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遊天台山賦」를 통해 본 孫綽의 사상 = The Thoughts of Sun Chuo in You Tiantai shan f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8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m of the Eastern Jin Dynasty does not view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and Buddhism as synchronically parallel to one another, and is difficult to grasp.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focuses on Sun Chuo(孫綽), regarded as a typical in...

      The Buddhism of the Eastern Jin Dynasty does not view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and Buddhism as synchronically parallel to one another, and is difficult to grasp.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focuses on Sun Chuo(孫綽), regarded as a typical intellectuals of the Eastern Jin Dynasty, to examine some aspects of the Buddhist philosophy and faith as espoused by the Buddhist intellectuals of the Eastern Jin Dynasty.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the philosophical basis on which Sun Chuo created You Tiantai shan fu(遊天台山賦, Fu on Roaming the Celestical Terrace Mountains). Futhermore,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ogether with the then prevailing Prajñā thought(般若思想) of Buddhism, various other concepts like Confucianism, Taoism, and thought of Sehn Xina(神仙 Immortality) were appropriated 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You Tiantai shan fu. Sun Chuo’s religious interest as demonstrated in You Tiantai shan fu pivots on “a Buddhist worldview” that serves as the foundation of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work. In You Tiantai shan fu, Sun Chuo does not stick to idealism, but identifies his experience with the attainment of Taoist trainees including shengren(聖人 Sage). In a nutshell, Sun Chuo integrated the three teachings(三敎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y attaining “the way”(道). Therefore, he viewed Confucian conceptions of the Sage, Buddha, and Laozi as sharing the same horizon. Sun Chuo not only had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such idea attainments, but also tried to overcome various relative oppositions to reach beyond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진시대의 불교는 전통적인 중국사상과 불교를 동시 병행적으로 보지 않으면, 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동진 시대의 사대부가 불교와 三玄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는가...

      동진시대의 불교는 전통적인 중국사상과 불교를 동시 병행적으로 보지 않으면, 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동진 시대의 사대부가 불교와 三玄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는가를 해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동진시대의 불교적 지식인의 전형으로 불리는 孫綽에 착목하여, 동진시대 불교적 지식인의 불교사상과 불교신앙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손작의 「遊天台山賦」를 중심으로 그가 어떠한 사상적 배경 속에서 ‘천태산에서 노닌 부’를 지었는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유천태산부」의 사상적 배경의 중심으로 당시 유행하였던 불교의 반야사상과 함께 유가ㆍ도가ㆍ신선사상 등 다양한 개념이 원용되었을 가능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유천태산부」에 보이는 손작의 종교적 관심은 작품의 전체적인 구성의 기반이 되는 ‘불교적 세계관’이 중심이 되고 있다. 손작은 「유천태산부」에서 스스로가 관념론에만 머물지 않으면서, 성인을 포함한 體道者의 경지와 일치한다고 보았다. 그는 유불도 삼교에 대해서 ‘도’를 체득하는 것으로 종합한 것이다. 그러므로 유교적 성인과 불, 노자는 동일한 지평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손작은 그러한 이상적 경지를 단순히 이지적으로 파악한 것만이 아니라 그것을 뛰어넘고자 다양한 상대적 대립을 극복하려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佐竹保子, "「天台山に遊ぶ賦」序文の検討: 「存思法」との関わり" 東北大学文学部中国文学研究室 10 : 2005

      2 "老子"

      3 계환스님, "홍명집" 동국역경원 2008

      4 손진, "중국불교의 도교 이해 고찰 - 『홍명집(弘明集)』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6) : 53-82, 2018

      5 김영문, "문선 역주 2" 소명출판 2010

      6 "高僧傳 T50"

      7 和久希, "言語と沈默を超えて : 王坦之廢莊論考" 六朝学術学会 13 : 2012

      8 "莊子"

      9 陳公余, "聖地天台山" 佼成出版社 1996

      10 "維摩詰所說經 T14"

      1 佐竹保子, "「天台山に遊ぶ賦」序文の検討: 「存思法」との関わり" 東北大学文学部中国文学研究室 10 : 2005

      2 "老子"

      3 계환스님, "홍명집" 동국역경원 2008

      4 손진, "중국불교의 도교 이해 고찰 - 『홍명집(弘明集)』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6) : 53-82, 2018

      5 김영문, "문선 역주 2" 소명출판 2010

      6 "高僧傳 T50"

      7 和久希, "言語と沈默を超えて : 王坦之廢莊論考" 六朝学術学会 13 : 2012

      8 "莊子"

      9 陳公余, "聖地天台山" 佼成出版社 1996

      10 "維摩詰所說經 T14"

      11 房玄齢, "晉書" 中華書局 1998

      12 蕭統, "文選" 中華書局 1977

      13 袁宏撰, "後漢紀" 上海書店 1989

      14 "弘明集 T52"

      15 "廣弘明集 T52"

      16 曾布川寬, "崑崙山への昇仙: 古代中國人が描いた死後の世界" 中央公論社 1981

      17 石川忠久, "孫綽「遊天台山賦」について" 二松学舎大学大学院 1991

      18 遠藤祐介, "孫綽撰『遊天台山賊』と般若経世界" 智山勧学会 52 : 2003

      19 長谷川滋成, "孫綽の研究 : 理想の"道"に憧れる詩人" 汲古書院 1999

      20 蜂屋邦夫, "孫綽の生涯と思想"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57 : 1977

      21 福永光司, "孫綽の思想-東晋における三教交渉の一形態" 愛知学芸大学 1961

      22 陳萬成, "孫綽《遊天台山賦》與道敎" 86 (86): 1993

      23 "大樓炭經 T1"

      24 "大智度論 T25"

      25 "周易"

      26 遠藤祐介, "六朝期における仏教受容の研究" 白帝社 2014

      27 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 4" 地圖出版社 1982

      28 劉義慶, "世説新語" 中華書局 1991

      29 "https://ctext.org/zh"

      30 Zornica Kirkova, "Distant Roaming and Visionary Ascent: Sun Chuo’s “You Tianatai shan fu” Reconsidered" 47 : 192-21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5 1.56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