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7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제7차 교육과...

      본 연구는 초등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제7차 교육과정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현장에 적용하였다.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검사지는 진옥화(2004)가 개발한 환경소양 측정도구 86문항을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한 최혜란과 이상원(2009)의 것을 재구성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관찰·기록과 수시 면담 및 포트폴리오 수집을 통해 정성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은 초등학생 환경소양의 4개의 환경 목적 수준별 모든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프로그램이 새로운 환경교육의 방법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한다면 초등학생들에게 환경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환경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보다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NIE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fourth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NIE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fourth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by abstra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4th grade in 7th curriculum. Second, applying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had an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ird, applying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every ele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divided by the four goal level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Fourth, the result of a case analysis of observation and interview, many students had a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showed attitude change, will to act and change of action while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can apply to the elementary school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4th grade students. That is to say, this program is meaningful as a new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professor·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 정의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 정의
      • 4. 연구의 제한점
      • II. 이론적 배경
      • 1. NIE와 초등환경교육
      • 2. 글쓰기 교육
      • 3. 환경소양과 환경 글쓰기 교육
      • 4. 선행연구 고찰
      •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연구 절차
      • 2. 연구대상 및 실험설계
      • 3.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 검사도구
      • 5. 자료처리 및 분석
      •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1. 환경소양 사전-사후검사 결과
      • 2. 환경소양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
      • 3. 환경소양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 4. 정성적 분석 결과
      • V.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옥화, "환경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소양 측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 최돈형,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교육과학사 2007

      3 이성희, "환경 소양 신장을 위한 환경논술 워크북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0 (20): 39-50, 2007

      4 정문성, "학생 NIE 알아보기" 한국신문협회 2005

      5 정문성, "학교 NIE 알아보기" 한국신문협회 2004

      6 김규현, "토론식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미진,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 도구 개발 및 환경소양도에 따른 환경 Mapping 사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정현희, "초등학생 환경 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1 (21): 79-93, 2008

      9 한혜송, "초등학교 실과 교과에서 NIE를 활용한 환경교육 수업 방안 연구" 서울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 2000

      1 진옥화, "환경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소양 측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 최돈형,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교육과학사 2007

      3 이성희, "환경 소양 신장을 위한 환경논술 워크북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0 (20): 39-50, 2007

      4 정문성, "학생 NIE 알아보기" 한국신문협회 2005

      5 정문성, "학교 NIE 알아보기" 한국신문협회 2004

      6 김규현, "토론식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미진,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 도구 개발 및 환경소양도에 따른 환경 Mapping 사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정현희, "초등학생 환경 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1 (21): 79-93, 2008

      9 한혜송, "초등학교 실과 교과에서 NIE를 활용한 환경교육 수업 방안 연구" 서울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 2000

      11 배숙희, "초등수학에서 상호글쓰기를 통한 학습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정수권, "초등 사회과에서의 신문 자료를 활용한 환경교육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13 "중앙일보 NIE 자료집(1996). 신문 살아있는 교과서 활용사례집①. 중앙일보사"

      14 박정해, "주제가 있는 환경일기 쓰기 교육을 통한 환경소양 함양"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김유, "신문 자료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아동의 지식, 기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6 류성규, "수학일기쓰기 활동이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환경부, "선생님과 함께 읽는 어린이 환경백서" 2010

      18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과정 중심 접근)" 교육과학사 2002

      19 최혜란, "교육 연극을 활용한 감성 중심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43-55, 2009

      20 배희숙,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Simmons, D., "The NAAEE standards project: Working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1994

      22 Hungerford, H. R., "Selected predictors of responsible behavior: An analysis" 17 (17): 31-40, 1985

      23 유경미, "NIE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4 방부숙, "NIE를 이용한 설명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5 하상만, "NIE 활용 수업을 통한 실과 환경교육의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6 최상희, "NIE 이해와 활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7 Hungerford, H. R., "Issue investigation & citizenship action training; An instructional mode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ory, practice and possibiliti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NAAEE 1994

      28 Roth, C. E.,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evolution, and directions in the 1990's. Columbus, Ohio State University,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ED 34823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