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호좌회전과 보호/비보호 겸용 좌회전 통행특성 차이를 고려한 보호/비보호 겸용 좌회전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논문들처럼 지체시간 감소만으로 PPLT 특성을 반영하여 PPLT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 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체시간 외에 통과 좌회전 교통량, 상충위험수를 사용하여 ...

      기존 논문들처럼 지체시간 감소만으로 PPLT 특성을 반영하여 PPLT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 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체시간 외에 통과 좌회전 교통량, 상충위험수를 사용하여 PPLT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좌회전 교통량이 용량 이상이면서 많을수록, 대향 직진 교통량은 용량 미만이면서 적을수록 PPLT 효과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좌회전 교통 량이 용량 미만에서는 선행 신호대기 차량들이 비보호로 교차로를 통과하게 되어 지체시간은 일부 감소하지만 전체 통과 좌회전 교통량은 증가하지 않고 상충위험률은 증가하게 된다. 그 리고 대향 직진 차로수가 1, 2차로에서는 상충위험수가 유사하지만 3차로 이상이 되면 크게 증가한다. 또한 PLT와 PPLT의 통과 좌회전 교통량 차이는 지체시간 차이와 유사한 패턴을 보 이면서 지체시간보다 PPLT 적용 범위가 더 넓고 상충위험수와 연관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따 라서 PPLT의 교통류 특성과 상충위험수 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통과 좌회전 교통량이 지체 시간보다 유리하다. 즉, PLT와 PPLT의 통과 좌회전 교통량, 지체시간 차이와 대향직진 3차로 이상에서의 상충위험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PPLT 적용 여부를 판단하면 지체시간만을 적용해 온 기존 방안에 비해 합리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lication of PPLT is difficult to analyze and judge only from the effects of the delay tim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PPLT was proposed using not only the delay time of PLT and PPLT due to the change in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

      The application of PPLT is difficult to analyze and judge only from the effects of the delay tim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PPLT was proposed using not only the delay time of PLT and PPLT due to the change in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opposite straight lanes but also the traffic volume of passing a left turn and the number of conflict risks as indica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re left-turn traffic than capacity and the less opposite-straight volume, the greater the PPLT effect. On the other hand, if the left-turn traffic is below capacity, the delay time will be reduced partially, but the overall passing left turn volume will not increase, and the conflict risk will increase. In addition, the conflict risk increases in the third lane or higher. Moreover, the difference of passing left-turn volume between PLT and PPLT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e delay time difference, and the PPLT coverage was wider than the difference in delay time and was associated more with the conflict risk numbers. Therefore,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passing left-turn traffic primarily, consider the delay time below the left-turn capacity, and consider the conflicting risk numbers simultaneously at or above the opposite straight three la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선행 연구 고찰
      • Ⅱ. 관련 이론 및 연구 고찰
      • Ⅲ. 분석 시나리오 작성
      • Ⅳ. 시나리오 분석
      • 1.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설정
      • 2. 시뮬레이션 적정성 검토
      • 3. PLT와 PPLT와의 지체시간 및 통과 좌회전 교통량 차이 비교 분석
      • 4. 상충위험수 분석
      • Ⅴ. PLT/PPLT 적용방안
      • 1. PLT에서 PPLT 적용 예
      • Ⅵ.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창진, "효율적인 보호/비보호좌회전(PPLT) 교통류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2 남상범, "신호시간을 고려한 PPLT 효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36 (36): 305-318, 2018

      3 김도경, "신호 및 좌회전 처리방법에 따른 교차로 안전성 평가" 서울연구원 9 (9): 107-118, 2008

      4 이동훈, "보호/비보호 좌회전(PPLT)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교통량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5 윤일수, "미시교통시뮬레이션을 이용한 3지 교차로 보호-비보호 좌회전 도입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7 (17): 89-98, 2015

      6 하태준, "교차로 교통상충기준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0 (20): 105-115, 2002

      7 National Police Agency, "Traffic Signal Control Manual"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KHCM)"

      9 Agency, K. R., "Guideline for the Use of Protected/Permissive Left-Turn Phasing" 1987

      10 Park J. S., "A study on Warrant of Protected & Permissive Left-Turn Signal Systems" Hanyang University 2000

      1 송창진, "효율적인 보호/비보호좌회전(PPLT) 교통류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2 남상범, "신호시간을 고려한 PPLT 효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36 (36): 305-318, 2018

      3 김도경, "신호 및 좌회전 처리방법에 따른 교차로 안전성 평가" 서울연구원 9 (9): 107-118, 2008

      4 이동훈, "보호/비보호 좌회전(PPLT)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교통량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5 윤일수, "미시교통시뮬레이션을 이용한 3지 교차로 보호-비보호 좌회전 도입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7 (17): 89-98, 2015

      6 하태준, "교차로 교통상충기준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0 (20): 105-115, 2002

      7 National Police Agency, "Traffic Signal Control Manual"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KHCM)"

      9 Agency, K. R., "Guideline for the Use of Protected/Permissive Left-Turn Phasing" 1987

      10 Park J. S., "A study on Warrant of Protected & Permissive Left-Turn Signal Systems" Hanyang University 2000

      11 Won Y. J., "A Stuty about Control Plan of the Left Turn Traffic below Four Lane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

      12 Kim S. Y., "A Study of Applying Protected/Permissive Left-Turn Signal(PPLT)at Four-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 Aju University 2015

      13 Bae W. J., "A Study of Applying A Study of Applying Protected/Permissive Left-Turn Signal(PPLT) at Four-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 Myongji University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646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