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토석독구결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겨-’의 통합 양상과 의미 기능 = The syntagmatic phenomenon and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gyeo-’ in Jatoseokdok-kugy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how the syntagmatic phenomenon and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gyeo-’ in Jatoseokdok-kugyol. It was confirmed that verbs, adjectives, and copula could all come before ‘--,’ followed by ‘-’, ‘-...

      This study aims to show the syntagmatic phenomenon and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gyeo-’ in Jatoseokdok-kugyol.
      It was confirmed that verbs, adjectives, and copula could all come before ‘--,’ followed by ‘-’, ‘-’, ‘-’, ‘-{雖}’, ‘-’, ‘-’. When the predicate words incorporated in ‘--’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arrangement, ‘--’, ‘--’, ‘--’, ‘--’, ‘--’ were preceded and ‘--’, ‘--’, ‘--’, ‘--’ were followed. Two types of ‘--’ followed by ‘--’ were discussed. There were also no examples of ‘--’ and ‘-o-’ integrating with ‘--.’ For ‘--’ that appears in various environments, the semantic function of ‘--’ that encompasses the emerging environment was not decided, but the semantic function of ‘--’ that appears in the naming constructions, ‘-’ and ‘有’ was reviewed.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 was defined a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s the truth of the proposition. It was also discussed that ‘-’ and ‘有’ can be interpreted as ‘speaker's confidence’ and ‘past tense or perfective respectively in the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겨]-’의 통합 양상과 의미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먼저 ‘--’에 통합된 선후행 요소를 검토함으로써 ‘--’의 통합 특성...

      본고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겨]-’의 통합 양상과 의미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먼저 ‘--’에 통합된 선후행 요소를 검토함으로써 ‘--’의 통합 특성을 정리하였다. ‘--’는 동사, 형용사, 계사와 바로 통합할 수 있었고 종결어미 ‘-’, 연결어미 ‘-’, ‘-’, ‘-{雖}-’, 동명사어미 ‘-’, ‘-’ 등과 통합할 수 있었다. 선어말어미 ‘--’, ‘--’, ‘--’, ‘--’, ‘--’는 ‘--’에 선행하였고 ‘--’, ‘--’, ‘--’, ‘--’는 ‘--’에 후행하였다. ‘--’는 ‘--’에 선행하기도 하였고 후행하기도 하였는데 ‘--’에 후행하는 ‘--’에는 두 종류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한편 ‘--’가 ‘--’나 ‘-오-’와 통합된 예는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환경에 나타난 ‘--’에 대해 그 출현 환경을 아우르는 의미 기능을 밝히지 못하고 명명 구문, ‘-’, ‘有’ 등에 나타난 ‘--’를 어떤 의미로 볼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검토 결과 이러한 구문에서 ‘--’는 ‘명제의 진실함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와 ‘有’의 ‘--’는 문맥상 각각 ‘진실일 가능성이 높다는 화자의 판단’이나 ‘과거 또는 완료’의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함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준호,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2019

      2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3 손혜옥,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연세대학교 2016

      4 이병기, "한국어 미래성 표현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영욱, "전기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 27 : 719-751, 1999

      6 문현수, "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 기능" 구결학회 155-187, 2011

      7 이승재, "이기문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신구문화사 517-556, 1996

      8 문현수,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주" 역락 59-78, 2015

      9 박부자, "시상형태 {-더-}의 쟁점과 전망" 국어사학회 (27) : 53-79, 2018

      10 남풍현, "시상의 조동사 ‘在/■/겨-’의 발달" 국어국문학회 (138) : 5-34, 2004

      1 최준호, "한국어 어미 ‘-을’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2019

      2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3 손혜옥,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연세대학교 2016

      4 이병기, "한국어 미래성 표현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영욱, "전기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 27 : 719-751, 1999

      6 문현수, "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 기능" 구결학회 155-187, 2011

      7 이승재, "이기문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신구문화사 517-556, 1996

      8 문현수,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주" 역락 59-78, 2015

      9 박부자, "시상형태 {-더-}의 쟁점과 전망" 국어사학회 (27) : 53-79, 2018

      10 남풍현, "시상의 조동사 ‘在/■/겨-’의 발달" 국어국문학회 (138) : 5-34, 2004

      11 이병기, "시상 형태 ‘-(으)리-’의 쟁점과 전망" 국어사학회 (27) : 79-107, 2018

      12 박진호, "선어말어미 ‘--’와 ‘-누-’에 대한 문법사적 고찰: 차자표기 자료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1-11, 2018

      13 이병기, "선어말어미 ‘-리-’의 기원" 구결학회 4 : 1-22, 1998

      14 이금영, "선어말어미 '-거/어-'의 통시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0

      15 박진호,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국어학회 (73) : 375-435, 2015

      16 정재영,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336-361, 2002

      17 박진호,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18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9 임동훈,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4, 2003

      20 백두현, "고려 시대 석독구결에 나타난 선어말어미의 계열 관계와 통합관계" 訣學會 2 : 27-95, 1997

      21 김지오, "고대국어 연결어미 연구의 현황과 과제" 訣學會 113-131, 2019

      22 장윤희, "고대국어 연결어미 '-遣'과 그 변화" 구결학회 (14) : 123-146, 2005

      23 장윤희, "고대 한국어 존재용언의 활용 양상과 의미: 석독구결 자료를중심으로" 訣學會 133-148, 2015

      24 南豊鉉, "高麗時代 釋讀『訣의 動名詞語尾 ‘-/ㄴ’에 대한 考察" 국어학회 28 : 1-48, 1996

      25 박진호,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정보연구소 15 : 1-25, 2011

      26 이 용, "釋讀口訣에 나타난 不定詞의 機能에 대하여" 구결학회 (11) : 249-274, 2003

      27 김지오, "釋讀口訣에 나타난 ‘-은여/을여’에 대하여" 동악어문학회 (58) : 217-242, 2012

      28 김영욱, "舊譯仁王經 구결의 시상과 서법 선어말어미" 訣學會 5 : 147-164, 1999

      29 박진호, "借字表記 資料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 (7): 117-145, 1997

      30 高永根, "中世國語의 時相과 敍法" 塔出版社 1981

      31 李賢熙, "中世國語 構文硏究" 新丘文化史 1994

      32 李相錦, "『화엄경소(華嚴經䟽)』 권35에 나타난 ‘-겨-’와 ‘-거-’에 대하여" 구결학회 65-86, 2018

      33 장경준,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 구결학회 (12) : 191-213, 2004

      34 安大鉉, "『華嚴經䟽』 卷35 석독구결의 현대어역" 구결학회 41-85, 2013

      35 최현배, "(깁고 고침)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Kugyol -> The Society for Kugyol Studies KCI등재
      2014-1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ugyol Studies -> Kugyol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ugyol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1 1.7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