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주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의 설득 효과: 한‧미 여성의 공익광고 태도 비교를 중심으로 = Persuasive Effects of Public Communication Using a Familistic Appeal: Based on the Comparison of Advertising Attitudes between South Korean and American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8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how much 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using a familistic appeal would be effective in persuasion, comparing to that using an individualistic appeal. A critical focus in this study’s analysis lied on the cross-cultural viewpo...

      This research examined how much 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using a familistic appeal would be effective in persuasion, comparing to that using an individualistic appeal. A critical focus in this study’s analysis lied on the cross-cultural viewpoint, which compares consumer attitudes between South Korea, an assumed colletivistic country, and the US, an assumed individualistic country. Thu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both countries using the sample of 476 married women.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general patterns of relative effect discrepanci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re similar, an individualistic appeal tends to be slightly more effective than a collectivistic appeal; and moderating effects of both message framing (positive vs. negative) and age groups were foun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a changing trend of South Korean consumers in their perceptions of familism and individualism as well as their effectiveness in public communication was discussed with the effort to draw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치규범 중 하나인 가족주의가 반영된 공익광고의 설득효과를 개인주의가 반영된 소구의 효과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분석의 관점에 있어서는 집단주의 성...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치규범 중 하나인 가족주의가 반영된 공익광고의 설득효과를 개인주의가 반영된 소구의 효과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분석의 관점에 있어서는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가정된 한국 수용자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가정된 미국 수용자의 광고태도 및 행동적 의향을 평가하는 비교문화적 시각을 채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양국의 기혼여성 476명을 대상으로 동기간대에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데이터의 통계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에서의 수용자 반응이 대체로 유사한 패턴을 보인 가운데, 전반적으로 개인주의 소구에 대한 태도가 가족주의 소구에 대한 태도보다 긍정적이며 메시지 프레이밍과 연령대의 조절효과는 양국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국내 소비자들의 성향에 내재된 가족주의와 개인주의 속성의 변화 및 공공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이용 효과를 이론적ㆍ실무적 함의와 함께 논의하고 관련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옥선화,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9

      2 류정현, "한국적 부모-자녀관계, 가족주의, 효" 한국부모교육학회 4 (4): 2007

      3 최상진, "한국인의 심정심리학"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 1994

      4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개문사 1979

      5 최인재, "한국인의 문화 심리적 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情), 우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55-71, 2002

      6 신수진,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1998

      7 박영신, "한국 사회의 변동과 가족주의 in 역사와 사회변동" 민영사 1986

      8 이영자,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와 페미니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3 (23): 1999

      9 서선희, "한국 사회에서 ‘가족중심주의’의 의미와 그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93-101, 2003

      10 정병호, "한국 가족문화 변화와 사회 공동체적 육아의 필요성" 한국민족학회 6 : 2002

      1 옥선화,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9

      2 류정현, "한국적 부모-자녀관계, 가족주의, 효" 한국부모교육학회 4 (4): 2007

      3 최상진, "한국인의 심정심리학"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 1994

      4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개문사 1979

      5 최인재, "한국인의 문화 심리적 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情), 우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55-71, 2002

      6 신수진,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1998

      7 박영신, "한국 사회의 변동과 가족주의 in 역사와 사회변동" 민영사 1986

      8 이영자,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와 페미니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3 (23): 1999

      9 서선희, "한국 사회에서 ‘가족중심주의’의 의미와 그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93-101, 2003

      10 정병호, "한국 가족문화 변화와 사회 공동체적 육아의 필요성" 한국민족학회 6 : 2002

      11 김선영, "텔레비전 광고에 재현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분석을 중 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4

      12 은기수, "저출산가족의 탈출 in 오늘의 한국가족, 어디로 가고 있나" 아산사회복지재단 2006

      13 성영신, "인지욕구와 메시지 주장의 유형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한국방송광고공사 (16) : 1992

      14 김덕균, "유교적 가족주의, 해체인가 복원인가 - 새로운 가족윤리를 모색하며" 한국유교학회 (23) : 109-134, 2005

      15 김병희, "소년 대상 금연광고의 메시지 효과" 서원대 호서문화연구소 16 : 2002

      16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전국편)"

      17 조형오, "비만예방광고의 메시지 유형별 설득효과 차이분석" 한국광고학회 11 (11): 2000

      18 최병용, "문화적 가치에 따른 광고결정" 한국방송광고공사 (10) : 1991

      19 김정현, "메시지 유형과 수용자 요인이 자궁경부암 예방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81) : 78-103, 2008

      20 성영신, "또 하나의 사회 : 광고에 표현된 한국적 VS 서구적 인간관계" 한국방송광고공사 (73) : 105-133, 2006

      21 이화자, "된 광고, 든 광고, 난 광고" 나남출판사 1995

      22 박명석, "동과 서-그 의식구조의 차이" 탐구당 1993

      23 김진희, "남녀대학생의 가족개념, 가족주의가치관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499-510, 2010

      24 김재영, "금연메시지의 강도와 지향성이 커뮤니케이션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3 (13): 2002

      25 조형오, "금연광고 메시지 유형의 효과 부석: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방향의 매개역할" 한국광고학회 11 (11): 2000

      26 박유식, "광고유형과 오디언스 특성이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3 (13): 2002

      27 김광수, "광고에서의 프레이밍 효과: 예상이론을 중심으로" 한국 광고학회 9 (9): 1998

      28 정기현,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의 변화: 1970년부터 2006년까지의 텔레비전 광고 내용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97-229, 2007

      29 한상필, "광고를통해본한국문화의변화-1960년부터 2000년까지의 광고 내용분석" 한국방송광고공사 58 : 135-162, 2003

      30 김재휘, "공해방지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한국방송광고공사 49 : 2000

      31 이수범, "공익광고에 나타난 의미구조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5) : 291-326, 2010

      32 권중록, "공익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가치와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56 : 127-159, 2002

      33 김재휘, "공익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과 결과 지각이 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4-4, 2004

      34 이근우, "공익광고 메시지 전달과정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한·미·일 공익광고 메시지 전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4 (4): 139-176, 2004

      35 조용석, "공익 광고의 주제 유형별 효과: 이슈 유형(사회적-개인적)에 따른 메시지 및 수용자 변인의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71-104, 2007

      36 서선희, "가족중심주의에 대한 유교적 해석" 한국가족학회 7 : 1995

      37 김현옥, "가족주의 의식의 구성과 변화 - 한국사회에서의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14 (14): 1-1, 2002

      38 허재홍,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0 (10): 1769-1782, 2009

      39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 또 하나의 문화 2003

      40 박승희, "가족의 다양성론에 대한 성찰적 검토" 비판사회학회 (70) : 215-235, 2006

      41 김규원, "가족의 관계역동성과 문제의식: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한국가족학회 7 : 1995

      42 박양식, "가족문화를 통해 본 한국인의 문화의식 in 한국인의 문화의식 조사: 가족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학술원 신학연구소, 한울 2005

      43 김선영, "가족 이미지를 차용한 텔레비전 광고 분석" 한국가족학회 18 (18): 83-116, 2006

      44 Rothman, A. J, "The Systematic Influence of Gain- and Loss-Framed Message on Interest in and Use of Different Types of Health Behavior" 25 : 1999

      45 Kim, Y, "The Role of Regulatory Focus in Message Framing in Antismoking Advertisements for Adolescents" 35 (35): 2006

      46 Maheswaran, D,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27 : 1990

      47 Rose, G. M., "The Influence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on Parental Reactions toward Advertising: A Cross-National Examination" 27 (27): 1998

      48 Pechmann, C, "The Effects of Anti-Smoking and Cigarette Advertising on Young Adolescents’ Perceptions of Peers Who Smoke" 21 (21): 1994

      49 Meyerowitz, B. E,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Breast Self-Examination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52 : 1987

      50 Aaker, J. L, "The Effect of Cultural Orientation on Persuasion" 24 (24): 1997

      51 성영신, "TV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12) : 1991

      52 김유경, "TV 공익광고의 주제 및 표현전략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8 (18): 7-30, 2007

      53 Rothman, A. J., "Shaping Perceptions to Motivate Healthy Behavior: The Role of Message Framing" 121 : 1997

      54 McGraw-Hill, "Riding the Waves of Culture: Understanding Diversity in Global Business. 2nd ed" McGraw-Hill 1998

      55 Oyserman, D,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128 (128): 2002

      56 Kahneman, D,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47 : 1979

      57 Millar, M. G, "Promoting Safe Driving Behavior: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30 (30): 2000

      58 Han, S, "Persuasion and Culture: Advertising Appeals in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Societies" 30 (30): 1994

      59 Homer, P. M, "Message Framing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Feelings, Affect, and Cognition" 21 (21): 1992

      60 Ganzach, Y., "Message Framing and Buying Behavior: A Field Experiment" 32 : 1995

      61 Triandis, H. C,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estview 1995

      62 Frith, K. T., "Individualism and Advertising: A Cross-Cultural Comparison" 18 (18): 1991

      63 Levin, I. P., "How Consumers Are Affected by the Framing of Attribute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Consuming the Product" 15 (15): 1988

      64 Fernandez, D. R, "Hofstede’s Country Classification 25 Years Later" 137 (137): 1997

      65 Chang, C. T, "Health-Care Product Advertising: The Influences of Message Framing and Perceived Product Characteristics" 24 (24): 2007

      66 De Mooij, M. K, "Global Marketing and Advertising: Understanding Cultural Paradoxes" Sage Publications 1998

      67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Burden of Cancer"

      68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Sage Publications 1980

      69 Hofstede, G, "Culture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McGrow Hill 1991

      70 Cho, B, "Cultural Values Reflected in Theme and Execution: A Comparative Study of U.S. and Korean Television Commercials" 28 (28): 1999

      71 Robberson, M. R., "Beyond Fear Appeals: Negative and Positive Persuasive Appeals to Health and Self-Esteem" 18 : 1988

      72 MacKenzie, Scott B,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53 (53): 1989

      73 Cutler, B. D, "Advertiser’s Relative Reliance on Collectivism-Individualism Appeals: A Cross-Cultural Study" 9 (9):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ete for Social Science Studies ->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6-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0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