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이론적 관점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 on American Death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2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주요 이론적 관점을 고찰한다. 먼저 본고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탐색기, 발전기, 대중화기, 성숙기의 과정으로 크게 나누...

      이 연구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주요 이론적 관점을 고찰한다. 먼저 본고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탐색기, 발전기, 대중화기, 성숙기의 과정으로 크게 나누어 살펴본다. 미국의 죽음교육은 초기부터 이론과 실제가 긴밀하게 연결되었고, 다양한 학제적 연구가 시도되었으며 활발한 학술활동 및 교육프로그램의 확산을 통해 성장하였다. 또한 미국의 죽음교육은 사회의 변화와 문제에 대응하여 주제영역이 확장되었고 접근방법도 다양해졌다. 미국 죽음교육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토대로 적절한 삶의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미국의 죽음교육은 모든 연령과 직업군을 대상으로 형식적 교육 및 비형식적 교육을 폭넓게 수행하고 있으며 죽음관련 전문가에 대한 체계적인 전문교육도 병행되고 있다. 철학적 관점의 죽음교육은 죽음의 본질 및 가치적인 차원을 숙고하는 데 초점이 있고, 심리학적 관점은 임종 및 사별과 연관된 감정의 변화 및 그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에 초점이 있다. 본고는 결론적으로 미국의 죽음교육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폭넓고 체계적인 죽음연구 및 죽음과 삶을 연결하여 사고할 수 있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First, we look 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S. divided into exploratory, generator, popularizatio...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First, we look 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S. divided into exploratory, generator, popularization, and maturing processes.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 closely linked to theory and practice,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attempted, and grew through active academic activities and the spread of educational programs.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also expanded its subject area and diversified approaches in response to changes and problems in society. The purpose of American death education is to redefine proper values of life based on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death. Death education in the U.S. offers a wide range of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for all ages and occupational groups, along with systematic professional education for death-related professionals. Death educati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focuses on considering the nature and value of death,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focuses on changes in emotions associated with death and bereavement and effective coping with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broad and systematic study of death in Korea and a curriculum that fosters values that can connect death and life through the education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미국 죽음교육의 탐색기와 발전기 Ⅲ. 미국 죽음교육의 대중화기와 성숙기 Ⅳ. 미국 죽음교육의 목적과 의의 Ⅴ. 미국 죽음교육의 이론적 관점 Ⅵ.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미국 죽음교육의 탐색기와 발전기 Ⅲ. 미국 죽음교육의 대중화기와 성숙기 Ⅳ. 미국 죽음교육의 목적과 의의 Ⅴ. 미국 죽음교육의 이론적 관점 Ⅵ.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승환, "키에르케고어와 하이데거 사상에 나타난 죽음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교육의 방향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41 (41): 65-95, 2019

      2 김샛별, "중등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죽음준비교육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31): 89-114, 2019

      3 林綺雲, "죽음학" 모시는사람들 2007

      4 Kagan, S, "죽음이란 무엇인가" 엘도라도 2012

      5 강선보, "죽음과 교육" 동문사 2019

      6 이영선, "예비교사의 죽음인식과 죽음교육 요구의 탐색 - 예비교사 대상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137-166, 2020

      7 강선보,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육문제연구소 32 (32): 99-115, 2019

      8 Glaser, B, "Time for Dying" Aldine Pub. Co 1968

      9 Metchnikoff, E, "The nature of man" G. P. Putnam's Sons 1903

      10 Attig, T, "The heart of grief: Death and the search for lasting lo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 심승환, "키에르케고어와 하이데거 사상에 나타난 죽음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교육의 방향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41 (41): 65-95, 2019

      2 김샛별, "중등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죽음준비교육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31): 89-114, 2019

      3 林綺雲, "죽음학" 모시는사람들 2007

      4 Kagan, S, "죽음이란 무엇인가" 엘도라도 2012

      5 강선보, "죽음과 교육" 동문사 2019

      6 이영선, "예비교사의 죽음인식과 죽음교육 요구의 탐색 - 예비교사 대상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137-166, 2020

      7 강선보,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육문제연구소 32 (32): 99-115, 2019

      8 Glaser, B, "Time for Dying" Aldine Pub. Co 1968

      9 Metchnikoff, E, "The nature of man" G. P. Putnam's Sons 1903

      10 Attig, T, "The heart of grief: Death and the search for lasting lo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1 Faunce, W, "The Sociology of Death : A Neglected Area of Research" 36 (36): 205-209, 1958

      12 Leviton, D, "The Scope of Death Education" 1 : 41-56, 1977

      13 Kastenbaum, R, "The Psychology of Death" Springer 1972

      14 Saunders, C, "The Problem of Euthanasia When a Patient is Dying" 960-1130, 1959

      15 Benoliel, J, "The Nurse and Dying Patience" Macmillan 1967

      16 Feifel, H, "The Meaning of Death" McGraw-Hill 1959

      17 Kleinman, A, "The Illness Narratives : Suffering, Healing, and the Human Condition" Basic Books 1986

      18 Habenstein, R. W, "The History of American Funeral Directing" Bulfin 1955

      19 Kastenbaum, R, "The Encyclopedia of Death and Dying" Macmillan 2001

      20 Becker, E, "The Denial of Death" Free Press 1973

      21 Anthony, S, "The Childs Discovery of Death" Harcourt 1940

      22 Lifton, R, "The Broken Connection : On Death and Continuity of Life" Simon and Schuster 1979

      23 Mitford, J, "The American Way of Death" Fawcett Crest 1963

      24 Lindemann, E,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 101 : 141-148, 1944

      25 Shneidman, E, "Suicide as Psychache" A Jason Aronson Book 1993

      26 Kubler-Ross, E, "Questions and Answers on Death and Dying"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74

      27 Weisman, A, "On Dying and Denying" Behavioral Publisher 1972

      28 Kübler-Ross, E, "On Death and Dying" Scribner 1969

      29 Charon, R, "Narrative Medicine : Honoring the Stories of Illn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0 Attig, T, "How we grieve: Relearning the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1 Worden, W,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2

      32 Kastenbaum, R, "Death, Society and Human Experience" Prentice-Hall 2001

      33 Stillion, J, "Death, Dying and Bereavement"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5

      34 Stillion, J, "Death, Dying and Bereavement"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5

      35 Corr, C, "Death, Dying and Bereavement"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

      36 Werth Jr., J, "Death, Dying and Bereavement"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5

      37 Fulton, R, "Death and Identity" Charles Press 1994

      38 Eddy, J, "Death Education" The C. V. Mosby Company 1983

      39 Corr, C, "Death & Dying, Life & Living" Wadsworth 2009

      40 Attig, T, "Counting Our losses: Reflecting on change, loss, and transition in everyday life" Taylor and Francis 119-125, 2011

      41 Farberow, N, "Clues to Suicide" McGraw-Hill 1957

      42 Attig, T, "Catching your breath in grief and grace will lead you home" Breath of Life 2012

      43 Eliot, T. D, "Bereavement as a Problem for Family Research and Technique" 11 : 114-115, 1930

      44 Glaser, B, "Awareness of Dying" Aldine Pub. Co 1965

      45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Free Press 2002

      46 Pine, V.R, "A Socio-historical Portrait of a Death Education" 1 : 57-84, 1977

      47 Morgan, E, "A Manual of Death Education and Simple Burial" Celo Press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2-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5 0.8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