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주류, 경계인 = Die Entwicklung der koreanischen Diaspora in Deutschland - eine literarische Möglichke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7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에 거주하고 있고 있는 한국인은 삼만 명 정도로서 독일사회의 소수민족을 구성한다. 독일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뿌리를 찾다보면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을 ...

      독일에 거주하고 있고 있는 한국인은 삼만 명 정도로서 독일사회의 소수민족을 구성한다. 독일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뿌리를 찾다보면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한국 광부들의 독일파견만으로는 당시 독일 내에서 한국 커뮤니티 즉, 동포사회가 형성되기 힘든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사회에서 한국인 동포사회가 어떻게 발전 형성이 되었고 그 커뮤니티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요인들을 살펴본다. 특히 간호사 파견과 관련한 왜곡된 부분이 많기에 그와 관련한 내용들을 바로 잡고 민간외교를 이룩한 숨은 공로자들을 역사 앞으로 끌어내는 것도 본 연구의 한 목표 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파독 광부가 한국 근대사를 다시 썼다고 한다면 파독 간호사는 독일의 동포 사회 형성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동안 간과되어 온 그들의 글쓰기 즉, 재독 한인문학의 문학적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 있다. 재독 한인문학은 크게 독일어 문학과 한국어 문학으로 나눌 수 있지만 독일과 국내 문학가 사이에서 논의되는 한국인이 쓴 독일어문학 (deutsche Literatur koreanischer Autoren) 은 재독 한인문학 전체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닌 독일어로 창작된 한국사람이 쓴 문학만을 한정하는 용어이다. 즉, 재독한인 한국어문학은 독일은 물론이거니와 한국에서조차 소외된 채 거의 언급되지 못하는 디아스포라 문학이다. 아직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한국 문학과 재외한인문학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장벽을 조금이나마 허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이들의 문학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Anzahl der in Deutschland lebenden Koreaner beträgt nach einer Statistik des südkoreanischen Außenministeriums ca. 30,000 Personen und stellen in Deutschland somit nur eine Minderheit dar. In dieser Studie wird untersucht, wie sich di...

      Die Anzahl der in Deutschland lebenden Koreaner beträgt nach einer Statistik des südkoreanischen Außenministeriums ca. 30,000 Personen und stellen in Deutschland somit nur eine Minderheit dar.
      In dieser Studie wird untersucht, wie sich die koreanische Diaspora bzw. die koreanische Community in Deutschland entwickelt hat und eine Möglichkeit zur Entwicklung koreanischer Literatur.
      Im ersten Kapitel wird zur Einführung die Zielsetzung dieses Beitrags erläutert, im zweiten Kapitel wird beschrieben, wie sich die koreanische Community in Deutschland entwickelt hat. Die koreanischen Bergarbeiter und Krankenschwestern, die in den 60er und 70er Jahren nach Deutschland kamen, waren der Grundstein für den Aufbau der koreanischen Community in Deutschland. Vor allem Krankenschwestern spielten eine wichtige Rolle bei der Etabilierung. Unter anderem wird im zweiten Kapitel beschrieben, wie es Dr. Lee, Sugil als einer der ersten koreanischen Frauen ermöglicht hat, in Deutschland als Krankenschwestern zu arbeiten.
      Im dritten Kapitel geht es um die koreanische Literatur im Ausland insbesondere, in Deutschland, die von Koreanern in ihrer Muttersprache geschrieben wurden und die Möglichkeit zur Entwicklung einer eigenständigen koreanischen Literatur. Neben dieser Literatur gibt es noch eine weitere koreanische Literatur- die in der Sprache ihrer neuen Heimat geschriebene. Diese auf Deutsch geschriebene Literatur wird sowohl in Korea als auch in Deutschland von den Germanisten beachtet, hingegen die koreanisch geschriebene Literatur ist eine Literatur, die man weder in Korea noch in Deutschland kennt und stellt somit eine Diasporaliteratur dar.
      Als Schlußwort wird im vierten Kapitel die Frage gestellt, ob die Diasporaliteratur als eine andere literarische Form im globalisierten Zeitalter zur Schaffung eines neuen Paradigmas führen könn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시작하는 말
      • Ⅱ.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
      • Ⅲ. 재외 한인문학의 시선과 재독 한인문학의 가능성
      • Ⅳ. 결론을 대신하여
      • 국문요약
      • Ⅰ. 시작하는 말
      • Ⅱ.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
      • Ⅲ. 재외 한인문학의 시선과 재독 한인문학의 가능성
      • Ⅳ. 결론을 대신하여
      • 인용문헌
      • Zusammenfassu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