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人麻呂의 작품에 나타난 神話 연구-神의 성격과 神格化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yth in Hitomaro’s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2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萬葉集』의 柿本人麻呂의 작품에 나타난 神話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로 神의 성격과 천황이나 황자의 신격화 표현이 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를 人麻呂歌...

      본 연구는 『萬葉集』의 柿本人麻呂의 작품에 나타난 神話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로 神의 성격과 천황이나 황자의 신격화 표현이 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를 人麻呂歌集歌를 포함한 人麻呂의 전 작품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人麻呂의 전 작품에 나타난 신들의 성격은 海神이나 山神과 같은 自然神, 천황이나 황자를 신으로 숭배하는 人格神,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絶對神, 그리고 일본신화에 나오는 신들로 분류되며, 이 모든 신들이 人麻呂의 작품에 두루 나타나고 있다.
      人麻呂작품 속의 천황이나 황자의 신격화 표현은 人麻呂歌集歌에는 없고 人麻呂作歌에만 나타난다. 그 중에서 <大君は 神にし座せば(大君은 신이시기에)>와 같은 天皇即神의 표현은 壬申의 난 후에 급속도로 高揚된 시대정신으로서 天武천황과 持統천황, 그리고 天武의 황자였던 忍壁황자․長황자․弓削황자에 대해서만 쓰여졌던 成句이며, 白鳳의 시대정신을 집약적으로 나타내주는 말이었다. 따라서 이 詩句는 人麻呂의 독창적인 표현이라기보다는 당시의 관용구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大君は 神にし座せば>라고 할 때의 <大君(おほきみ)>는 어디까지나 <うつせみ(現人 또는 現世)>의 <おほきみ>를 가리키는 것이지, 遠祖를 의미하는 <すめろき(皇神祖․皇祖神)>를 가리키는 말은 아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大君は 神にし座せば>의 표현에는 어디까지나 살아있는 現人神으로서 의미를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神ながら(신으로서)>의 표현도 人麻呂작품의 神格化 표현으로서 핵심적인 語句이다. 이것은 人麻呂가 창안해낸 독창적 표현으로서, 현존하는 천황뿐만 아니라, 역대의 천황 또는 타계한 천황과 황자들에게까지 이 표현을 가지고 신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 人麻呂작품의 천황이나 황자에 대한 신격화 표현으로서 <あれましし 神のことごと(태어나신 신이신 모든 천황)>․<天皇の 神の尊(皇祖의 신)>․<神の御代(신의 盛代)>․<神あがり あがり座しぬ(신이 돌아가셨다)>․<神登り いましにしかば(신이 올라가셨기 때문에)>․<神さぶと(신으로서 행동하신다고 하여)>와 같은 語句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art of the myth study of Kakinomoto Hitomaro’s work appeared in Manyoshu. In this study, I look at how Divine characters and Deification expressions were described in detail in Hitomaro’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ds in a...

      This study is a part of the myth study of Kakinomoto Hitomaro’s work appeared in Manyoshu. In this study, I look at how Divine characters and Deification expressions were described in detail in Hitomaro’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ds in all the works of Hitomaro are categorized into Natural God such as God of the sea or Mountain God, Personality God who became a god from a human being such as an emperor or prince, Absolute God who had extraordinary powers beyond human ability, and other Gods in Japanese mythology. All of these Gods appear in Hitomaro’s work. The expressions of the emperor or prince’s deification in Hitomaro’s work does not appear in Poems of Hitomaro’s works, but only appear in Hitomaro’s Poems. Among them, the expression such as <Because the emperor is the God> was the spirit of the times which were prevalent after Jinshin Rebellion. A set phrase was only written for Tenmu emperor, Jito empress, Osakabe prince who was the prince of Tenmu, Naga prince, Yuge prince, and the set phrase expressed the spirit of Hakuho’s perio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verse was one of the set phrases rather than the original expression of Hitomaro.
      Also, the expression, <the emperor> in <大君は 神にし座せば(Because the emperor is the God)> only meant <the present emperor>. It does not refer to <Sumeroki>, meaning forefathers. In this sense, the expression <Because the emperor is the God> only implies the meaning as Arahitokami, a living God. The expression, <神ながら(As the God)> is also a line of a poem which shows Deification in Hitomaro’s work. This is an original expression created by Hitomaro. This expression deifies not only existing emperor, but also successive generations or dead emperor and princes as a god. In addition, other deified expressions of the emperor and the princes in Hitomaro’s work are the phrases such as <あれましし 神のことごと>․<天皇の 神の尊>․<神の御代>․<神あがり あがり座しぬ>․<神登り いましにしかば>․<神さぶ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萬葉集"

      2 西鄕信綱, "萬葉私記" 未來社 1967

      3 大久保正, "萬葉の伝統" 塙書房 1957

      4 尹永水, "柿本人麻呂에 있어서의 壬申의 亂과 天武朝" 韓國日本學會 37 : 1996

      5 神野志隆光, "柿本人麻呂硏究" 塙書房 1992

      6 尹永水, "日本의 古代歌聖 柿本人麻呂硏究" 景仁文化社 2001

      7 "日本書紀"

      8 神野志隆光, "日本上代文學論集" 塙書房 1990

      9 윤영수, "日並皇子殯宮挽歌 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46) : 43-68, 2017

      10 西條 勉, "日並皇子挽歌の神話" 日本 上代文學會 (54) : 1985

      1 "萬葉集"

      2 西鄕信綱, "萬葉私記" 未來社 1967

      3 大久保正, "萬葉の伝統" 塙書房 1957

      4 尹永水, "柿本人麻呂에 있어서의 壬申의 亂과 天武朝" 韓國日本學會 37 : 1996

      5 神野志隆光, "柿本人麻呂硏究" 塙書房 1992

      6 尹永水, "日本의 古代歌聖 柿本人麻呂硏究" 景仁文化社 2001

      7 "日本書紀"

      8 神野志隆光, "日本上代文學論集" 塙書房 1990

      9 윤영수, "日並皇子殯宮挽歌 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46) : 43-68, 2017

      10 西條 勉, "日並皇子挽歌の神話" 日本 上代文學會 (54) : 1985

      11 上田正昭, "新修 日本の神話を考える" 小學館 2003

      12 櫻井滿, "天皇即神の發想と大嘗祭" 91 (91): 1990

      13 "古事記 祝詞"

      14 杉山康彦, "人麿の長歌と神話" 1977

      15 遠山一郞, "人麻呂關係歌における神々の展開" 1992

      16 稻岡耕二, "人麻呂歌集歌の筆録とその意義" 46 (46): 1969

      17 윤영수, "人麻呂歌集 七夕歌의 文學史的 意義" 동아시아고대학회 (26) : 331-371, 2011

      18 윤영수, "人麻呂文學의 形成背景 硏究" 동아시아고대학회 (50) : 91-129,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