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골반지지구조물의 약화가 골반장기탈출증의 원인 중 하나로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다. 활성 산소종은 DNA, 지질 및 단백을 변성시키고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04496
2012
-
500
학술저널
383-38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골반지지구조물의 약화가 골반장기탈출증의 원인 중 하나로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다. 활성 산소종은 DNA, 지질 및 단백을 변성시키고 과...
목적: 골반지지구조물의 약화가 골반장기탈출증의 원인 중 하나로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다. 활성 산소종은 DNA, 지질 및 단백을 변성시키고 과다할 경우 세포 구조와 기능에 악영향을 미쳐 세포자멸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섬유모세포 및 평활근세포의 교원질 및 탄력소 합성을 저해하고 분해효소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산화스트레스가 골반장기탈출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근거는 미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반장기탈출증을 가진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에서 자궁천골인대 조직 내 산화스트레스 및 미토콘드리아 세포자멸사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4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서울대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 받은 POP-Q 제3기 이상의 환자군 26명과 POP-Q 제0-I기의 대조군 29명에서 자궁천골인대 조직을 채취하였다.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 및 4-hydroxy-2-nonenal (4-HNE)의 발현 정도는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세포자멸사 정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ing (TUNEL) 분석, cleaved caspase-3, cytochrome c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분석, cleaved caspase-3 및 caspase-9에 대한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군에서 8-OHdG (40.39±11.08% vs. 18.27±7.19%)와 4-HNE (46.04±10.86 vs. 18.61±8.11) 면역양성세포, TUNEL (41.70±6.07%vs. 25.63±9.23%), cleaved caspase-3 (52.02±16.42% vs. 22.64±13.39%), cytochrome c (48.14±11.02% vs. 21.26±7.09%) 양성세포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Western blot 분석에서도 cleaved caspase-3 및 -9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8-OHdG (Pearson 상관계수=0.72∼0.79, p<0.01) 및 4-HNE (Pearson 상관계수=0.72∼0.78, p<0.01) 에 대한 양성세포 비율은 미토콘드리아 세포자멸사 표지자의 양성세포 비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C point에 따른 POP-Q 병기별 분석에서 8-OHdG, 4-HNE 및 cytochrome c 양성세포 비율은 병기에 무관하게 환자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TUNEL 및 cleaved caspase-3는 제3-4기의 환자군에서만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산화스트레스와 미토콘드리아 세포자멸사 증가가 골반장기탈출증 발생과정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Practical measurement of estimated blood loss in gynecologic surgery
이공법을 이용한 복강경하 난소낭종 절제술과 고식적 방법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midurethral sling outcomes with and without concomitant repair for prolapse
A case of vulva hematoma with rupture of pseudoaneurysm of pudendal ar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