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산 양다래의 재배지역과 경도에 따른 품질 요인 분석 =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between cultivating area and fruit hardness of Korean kiwi fru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2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산 양다래의 주요 품종인 Hayward, Abbott, Bruno를 재배지역별로 경도에 따른 품질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도는 제주산 Abbott가 제일 높았으며 지역에 따른 차이에서도 위도가 ...

      한국산 양다래의 주요 품종인 Hayward, Abbott, Bruno를 재배지역별로 경도에 따른 품질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도는 제주산 Abbott가 제일 높았으며 지역에 따른 차이에서도 위도가 낮은 제주 지역의 Hayward가 경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해남 읍산의 Hayward는 D 그룹(2.2kg/㎠ 이상)이 35.9%이었다. 과실 경도에 따른 적정산도는 1.93-2.47% 범위였으나 제주시산 Hayward가 비교적 산함량이 많앗고 서귀포산 Hayward가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다. Brix 당도를 보면 해남읍산 Hayward가 16.0% 내외로써 가장 높았고 서귀포산 Hayward가 평균 13.0%로써 가장 낮았다. 유리당은 주로 glucose와 fructose이었으며 과실에 원래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sucrose는 숙성중 invertase에 의해 분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품종과 지역에 따라 유기산 함량은 상당히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chlorophyll 함량은 지역과 품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chlorophyll a:b의 비율은 1.3~1.5 내외로써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wifruits (Actinidia chinensis Planch, cv. Hayward, cv. Bruno and cv. Abbott) were grouped into four groups based on its fruit hardness after storage at 2℃ for three months. Most of Hayward cultivars from the Che-ju area were belonged to C group (1...

      Kiwifruits (Actinidia chinensis Planch, cv. Hayward, cv. Bruno and cv. Abbott) were grouped into four groups based on its fruit hardness after storage at 2℃ for three months. Most of Hayward cultivars from the Che-ju area were belonged to C group (1.6-2.1kg/㎠) by hardness. It was shown that these fruits were suitable for the direct use as fresh state. Contents of various components prepared from the four fruit groups were determin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acidity, soluble solids, free sugars(glucose and fructose) and ascorbic acid. However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citric and malic acid)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fruit hardness and the cultivating a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