Phragmites control" 26 (26): 618-623, 2003

      17 Teal, J. M.,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policy in the control of Phragmites in oligohaline marshes of Dela- ware bay" 13 (13): 223-227, 2005

      18 Weinstein, M. P., "Success criteria and adaptive management for a large-scale wetland restoration project" 4 (4): 111-127, 1997

      19 Gratton, C., "Restoration of arthropod assemblages in a Spartina salt marsh following removal of the invasive plant Phragmites australis" 13 (13): 358-372, 2005

      20 Minchinton, T. E., "Mechanisms of exclusion of coastal marsh plants by an invasive grass" 94 : 342-354, 2006

      21 Wyngaert, I. J. J. van den, "Long-term effects of yearly grazing by moulting Greylay gees (Anser anser) on reed (Phragmites australis) growth an dnutrient dynamics" 75 : 229-248, 2003

      22 Barnes P. V,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 in Vir- ginia" Crop and soil environmental science publication 101-427, 2003

      23 Chamber, R. M., "Expansion of Phragmites australis into tidal wetlands of North America" 64 : 261-273, 1999

      24 Kay, S. H, "Efficacy of wipe-on applications of glyphosate and imazapyr on common reed in aquatic sites" 33 : 25-26, 1995

      25 Chambers, R. M., "Effects of salinity and sul- fide on the distribution of Phragmites australis and Spartina alterniflora in a tidal salt marsh" 62 : 161-169, 1998

      26 Findlay, S. P., "Effects of Phragmite australis removal on marsh nutrient cycling" 11 : 157-165, 2003

      27 Apfelbaum, S., "Ecology and control of reed canary 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pplied Ecology Services, Inc. 1989

      28 Coops, H., "Distri- bution and growth of the helophyte speci,es Phragmites australis and Scirpus lacustris in water gradient in relation to wave exposure" 48 (48): 273-284, 1994

      2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Design manual:constructed wetlands and aquatic plant systems for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EPA/625/1-88/022"

      30 Cross, D. H., "Control of Phragmites or Common Reed, USFWS Leaflet, 13.4.12"

      31 Ailstock, M. S.,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control and effects upon biodiversity in freshwater nontidal wetlands" 9 (9): 49-5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45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