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에 나타난 현대시의 환상성 연구 = A Study on the Fantasy of Contemporary Poetry Appeared in the Digital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3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시대의 시를 ‘환상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200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은 문학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디지털 기술로 인한 매체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시대의 시를 ‘환상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200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은 문학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디지털 기술로 인한 매체의 변화와 문학장의 변화 양상은 현재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환상성이 중요한 시적 세계관이 된 가장 큰 이유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 때문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금의 현대인들은 영화, 동영상, 플래시, 게임, 판타지 소설, 애니메이션, 광고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끊임없이 수용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은 모두 환상성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은 환상을 체험하게 해준다.
      본고에서는 환상성의 양상을 세 가지 주제어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괴성, 변신과 엔트로피, 해체된 몸이 그것이다. 이 주제어들은 환상에 대해 의미있는 연구를 펼쳤던 로지 잭슨의 논의를 참고한 것이다.
      첫째, 기괴성은 불안의 정서 상태와 유사한 감정이다. 기괴함은 낯선 공간에 대한 이미지나 낯선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섬뜩한 수사로 표현한다. 이런 표현으로 시적 긴장감을 불어넣으며 현실세계가 아닌 또다른 다른 시공간으로 치환시킨다. 기괴한 이미지는 디지털의 세계와 맞닿아 있다. 디지털의 세계는 기괴하고 낯선 이미지들이 가득한 세계이다. 정재학의 「광대소녀의 거꾸로 도는 지구」는 기괴한 이미지의 병렬식 구조를 통해 환상적 현실을 재현해 낸 시이다. 정재학은 이러한 이미지를 연출해내기 위해 시행을 분절시키고 불규칙적으로 이동시킨다. 단편적인 이미지들을 병렬적으로 나열시킴으로서 새롭고 낯설고 기괴한 장면과 공간을 연출해 낸다.
      둘째, 변신과 엔트로피이다. 황병승의 「칙쇼의 봄」은 변신과 엔트로피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환상성을 드러내고 있는 시이다. 새로운 주체를 탄생시키면 변신의 모티브가 가능해지고 변신을 통해 시인이 얘기하고 싶은 엔트로피의 열망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모두 환상성에 기대어 일어난다. 황병승이 제시한 변신의 모티브와 그 과정은 환상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실감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해체된 몸이다. 이민하의 시는 몸을 통해 시적 자아의 내밀한 고통을 가장 미학적으로 구현해 내고 있다. 「환상수족」은 몸을 통해 환상의 상상력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시이다. 위의 시에서 몸은 ‘인공의 몸’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몸은 이미 훼손된 신체로 대상화되어 있는데 시적 자아의 퍼소나를 “마네킹”으로 상정하고 있다. 건강하고 살아 숨쉬는 몸이 아니라 해체된 몸의 전형을 보여준다. 해체된 몸은 시 전체를 환상의 세계로 인도하고 있다. 일반적인 육체가 할 수 없는 기괴한 이미지와 이상한 행위들은 모두 환상성을 드러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from the perspective of "fantasy" poetry in the digital age since the 2000s. Since the 2000s digital technology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literature. The changing patterns of media and literature occurred b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from the perspective of "fantasy" poetry in the digital age since the 2000s. Since the 2000s digital technology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literature. The changing patterns of media and literature occurred because digital technology is continuing today. The biggest reason that fantasy is an important topic in modern poetry is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inc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eople can now continue to accept a wide variety of ever multimedia content such as movies, videos, flash, games, fantasy fiction, animation and advertising. Multimedia content can ever contain a fantasy. This digital technology makes it a fantastic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fantasy through the three topics. It is abnormality, transformation, entropy, dismantle body. See the discussion were the main Lodge Jackson did important research on fantasy.
      First, the feelings and emotions similar state of anxiety abnormality. abnormality represents the image of a stranger in a strange object in space scary language. It has a poetic expression changes the tension in this modern poetry in another dimension of space and time other than the real world. These images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igital world.
      Poem of Jeong Jae-Hak must reproduce the fantastic reality through the parallel structure of the abnormality image. He moved to the poem to irregular betting segment and directing these images. List the fragmentary images in parallel and produce new and strange and the abnormality directing space.
      Second, the transformation and entropy. Poem of Hwang Byeong-seung has revealed a new fantasy through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entropy.
      This is because when the new self possible motives of transformation becomes possible to realize the aspirations of the poet entropy want to talk through the transformation. This process takes place both leaning against a fantasy. Motif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hich he has given the role to remind realize the fantasy in more detail.
      Third, the dismantle body. Poem of Lee Min-Ha is implemented through the body out of the pain of intimate poetic self in the most aesthetic. 「Phantom limb」 is a poem that shows the imagination of fantasy through the body, most dramatically.
      Body at the poem of Lee Min-Ha has been shaped by "artificial body". The body is already compromised physical objectification. She has assumed the persona of poetic self as a mannequin. It is not the healthy living breathing body shows off a selection of dismantle body. Work has led to a fantasy world through the dismantle body. abnormal images and strange behavior are all showing the body has a major role in revealing a fantas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디지털 시대와 환상
      • 2. 환상 세대의 출현과 특성
      • 3. 기괴성
      • 4. 변신과 엔트로피
      • 국문요약
      • 1. 서론 - 디지털 시대와 환상
      • 2. 환상 세대의 출현과 특성
      • 3. 기괴성
      • 4. 변신과 엔트로피
      • 5. 해체된 몸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하, "환상수족" 열림원 2005

      2 로즈메리 잭슨, "환상성" 문학동네 1-272, 2004

      3 오형엽, "환상과 실재" 문학과지성사 1-352, 2012

      4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1-336, 2000

      5 최현식, "환상(성), 사전 혹은 실재를 구성하다" 한국문연 112-126, 2010

      6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184, 2007

      7 이창민, "현대시와 판타지" 고려대학교출판부 1-192, 2008

      8 박혜숙, "한국 현대시의 환상성- 초현실 시와 초자연세계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6) : 513-532, 2007

      9 이창민, "한국 현대시의 환상성 연구" 우리어문학회 (27) : 143-179, 2006

      10 황병승, "트랙과 들판의 별" 문학과지성사 2007

      1 이민하, "환상수족" 열림원 2005

      2 로즈메리 잭슨, "환상성" 문학동네 1-272, 2004

      3 오형엽, "환상과 실재" 문학과지성사 1-352, 2012

      4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1-336, 2000

      5 최현식, "환상(성), 사전 혹은 실재를 구성하다" 한국문연 112-126, 2010

      6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184, 2007

      7 이창민, "현대시와 판타지" 고려대학교출판부 1-192, 2008

      8 박혜숙, "한국 현대시의 환상성- 초현실 시와 초자연세계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6) : 513-532, 2007

      9 이창민, "한국 현대시의 환상성 연구" 우리어문학회 (27) : 143-179, 2006

      10 황병승, "트랙과 들판의 별" 문학과지성사 2007

      11 피터 브룩스, "육체와 예술" 문학과지성사 1-532, 2000

      12 원구식, "왜, 환상인가?" 한국문연 102-111, 2010

      13 김채환, "디지털과 미디어" 이진출판사 1-246, 2000

      14 노철, "디지털 시대의 현대시 형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23 : 3-25, 2001

      15 임수영, "디지털 시대에 직면한 한국 현대시의 변화상 연구" 인문학연구원 72 (72): 375-406, 2015

      16 최병우, "다매체 시대의 한국문학 연구" 푸른사상 1-333, 2003

      17 정재학, "광대소녀의 거꾸로 도는 지구" 민음사 2008

      18 김중일, "2000년대 시에 나타난 환상성"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1 (1): 147-163,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