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토지이용변화를 고려한 생태계 보호지역 선정기법 개발 = Prioritizing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under Land-Use Changes in Jeju Island, Jeju,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8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developed an approach to identify and prioritize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t local scales in Jeju Island, Jeju, Korea to extend protected areas. For this, we collected spatial data for ecosystem factors and classified the data accord...

      This research developed an approach to identify and prioritize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t local scales in Jeju Island, Jeju, Korea to extend protected areas. For this, we collected spatial data for ecosystem factors and classified the data according to their conservation values and produced importance index of 0 to 3. Then, all data of importance indices were integrated and produced ecological importance index of 0 to 3 based on their conservation values. Finally, we estimated the effects of land-use changes on the Jeju ecosystem and estimated vulnerability index, prioritizing areas to be urgently designated as novel protected areas. The land-use changes in 2050 were predicted under the assumptions of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scenarios 1 & 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decreased under the assumptions of SSP 1 & 3. The priority areas, the vulnerability index of 3 (0.9 to 1.5% areas of Jeju Island),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eastern Jeju Island, areas with the index of 2(1.8 to 2.2%) in the western Jeju Island, and areas with index of 1(3.2 to 4.9%) showed an island-wide distribution pattern. Our results suggested the areas with vulnerable index of 3 should urgently be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Our results could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future conservation plan of Jeju Island. However, our estimations have limitations due to lack of fundamental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Jeju ecosystem. For better estimations, we need various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result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onitoring data, and both current and future spatial environmental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의 보호지역 편입을 위하여 다양한 생태계 인자들과 토지이용변화를 고려한 지역규모 생태계 보호지역 선정기법을 개발하여 제주도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의 보호지역 편입을 위하여 다양한 생태계 인자들과 토지이용변화를 고려한 지역규모 생태계 보호지역 선정기법을 개발하여 제주도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제주도 고유의 생태계를 설명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공간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토지피복을 포함한 수집된 개별 자료는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기여도에 따라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지수를 부여하여 중요도 지수를 작성하였다. 셋째, 작성된 모든 인자의 중요도 지수를 평균하여 최종 중요도 지수(0~3)를 지도로 작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생태계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생태적으로 우수하나 사회경제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토대로 예측한 미래 토지이용변화에 따라 훼손이 우려되는 지역을 도출하여 취약성 지수(0~3)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보호지역으로 우선 선정되어야 하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생태계 중요도 분석 결과, 생태계 중요도 지수 1~3의 모든 지역이 현재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취약성 분석 결과, 생태계 취약성 지수 3인 지역은 제주도 전체 면적에 약 0.9% 에서는 1.5%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제주도 동쪽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지수 2인 지역은 약 1.8% 에서는 2.2%로 제주도 서쪽에 대부분 분포하며, 지수 1인 지역은 약 3.2% 에서는 4.9%로 제주도 전역에 걸쳐 산재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취약성 지수 3인 지역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강력한 개발제한이 필요하며, 지수 2인 지역과 1인 지역도 단계적으로 보호지역으로 편입시키거나 관리보전지역인 경우 보전 등급을 상향 조정하여 보호의 강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계 보호지역을 지정을 위한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나 더 정확한 생태계 보호지역 분석을 위하여 향후 다양한 연구 및 모니터링 자료 축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3 1.70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