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굴곡건 유착예방을 유한 Controlled Passive Motion의 효과  :  An Ultrastructural Study in Chickens = The Effect of Controlled Passive Motion in the Flexor Tendon Healing and Restoration of the Gilding Surf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55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수지의 조기운동이 굴곡건 치유의 과정중 수복부위 표면의 활주(滑走)와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백색 Leghorn 닭 27마리의 심지굴...

      목적 : 수지의 조기운동이 굴곡건 치유의 과정중 수복부위 표면의 활주(滑走)와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백색 Leghorn 닭 27마리의 심지굴건을 천지굴건 부착부 부근에서 약 70% 단절하고 수복하였으며, 이들을 A군, B군 및 C군의 3군으로 나누어 각각 술후 1일, 5일 및 21일에 수동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술후 5일째, 10일째, 25일째 및 35일째에 도살하여 육안적으로, 그리고 광학현미경과 투과 및 주사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 A군 및 B군(운동군)의 소견은 비슷하였으며 수술후 5일 소견상 건표면이 평활하였고 장원형의 epitenon세포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표면에는 미세한 돌기가 있었다. 탈락된 epitenon세포 아래에 굵은 교원섬유가 규칙적으로 배열하였다. 수술 후 10일에는 건 단단부가 유착없이 잘 문합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epitenon이 더욱 두꺼워졌고 epitenon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건 단단부에는 섬유모세포는 풍부하였고 건의 표면에는 섬유모세포가 좀 더 조밀하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건 단단부에는 부분적으로 교원섬유가 노출되었다. 수술 후 21일에는 건의 단단부가 원래의 건조직과 비슷하게 치유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epitenon의 두께는 감소되었고 건 단단부에는 섬유모세포의 수는 감소되었으며 염증세포는 거의 소실되었다. 건표면은 거의 대부분 섬유모세포로 덮혀 있었고 건의 절단부의 수복이 진행되는 곳은 가는 교원섬유가 불규칙하게 배열하였으며 그 사이에 염증세포가 다수 분포하였다. 수술 후 35일에는 epitenon은 그 두께가 많이 감소되었으나 정상 epitenon보다는 약간 두꺼운 편이었다. C군(고정군)에서는 5일 후에는 A군 및 B군과 비슷하였으나 수술후 5일 소견상 A군 및 B군에서와 같이 건초와의 유착없이 단단부가 치유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수술 10일 후에는 건 단단부가 건초와의 유착이 일어나 박리되지 않았으며 epitenon이 현저히 비후되었고 건초와 유착되었으며 건초의 섬유모세포, epitenon 세포 및 건 단단부의 섬유모세포의 수는 매우 증가되었다. 수술 후 21일 및 35일에는 유착의 범위와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이었다.
      결론 : 수지 굴건 수복후 조기 조절된 수동적 운동은 수지 건초 내에서 수지굴건 수복의 생물학적 수복 반응을 호전 시킬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rly controlled passive motion was shown to stimulate an intrinsic healing response in a clinically rel evant tendon-repair model.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FDP) tendons of the middle toes of 27 chickens were divided and repaired in three group...

      Early controlled passive motion was shown to stimulate an intrinsic healing response in a clinically rel evant tendon-repair model.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FDP) tendons of the middle toes of 27 chickens were divided and repaired in three groups, each group beginning protected passive mobilization at 1, 5, or 21 postoperative days respectively. Through studies by light microscope, and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 found that passive motion beginning at 1 day or 5 days postoperatively has similar effects on the healing of tendons by preventing adhesions, stimulating proliferation of epitenon, and remodeling the tendon callus. The immobilized tendons healed by ingrowth of connective tissue from the digital sheath and cellular proliferation of the endotenon. The ingrowth of reparative tis sue from the digital sheath overwhelmed the epitenon response. This was observed at all study-intervals. In contrast, the mobilized tendons healed by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cells from the epitenon. In growth of reparative tissue from the tendon sheath was notably lacking in this group. The epitenon cells exhibited greater cellular activity. With a remarkable ability to migrate, the epitenon fibroblasts are the source of tendon healing^and surface restoration. However, endotenon fibroblast makes little contribution to the healing process during the first 35 postoperative days. The gliding surface was restored at an early stage, and the tendon healed more rapidly than in the immobilized repairs. These data support the concept that a precise, limited immediate-mobilization program improves the quality of the biological repair response following flexor tendon repair within the digital sheat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