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2: 한국사상과 선산철학 : 『소학』을 통해 본 조선시대 여성상 = The Ideal Female Image in the Joseon Period as Seen through 『Soh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6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여성은 우리에게 예속적인 삶을 살았던 여인으로 회자된다. 인간은 누구나 어디 시대에서나 살아가는 목적을 갖는다. 인간이 가지는 목적 자체보다는 사회적 성격에 의해 규정되...

      조선시대 여성은 우리에게 예속적인 삶을 살았던 여인으로 회자된다. 인간은 누구나 어디 시대에서나 살아가는 목적을 갖는다. 인간이 가지는 목적 자체보다는 사회적 성격에 의해 규정되어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특히 조선시대의 여성은 가부장제적 사회 속에서 유교적 덕목에 기준하여 살아가야하는 삶으로 정의해 버린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인간은 살고 조선시대 여성도 그러했을 것이다. 조선시대 여성은 제도적 교육을 받지는 못했다. 하지만 비형식적으로 가정에서 교육을 받은 여성은 스스로 자각 의식을 가지며 자신을 표출하였다. 결국 여자가 제도적 교육을 받는 것만이 여성이 의식화되고 사상을 갖는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조선 초에 등장하는 여러 문학가를 보더라도 여성 자신들의 세계가 분명히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의 여성교육은 주로 여성교훈서를 교육되었다. 여성 교훈서의 기본 바탕은 그 근본을 『소학』에 두었다. 여성이 『소학』을 어느 정도 읽었는가에 대한 기록은 당시 문집을 통해 여성 독서목록의 예만 보아도 『소학』을 기본적으로 읽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소학』은 7~8세 아이들이 읽었던 책이다. 남자뿐만아니라 여자도 즉 인간으로서의 기본 도리를 알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책이다. 『소학』을 읽는다는 것은 조선시대 여성들이 갖추어야 할 덕망을 교육하는 것이 주목적이기는 하지만, 이는 여성에게 글을 깨우치는 시작이기도하기 때문에 여성이 자각적 의식을 갖게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소학』은 어려서 여성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하는 중요한 서적이라 할 수 있다. 집안에서의 권한을 여성에게 주어 집안의 규율을 정립하여 수신제가치국이라는 유학적 기본 원리를 여성에게 어려서부터 교육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유교적 가부장제적 사회 안에서 정숙한 성품과 몸가짐을 닦으려고 하였고 또한 어머니로서 아내로서 자녀교육 그리고 남편과 신의를 갖고 지내며 근검절약하여 집안을 돌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나아가 정치적 참여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성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환경에 맞추어 가면서도 자신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놓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준비된 여성이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considered to live controlled lives. People have a purpose of living anytime and anywhere. That purpose is usually defined by social nature rather than the purpose people have. In particular, women in the Joseon period ...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considered to live controlled lives. People have a purpose of living anytime and anywhere. That purpose is usually defined by social nature rather than the purpose people have. In particular,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defined as beings who had to live life based on Confucian virtue under a patriarchal system. However, all people live for their own purposes and so do women. Women in the Joseon period did not receive formal education. However, women who were informally educated at home expressed themselves with self-awareness. Finally, it is hard to assert that women who receive institutional education are awakened and have established thought. To see the few literary persons who appear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is confirmed that women had their own world developed. Home education for women was made with the use of education textbooks for women. The education textbooks for women were based on『Sohak』. It was recorded in the reading list for women that women basically read 『Sohak』. 『Sohak』 was designed for children from the age of 7 to 8 to understand basic manners as females as well as males. The important goal of reading 『Sohak』 was to teach basic virtues to women in the Joseon period, but as it was designed to teach women how to read and write, it was good for self-awakening. Therefore, 『Sohak』 is an important writing for girls to find their own identity. Authority at home was given to girls and women to establish household regulations. Women in the Joseon period tried to have virtuous nature and manners in the patriarchal system of a Confucian society, were engaged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were faithful to their husbands, diligent and thrifty, and took care of their families. Furthermore, they accomplished what they imagined and intended through political participation. If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given any chance, they were well prepared to catch it while meeting the needs of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석규, "한국중세사회해체기의 제문제 하" 한울 1987

      2 최숙경, "한국여성사 연구의 성립과 과제" 15 : 1994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23-조선초기의 정치구조"

      4 이배용, "한국사 속에서 여성의 공적영역과 사적영역"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4-15 : 1998

      5 한국교육사연구회, "한국교육사" 교육출판사 1994

      6 이순구, "질문하는 한국사" 서해문집 2008

      7 김대용, "조선초기 교육의 사회사적 연구" 한울 1994

      8 林鍾錄, "조선조 사회의 여성윤리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9 이숙인, "조선여성의 일생" 2013

      10 전혜성, "조선시대 여성의 역할과 업적" 15 : 1994

      1 고석규, "한국중세사회해체기의 제문제 하" 한울 1987

      2 최숙경, "한국여성사 연구의 성립과 과제" 15 : 1994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23-조선초기의 정치구조"

      4 이배용, "한국사 속에서 여성의 공적영역과 사적영역"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4-15 : 1998

      5 한국교육사연구회, "한국교육사" 교육출판사 1994

      6 이순구, "질문하는 한국사" 서해문집 2008

      7 김대용, "조선초기 교육의 사회사적 연구" 한울 1994

      8 林鍾錄, "조선조 사회의 여성윤리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9 이숙인, "조선여성의 일생" 2013

      10 전혜성, "조선시대 여성의 역할과 업적" 15 : 1994

      11 정해은, "조선시대 여성사 연구 동향과 전망, 2007〜2013" 한국여성사학회 (19) : 25-65, 2013

      12 천화숙,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신사임당-임진왜란 이전까지-" 역사실학회 (31) : 5-5, 2006

      13 조혜란, "조선시대 여성 독서 지형도" 8 : 2005

      14 이숙인, "조선시대 교육의 젠더 지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333-368, 2006

      15 이남희,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48) : 135-168, 2011

      16 최연미, "임윤지당의 생애와 윤지당유고" 17 : 1999

      17 이배용,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1999

      18 정현백, "여성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17 : 1994

      19 한지희, "숙종 초 ‘紅袖의 變’과明聖王后 金氏의 정치적 역할" 고려사학회 (31) : 145-176, 2008

      20 이우기, "문정왕후의 정치 참여와 정국운영" 27 : 1999

      21 낸시 초도로우, "모성(母性)의 재생산"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22 오영교, "귀천원유한교수정년기념논총(하)" 혜안 2000

      23 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국역 덕봉집" 심미안 2012

      24 최숙경, "韓國女性史-고대~조선시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3

      25 김언순, "朝鮮時代 女訓書에 나타난 女性의 正體性 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2006

      26 이익성, "朝鮮政鑑" 한길사 1992

      27 성백효, "小學集註" 전통문화연구회 1997

      28 이경하, "內訓의 小學 수용 양상과 의미" 26 : 2008

      29 김경미, "『열녀전』의 보급과 전개-유교적 여성 주체의 형성과 내면화 과정-" 한국문화연구원 13 : 51-82, 2007

      30 이화형, "『內訓』에 나타난 소혜왕후의 여성교육관" 동아시아고대학회 19 : 151-241, 2009

      31 이해진, "‘여성’에서 ‘인간’으로, 주체를 향한 열망 : 임윤지당과 울스턴크래프트 비교 연구" 한국여성학회 30 (30): 89-125, 2014

      32 진원, "[小學]의 편찬 이유와 이론적 입장" 한국학연구원 (49) : 445-468, 2012

      33 노관범, "19세기 후반 淸道 지역 남인학자의 학문과 소학의 대중화" 104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978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