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는 성전이 종교기득권자들의 수익창출을 위한 시장으로 전락하는 모습에 격분 했다. 그런데 현대의 한국 개신교회들은 소비주의 문화 안에서 회중이 아닌 소비자에 게, 복음이 아닌 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6448
차명호 (부산장신대학교)
2021
Korean
소비주의 ; 신자유주의 ; 기독교영성 ; 교회 ; 달란트시장 ; Consumersim ; Neo-capitalism ; Christian Spirituality ; Church ; Talents Market.
KCI등재
학술저널
655-687(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예수는 성전이 종교기득권자들의 수익창출을 위한 시장으로 전락하는 모습에 격분 했다. 그런데 현대의 한국 개신교회들은 소비주의 문화 안에서 회중이 아닌 소비자에 게, 복음이 아닌 종...
예수는 성전이 종교기득권자들의 수익창출을 위한 시장으로 전락하는 모습에 격분 했다. 그런데 현대의 한국 개신교회들은 소비주의 문화 안에서 회중이 아닌 소비자에 게, 복음이 아닌 종교 상품을, 사랑과 희생이 아닌 마케팅과 이윤추구의 방식으로 전 하기 시작했다. 일부 대형 교회들은 교회 성장에 대한 순수한 소망을 매우 세분화된 시장 메커니즘으로 둔갑시키는 과정을 통해 교회의 창업가적 지도자를 선호하고, 교 회와 목회 브랜드를 프랜차이즈 사업을 발전시키며, 복음이 아닌 종교적 상품들을 판 매하는데 열중한다. 이러한 세태는 한국 교회의 토양에서 교육이나 건축 등의 여러 영역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그중 백미가 달란트 시장이다. 달란트 시장은 교회 학교의 대중적 프로그램으로 오래 동안 시행되어 왔으며, 학생들에게 복음의 참된 가치가 아 니라 소유와 교환의 경제 원리를 가르치는 역할을 해왔다. 한국 교회는 신자유주의의 도전과 시험에 직면했으며 이를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복음적 비전을 품어야 할 사명 을 세워야 한다. 이제는 인간이 만든 경제가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빈곤 을 몰아내고, 하나님의 형상을 품은 인간의 가치와 자유를 추구하며, 세계 공동체의 생명을 살리는 하나님의 경제를 향한 비전이 교회와 목회의 비전이 되어야 한다. 또 한 교회는 소비행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갖고, 소비에 대한 사회적 책임, 환경에 대한 책임, 기관들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면서 지속가능한 소비 양식을 주도해야 한다. 이에 본 글은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 아래서 꽃을 피우고 있는 소비주의적 교회의 행 태를 직시하면서 교회와 목회의 본질적 가치에 대해 되새겨보는 데 의미를 두려 한 다. 이를 위해 본 글은 교회와 한국 기독교 소비시장의 현실을 여러 방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먼저 본 글은 교회가 암암리에 적용하고 있는 여러 마케팅 전략들 즉, 유명 창업가 마케팅, 교회 브랜드 마케팅, 그리고 기독교 상품 마케팅에 대해 살펴보고, 이 어서 이 전략들이 한국 개신교회 독특한 환경에서 경품, 시상품, 현금지급 등의 모습 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ople engage in practices like religion and economics long before the words for these practices are even invented, much less defined. We did not first define religion and then act religiously. We religiously and the rationalized our behavior. The sam...
People engage in practices like religion and economics long before the words for these practices are even invented, much less defined. We did not first define religion and then act religiously. We religiously and the rationalized our behavior. The same is true of economics. We acted produced, distributed, and consumed goods and services long before we specifically defined such practices as economic. Engagement always has historical priority over definition, and our spoken definitions and rules never completely covey the practice. Since we engage in religion and economics long before we develop our theories, rituals and myths are more fundamental than our doctrines. Economics, especially consumerism, functions in other culture including Christian culture, churches, and the way in which christians live. It should be the Korean Churches' vision that human manipulating economic systems is replaced by God's economy in which the real value of human beings overwhelms the value of commodities and enlivens the global communities. Furthermore Korean Churches have to equip the critical methods for building up the managing responsibilities for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sets that God has given since creation. In order to research the ways that churches represent ministerial styles in the consumerism culture, this writing, for starter, studies church strategies inclined to church entrepreneurs marketing, church branding marketing, and Christian related goods marketings. After that, this writing focuses on the consumerism culture rooted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재국, "한국교회 성장동력의 분석과 평가" 한국실천신학회 (46) : 413-439, 2015
2 유영대, "한국교회 내 경품 제공, 과연 성경적인가?"
3 박충구, "탐욕의 문화와 한국 기독교의 변종성" 한국사회이론학회 (47) : 33-59, 2015
4 Bolz, Norvert, "컬트 마케팅"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2
5 유인환, "지금부터 시작하는 교회마케팅" 크로스마케팅 2008
6 김애경, "주일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0
7 Davis, Mark, "자본주의, 그들만의 파라다이스" 아카이브 2011
8 Doering-Manteuffel, Sabine, "오컬티즘" 갤리온 2008
9 임보혁, "여의도순복음교회 출산장려금 최대 1,000만원"
10 임성빈, "소비문화시대의 기독교"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8
1 조재국, "한국교회 성장동력의 분석과 평가" 한국실천신학회 (46) : 413-439, 2015
2 유영대, "한국교회 내 경품 제공, 과연 성경적인가?"
3 박충구, "탐욕의 문화와 한국 기독교의 변종성" 한국사회이론학회 (47) : 33-59, 2015
4 Bolz, Norvert, "컬트 마케팅"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2
5 유인환, "지금부터 시작하는 교회마케팅" 크로스마케팅 2008
6 김애경, "주일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0
7 Davis, Mark, "자본주의, 그들만의 파라다이스" 아카이브 2011
8 Doering-Manteuffel, Sabine, "오컬티즘" 갤리온 2008
9 임보혁, "여의도순복음교회 출산장려금 최대 1,000만원"
10 임성빈, "소비문화시대의 기독교"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8
11 이상윤, "성숙한 크리스천을 위한 올바른 교회 용어" 지브레인 2019
12 편집부, "설명회 때 고가 경품 제공, 관심 모아져"
13 이용필, "본질 벗어난 괴상한 전도 어디까지"
14 홍성태,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샘앤파커스 2012
15 Gilley, Gary, "마케팅 교회 무엇이 문제인가" 부흥과 개혁사 2005
16 박화경,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5) : 385-428, 2012
17 최동규, "교회성장학의 학문적 특성과 실천신학적 평가" 한국실천신학회 (36) : 39-64, 2013
18 하도균, "교회 공동체성 회복을 통한 효과적인 복음전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6) : 561-588, 2013
19 공병훈, "광고는 어떻게 세상을 유혹하는가?" 팬덤북스 2020
20 한병철, "고통 없는 사회" 김영사 2021
21 양승아, "격차사회에서의 경제적 거래형태와 고린도교회 주의 만찬" 한국실천신학회 (61) : 91-116, 2018
22 박진경, "건강한 교회를 위한 교회행정과 실천적 과제" 한국실천신학회 (66) : 641-662, 2019
23 유연석, "감독회장 취임하고 폐회"
24 Warren, Rick, "The Purpose Driven Church" Zondervan 1995
25 Weber, Max,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Pantianos Classics 1930
26 Cox, Harvey, "The Market As God"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27 Kenneson, Philip D., "Selling Out the Church" Cascade 2003
28 Webster, Douglas, "Selling Jesus" WIPF & STOCK 1992
29 Moore, R. Laurence, "Selling God"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0 Bandy, Thomas, "Kicking Habits: Welcome Relief For Addicted Churches" Abingdon 2001
31 Bird, Warren, "Head Page" Leadnet
32 Cox, Harvey, "Fire From Heaven" Addison-Wesley 1995
33 Nourwen, Henry, "Creative Ministry" Doubleday 1991
34 Miller, Vincent J., "Consuming Religion" Continuum 2005
35 Metzger, Paul Louis, "Consuming Jesus" Eerdmans 2007
36 Einstein, Mara, "Brands of Faith : Marketing Religion In a Commercial Age" Routledge 2008
37 Luther, Martin,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Crossreach 2017
38 Tillich, Paul, "Art and Architecture"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87
39 송경호, "8km 연비가 단번에 9.5로, 노후 차량 교회에 꼭 추천"
1세기 교회 예배를 통해 본 현대 디너 처치 예배의 발전과 신학적, 목회적 의의 고찰
1980-90년대 주요 장로교단 대표적 설교학자를 중심으로 본 한국 장로교 설교 이해
‘모방하기를 통한 설교 작성 및 전달 교습(敎習)법’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시학』을 바탕으로 -
17세기 독일 경건주의 영성과 21세기 한국교회 미래 세대의 접촉 가능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