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지역 토기가마 구조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8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남지역의 토기가마를 소성부의 위치, 소성부의 경사형태, 연소부의 위치, 화구부의 적석 유무 등의 기준으로 가마구조의 형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가마 구조의 변천과정을 3기로 나...

      영남지역의 토기가마를 소성부의 위치, 소성부의 경사형태, 연소부의 위치, 화구부의 적석 유무 등의 기준으로 가마구조의 형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가마 구조의 변천과정을 3기로 나누었다.
      1기의 가마는 4세기~5세기 초에 걸쳐서 사용되었으며 소위 영남공통양식의 토기를 생산하였다. 가마의 구조적인 특징은 지하식과 반지하식이 혼축되고 가마의 분포는 단독으로 조성된 경우 또는 2~4기가 소규모로 군집되어 있다.
      2기의 가마는 5세기대에 걸쳐 신라양식의 토기를 생산하였으며 가마의 구조적인 특징은 일부 지하식이 잔존하지만 대부분 반지하식이 구축되었고 가마의 분포는 1~10기 단위로 군집되어 있으며, 이전에 비해서 어느 정도 대량생산체계를 갖추어 가는 시기로 볼 수 있다.
      3기의 가마는 경주와 대구에서 대규모의 유적이 조사되었으며 6세기~7세기 중엽에 걸쳐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는 대규모의 생산체계를 본격적으로 갖추고 다양한 기종의 유물을 대량으로 생산하게 되며 토기가마의 조업이 국가적으로 운영되는 시기이다. 가마의 분포는 수십기의 가마가 군집하고 있으며, 화구의 개폐가 용이한 화구적석요도 이 시기에 대부분 확인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all the factors, the kiln of the first term was used for 4~5 th century, manufacturing the so - called earthenware of Kimhae, Busan and Haman Type. And the produced remains were used for an underground receptacle of a coffin with a red sto...

      Considering all the factors, the kiln of the first term was used for 4~5 th century, manufacturing the so - called earthenware of Kimhae, Busan and Haman Type. And the produced remains were used for an underground receptacle of a coffin with a red stone, for the interment of belongings with a corpse of an underground receptacle of a coffin or for the palace. The feature of the kiln lies in the mixed- construction with the basement type and the semi-basement type, and the inclination shape in a plasticfired part can be seen in the kilns in the remains A of Changnyung Yeocho-ri and the Woogeo-ri Remains in case of type ⅱ, and in the East and in the West of Kyungsang Province, the type ⅰhas the inclination of a straight line type. And the distribution of a kiln shows the case of the make-up independently and the grouping of 2~4 kilns on a small scale.
      The kiln of the second term was used in the 5th century and made the earthenware in Shilla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ln structure remains in a basement type partially but most of them were constructed in a semi-basement type, and as the earthenware platform is being excavated, it can be said the mass production system is fitted out comparing to the first term in some degree.
      Most kilns of the third term were examined around Sonkogdong, the Mulcholro Historical Site, Uksoodong of Dagu and Oksandong Historical Site of Kyungsan, and the remains on a small scale were investigatedin the South of Kyungsang Province.
      The period of its operation is in concord with the mid of 6~7th century, manufacturing various kinds of remains in bulk. Especially, in the dwelling remains inside the king’s palace in Shilla, the remains of the Mulcholro Historical Site of Sonkogdong are frequently excavated so this can prove that the operation in a kiln was carried out by a state-r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머리말
      • II. 유적의 분포와 검토
      • 1. 慶州 孫谷洞·勿川里遺蹟
      • 2. 慶州 花山里 遺蹟(中央文化財硏究院 2005)
      • 요약
      • I. 머리말
      • II. 유적의 분포와 검토
      • 1. 慶州 孫谷洞·勿川里遺蹟
      • 2. 慶州 花山里 遺蹟(中央文化財硏究院 2005)
      • 3. 蔚山 芳里遺蹟(울산발전연구원 2002)
      • 4. 大邱 旭水洞·慶山 玉山洞遺蹟Ⅰ(嶺南文化財硏究員 2003)
      • 5. 星州 麻月里遺蹟(慶山大學校博物館 2000)
      • 6. 大邱 新唐洞遺蹟(이재흥·신순철 2004)
      • 7. 尙州 九潛里 토기가마(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2001)
      • 8. 昌寧 余草里 토기가마터(國立晉州博物館 1992)
      • 9. 咸安 苗沙里 윗長命遺蹟(慶南文化財硏究院 2002)
      • 10. 咸安 于巨里 土器窯址(國立晉州博物館 2002)
      • 11. 金海 龜山洞遺蹟(東亞大學校 博物館 1999)
      • 12. 김해 삼계동 토기가마유적(부산대학교 박물관 1998)
      • III. 토기가마의 형식분류
      • 1. 소성부의 위치
      • 2. 소성부의 경사 형태
      • 3. 연소부의 위치
      • 4. 화구부 적석유무
      • IV. 토기가마의 단계설정
      • 1. 1기
      • 2. 2기
      • 3. 3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