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2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looks into the method to popularise the Seoul block-printed novels published in Han-Nam bookstore and its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novel. 52 types of Seoul block-printed novels were publish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

      This thesis looks into the method to popularise the Seoul block-printed novels published in Han-Nam bookstore and its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novel. 52 types of Seoul block-printed novels were publish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From 1920 to 1921, particularly, 22 types of Seoul block-printed novels were published in Han-Nam bookstore.
      Han-Nam bookstore was a famous old booksto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classical novels began to be type-printed in the 1910s, Seoul block-printed novels were quite rare in the 1920s. It is notable, therefore, that Du-young Baek of Han-Nam bookstore published 22 types of Seoul block-printed novels between 1920 and 1921. Considering the background, Du-yong Baek"s to method popularize Seoul block-printed novels needs to be paid attention. Du-yong Baek"s to method popularize Seoul block-printed novel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oul block-printed novels published in Han-Nam bookstore were mainly made use of love narrative led by women. These novels were 〈Suk-Young-Nang-Ja-Jeon〉, 〈Geum-Bang-Ul-Jeon〉, 〈Baek-Hak-Seon-Jeon〉, 〈Ok-Ju-Ho-Yeon〉, 〈Yang-San-Baek-Jeon〉, 〈Chun-Hyang - Jeon〉. Second the Seoul block-printed novels published in Han-Nam bookstore were mainly made use of historical hero narrative. These novels were 〈Im-Gyoung-Up-Jeon〉, 〈Hong-Gil-Dong-Jeon〉, 〈Dang-Tae- Jong-Jeon〉, 〈Goak-Bun-Yang-Jeon〉, 〈Sam-Guk-Ji〉. Third romantic love narrative of the common women were in 〈Suk-Young-Nang-Ja- Jeon〉, 〈Chun-Hyang-Jeon〉. Forth ideal heroic action states were decreased and family conflicts were magnified in 〈So-Da-Seong-Jeon〉, 〈Yang- Pung-Jeon〉, 〈Jeg-Seong-Eui-Jeon〉 and 〈Geum-Bang-Ul-Jeon〉. Fifth critical mind of feudal system and confucianism still remained from the original texts of Seoul block-printed 〈Dang-Tae-Jong-Jeon〉, 〈Sim- Cheong-Jeon〉, and 〈Gu-Un-Mong〉.
      The method used to popularise Seoul block-printed novels published in Han-Nam bookstore in 1920 and 1921 was revealed modernity. And the Seoul block-printed novels in particular prove that classical novels were still popular up to the 1920s. But 1920’s is provided for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ry. Thus Seoul block-printed novels printed in Han-Nam bookstore provides evidence that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novel or literary should be extended up to the 1920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간행 동인과 배경
      • 3.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
      • 4.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의 소설사적 의미
      • 5. 결론
      • 1. 서론
      • 2.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간행 동인과 배경
      • 3.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
      • 4.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의 소설사적 의미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석, "활자본 고전소설의 총량에 대한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43) : 253-294, 2013

      2 권순긍, "활자본 고소설의 편복과 지향" 보고사 9-340, 2000

      3 김성철, "활자본 고소설의 존재 양태와 창작 방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방효순, "한남서림의 소설류 방각본 발행" 근대서지학회 5 : 135-169, 2012

      5 이창헌, "한남서림 간행 경판 방각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1 : 63-111, 1998

      6 류탁일, "한국문헌학연구" 아세아문화사 3-561, 1989

      7 김용기, "출생담을 통한 여성영웅의 성격 변모 연구" 우리문학회 (26) : 3-41, 2009

      8 서혜은, "조선 시대 <서유기>의 개작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문학언어학회 (65) : 91-117, 2015

      9 서혜은,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0) : 41-74, 2010

      10 박종화, "월탄 박종화 회고록-역사는 흐르는데 청산은 말이 없네" 삼경출판사 16-470, 1979

      1 최호석, "활자본 고전소설의 총량에 대한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43) : 253-294, 2013

      2 권순긍, "활자본 고소설의 편복과 지향" 보고사 9-340, 2000

      3 김성철, "활자본 고소설의 존재 양태와 창작 방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방효순, "한남서림의 소설류 방각본 발행" 근대서지학회 5 : 135-169, 2012

      5 이창헌, "한남서림 간행 경판 방각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1 : 63-111, 1998

      6 류탁일, "한국문헌학연구" 아세아문화사 3-561, 1989

      7 김용기, "출생담을 통한 여성영웅의 성격 변모 연구" 우리문학회 (26) : 3-41, 2009

      8 서혜은, "조선 시대 <서유기>의 개작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문학언어학회 (65) : 91-117, 2015

      9 서혜은,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0) : 41-74, 2010

      10 박종화, "월탄 박종화 회고록-역사는 흐르는데 청산은 말이 없네" 삼경출판사 16-470, 1979

      11 곽기숙, "여성영웅소설의 전개양상과 의식세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12 윤분희, "여성 영웅소설 <옥주호연>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6 : 252-287, 2001

      13 이은숙, "신작 구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1-459, 2000

      14 이민희, "백두용과 한남서림 연구" 역락 13-438, 2013

      15 전상욱, "방각본 춘향전의 성립과 변모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6 "매일신보"

      17 이유경, "금방울전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8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5-561, 2003

      19 이주영,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9-234, 1998

      20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6-463, 2001

      21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5-907, 1999

      22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 상· 하" 박이정 13-1385, 2006

      23 한국고소설연구회, "고소설의 저작과 전파" 아세아문화사 3-568, 1996

      24 서혜은, "경판본 소설의 후대적 변모 양상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58) : 519-555, 2014

      25 서혜은, "경판 방각소설의 대중성과 사회의식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6 이창헌, "경판 방각소설 판본 연구" 태학사 11-607, 2000

      27 서혜은, "경판 <임장군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27) : 109-135, 2009

      28 서혜은, "경판 <소대성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향유 의식" 한국사상문화학회 (75) : 37-59, 2014

      29 서혜은, "경판 17장본 <홍길동전>의 간행 양상과 소설사적 위상" 열상고전연구회 (42) : 613-645, 2014

      30 金奭培, "春香傳 異本의 生成과 變貌 樣相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31 유정혜, "「금방울전」 연구 - 여성영웅소설적 성격과 환상성을 중심으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2 김대곤, "<옥주호연>의 창작 방법과 여성영웅소설사적 의의" 한국문학회 (67) : 107-138, 2014

      33 김영애, "<백학선전>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