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체계기능언어학(SFL)을 통한 국어교육의 지평 확장 = The New Horiz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s through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SF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9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체계기능언어학(SFL)의 상상력이 문법교육 및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을 어떻게 확장해 왔는지 그 역사와 계보를 조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하는 데 ...

      본 논문은 체계기능언어학(SFL)의 상상력이 문법교육 및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을 어떻게 확장해 왔는지 그 역사와 계보를 조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SFL이 문법교육학의 개신 과정에 준 영향을 이론적․철학적 층위, 실천적․실행적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론적으로는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관점이 변화되었고, 맥락이 내재적인 변인으로 자리매김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문장 문법으로 재구성되었으며, 변이형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달라졌다. 실천적으로는 교육과정에서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이 화자의 의도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으며, 학습자의 의미 체계 발달을 중심으로 문법 교육을 설계하게 되면서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텍스트 및 맥락 중심 문법 교육’의 의미가 명료해졌다.
      또한 SFL은 국어교육학 전체에도 의미 있는 영향력을 주어 왔다. 국어과 교육과정을 사회기호학적인 관점으로 재편하여 새로운 문식성을 목표로 하도록 하였고, 텍스트 분류 기준을 장르 문법적으로 접근하도록 하여 교육과정 ‘실제’ 범주를 타당하게 규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별 텍스트의 텍스트성에 대한 재규정,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능 영역의 언어적 교육 내용을 명세화함으로써 국어과적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도, 국어교육학의 이론 체계화 작업에도 큰 통찰을 주어, 교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대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였다. 더 나아가 SFL은 국어 교과를 넘어 학습의 본질을 언어학적으로 정립하고, 학교 교육과정 전반을 보다 과학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주세형,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한국어교육학회 (130) : 173-204, 2009

      2 이슬비,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6

      3 조진수 ; 주세형 ; 노유경,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것 같다’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217-245, 2015

      4 남가영, "학문적 상상력을 통한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 확장- 문법 교과의 생태와 문법교육학의 진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77) : 187-227, 2022

      5 주세형, "학교의 언어를 관찰하고 기획하는 국어교육학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3-61, 2019

      6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7 김정자,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신명선, "필자의 ‘어성(語聲)’에 관한 작문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219-256, 2009

      9 조진수, "평생교육 관점의 중등학교 문법 교육 내용의 구조" 한국문법교육학회 37 : 157-182, 2019

      10 구본관,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방향" 한국어문학회 (103) : 1-40, 2009

      1 주세형,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한국어교육학회 (130) : 173-204, 2009

      2 이슬비,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6

      3 조진수 ; 주세형 ; 노유경,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것 같다’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217-245, 2015

      4 남가영, "학문적 상상력을 통한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 확장- 문법 교과의 생태와 문법교육학의 진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77) : 187-227, 2022

      5 주세형, "학교의 언어를 관찰하고 기획하는 국어교육학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3-61, 2019

      6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7 김정자,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신명선, "필자의 ‘어성(語聲)’에 관한 작문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219-256, 2009

      9 조진수, "평생교육 관점의 중등학교 문법 교육 내용의 구조" 한국문법교육학회 37 : 157-182, 2019

      10 구본관,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방향" 한국어문학회 (103) : 1-40, 2009

      11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소 (34) : 57-86, 2014

      12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3 제민경,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4 : 179-206, 2013

      14 신희성, "텍스트의 대인적 기능에 대한 문법교육적 연구 : 언어하기 관점을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2019

      15 de Beaugrande, R., "텍스트언어학입문" 한신문화사 1995

      16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17 주세형, "텍스트 속 문장 쓰기와 문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4) : 409-443, 2007

      18 조진수, "텍스트 맥락 기반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9 김은성, "청소년어에 관한 청소년 문식 실천의 사례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36) : 383-424, 2015

      20 변혜원,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 중학생 언어행동의 주요 특성과 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1 민병곤, "청소년 언어문화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16

      22 최화영, "청소년 언어 사용에 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3 소지영 ; 성경희 ; 주세형, "중학교급 학습자 서술형 답안의 언어적 특성 연구-사회과 학업성취도평가 서술형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61) : 159-187, 2018

      24 소지영 ; 주세형, "중등 과학 교과서에서의 정의문 기능 연구 - 국어과 설명하기 성취기준의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하여 -" 한국어교육학회 (172) : 43-75, 2021

      25 박진희 ; 주세형, "전기문 서술 주체의 관점 개입 방식 연구: ‘백범일지’ 텍스트들에 나타난 평가어의 선택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60) : 153-195, 2021

      26 주세형 ; 김형석, "전공 글쓰기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쟁점 검토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31) : 251-283, 2014

      27 원미진, "재미 동포의 한국어 사용에 나타난 변이어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65) : 71-88, 2015

      28 Knapp, "장르, 텍스트, 문법"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29 제민경,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5

      30 주세형,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한국작문학회 (10) : 109-135, 2010

      31 김병홍, "이문열의 신문 칼럼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우리말학회 (17) : 151-169, 2005

      32 주세형, "융복합 시대 국어 문법교육학의 역할-내용 전문가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21-41, 2015

      33 제민경 ; 남가영 ; 이관희 ; 주세형, "왜 기사문을 선택하는가 -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기사문 선정 원리 탐색 -" 한국중원언어학회 (39) : 337-375, 2016

      34 M.A.K. Halliday, "언어 과학과 언어 교수" 국학자료원 1993

      35 김정우, "어르신 대상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적용" 국립국어원 2018

      36 김정은, "양태 표현 선택에 대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21

      37 주세형, "쓰기 敎育을 위한 代案的 文章 槪念"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75-502, 2005

      38 이관희 ; 맹승호 ; 장혜원, "수학 및 과학의 사례에 근거한 국어 문법 기반초등 교과 통합 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2 : 101-111, 2021

      39 김정우 ; 김은성, "소통, 치유, 공존의 국어교육 -노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9) : 241-279, 2010

      40 강효경, "설득 목적 글쓰기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41 신명선,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 방법의 설계에 대한 시고" 국어교육학회 (14) : 235-264, 2002

      42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46) : 139-181, 2013

      43 김누리,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전략과 텍스트 분석" 한국독서학회 (35) : 319-342, 2015

      44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9-172, 2008

      45 정혜승,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169-189, 2008

      46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 (11): 313-334, 2009

      47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5) : 119-161, 2010

      48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2) - 기사문에 쓰인 ‘-기로 하-’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203-239, 2012

      49 주세형, "문법교육학의 본질과 독자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40) : 281-300, 2012

      50 남가영,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한국어교육학회 (136) : 139-173, 2011

      51 이관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7) : 173-211, 2012

      52 구본관,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변화 - 탈문법학 시대의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향" 국어교육연구소 (37) : 197-254, 2016

      53 조진수,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8

      54 강효경 ; 주세형, "문법 교육에서 주어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55 (55): 41-70, 2020

      55 신명선,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32) : 69-103, 2013

      56 왕한석, "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교문사 2007

      57 주세형 ; 조진수, "독서의 언어학" 청람어문교육학회 (52) : 197-232, 2014

      58 정혜승, "대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상위담화(metadiscourse) 범주 구성 연구" 국어교육학회 (43) : 459-485, 2012

      59 서혁, "담화의 기능 및 유형" 국어교육학회 5 (5): 121-140, 1995

      60 김호정,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1 : 145-177, 2006

      61 강효경 ; 주세형, "논증 능력 발달을 위한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 - 대학생 쓰기 자료에서 주어 ‘나’ 실현 양상으로 본 ‘주관의 객관화’ 관찰을 기반으로" 한국작문학회 (52) : 161-205, 2022

      62 김은성, "국어지식교육의 현상" 한국어교육학회 (116) : 1-34, 2005

      63 주세형, "국어지식 영역의 규범성 패러다임 : 창의성과 균형 잡기" 한국어교육학회 (119) : 397-429, 2006

      64 박인기, "국어교육학 연구의 방향: 재개념화 그리고 가로지르기" 국어교육학회 (22) : 97-124, 2005

      65 주세형, "국어교육의 새로운 내용론 - 학습의 본질 구현을 위한 초학문 융합 패러다임 설계 -" 한국어교육학회 (174) : 73-125, 2021

      66 김봉순,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9) : 169-209, 2010

      67 김창원,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메타적 접근-"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7-34, 2014

      68 민현식, "국어교사를 위한 한국어학개론 입문"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69 이성영, "국어과 제재 텍스트의 요건" 국어교육학회 (48) : 65-94, 2013

      70 김수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설명’ 개념과 양상 분석을 통한 설명 교육의 방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673-693, 2015

      71 주세형, "국어과 교과서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72 박진희, "국어 인용 표현의 해석적 사용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0

      73 김은성, "국어 변이어의 교육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6) : 221-256, 2008

      74 김은성, "국어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처리의 문제" 국어교육학회 (33) : 333-365, 2008

      75 남가영, "국어 교과서의 다면적․중층적 속성에 대한 탐색에 근거한 국어과 교재 개발의 쟁점과 과제" 한글학회 83 (83): 175-215, 2022

      76 주세형, "국어 교과서 연구의 이론적 특성과 발전 방향" 국어교육학회 49 (49): 657-701, 2014

      77 주세형, "교육 평가의 과제와 전망" 한글학회 149-180, 2021

      78 박인기, "교과의 생태와 교과의 진화 -교과의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국어교과의 진화 조건-" 국어교육학회 (34) : 309-343, 2009

      79 박인기,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0) : 261-280, 2006

      80 소지영 ; 주세형, "과학 교과서의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본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 탐색" 국어교육연구소 (39) : 119-158, 2017

      81 김은성, "고령화 시대의 노년기 문법교육의 설계와 전망" 한국문법교육학회 37 : 1-33, 2019

      82 주세형, "‘통일성과 응집성’ 관련 성취 기준에 대한 검토" 한말연구학회 (40) : 315-357, 2016

      83 조진수 ; 노유경 ; 주세형, "‘텍스트 표지’ 교육 내용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50) : 1-31, 2015

      84 이인화 ; 주세형, "‘묘사’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409-457, 2014

      85 박진희 ; 주세형, "‘건의하는 글’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의 의사소통 방식 연구 -필자의 스탠스 조정과 평가어 선택의 양상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77) : 187-231, 2020

      86 Halliday, M.A.K, "The Language of Early Childhood" Continuum 2003

      87 Halliday, M.A.K, "On Language and Linguistics" Continuum 2003

      88 Halliday, M.A.K, "Linguistic Studies of Text and Discourse" Continuum 2002

      89 Halliday, M.A.K., "Language, Context, and Text" OUP 1989

      90 Halliday, M.A.K., "Language as social semiotic :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Edward Arnold 1978

      91 Halliday, M.A.K, "Language and Education" Continuum 2007

      92 Halliday, M.A.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Edward Arnold 1994

      93 주세형, "<언어와 매체> 교재 구성의 원리 - 문법 영역에서의 통합 원리 탐색을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28 : 237-286, 2016

      94 김영은, "21세기 역량 함양을 위한 초학문적 융합 패러다임 제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6-85, 2018

      95 노은희,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96 교육부, "(제7차)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0

      97 교육부,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

      98 김혜정, "'정보전달'텍스트의 특성과 교수 학습 방법" 한국어교육학회 (136) : 37-6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