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문조사로 본 결혼 이주여성의 호칭어 사용 현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6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남성과 국제결혼을 하여 한국에서 살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이 가족 구성원 내지 타인들에게 사용하는 호칭어가 무엇인지와 그들이 이주여성을 어떻게 부르는지를 알고자 하...

      이 연구는 한국 남성과 국제결혼을 하여 한국에서 살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이 가족 구성원 내지 타인들에게 사용하는 호칭어가 무엇인지와 그들이 이주여성을 어떻게 부르는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호칭어의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친족어 호칭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결혼은 새로운 가족관계를 창출하는 것이므로 부부간이나 시부모와 친척 간에 사용할 수 있는 친족어호칭어가 많을 수밖에 없다. 결혼 이주여성이 시부모, 친척, 타인에게는 표준화법에 맞게 호칭어를 쓰고 있었으나,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대화를 하는 부부간의 호칭어에서는 서로 간에 표준화법에 맞지 않는 호칭어를 쓰고 있었다. 그리고 ‘야, 어이’와 같이 자칫하면 기분이 상할 수 있는 호칭어를 남편, 시부모, 친척들이 결혼 이주여성에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적절하지 않거나 잘못된 호칭어는 바르게 고쳐서 올바르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온 이주여성들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호칭어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호칭어 교육이 일방적으로 이주여성에게만 요구하거나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 가족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여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age of terms of address by married woman immigrants through questionnai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Kin and kinship address terms are more frequently used because this can be seen due to the fact tha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age of terms of address by married woman immigrants through questionnai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Kin and kinship address terms are more frequently used because this can be seen due to the fact that married woman immigrants are members of family. So they can not help using kin and kinship address terms among husband, parents in law, relatives etc. (2) Between married woman immigrants and their husbands, ‘Obba(means elder brother)’, ‘Name(of married woman immigrants)’ are most of the address terms respectively. (3) ‘Ya, Eo-i(means yo, hey)’ address term is more frequently used by husband, parents in law, relatives to call married woman immigrants. Address terms of (2) and (3) don’t coincide with standard speech in Korean. And Address terms of (3) makes married woman immigrants unpleasant without intimacy. Therefore members of multi-culture family have to receive an education of correct terms of address and try to use them prope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연구 대상과 방법
      • 3. 연구 결과의 분석
      • 4. 결론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연구 대상과 방법
      • 3. 연구 결과의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운, "한국어 호칭어 체계" 한국사회언어학회 5 (5): 1997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엉의 한국생활" 교육과세상 2007

      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화법 해설"

      4 "통계청홈페이지"

      5 농림부, "우리 엄마의 한국어" 아름다운 한국어학교 2007

      6 김덕호, "연령별・계층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06

      7 여성가족부,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재 초급" 누리미디어플러스 2005

      8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884

      9 조태린, "부부간 호칭어 및 높임법 사용의 양성 불평등적 측면" 한국사회언어학회 2010

      10 이정옥, "경상북도 결혼이주여성 현황 및 적응교육"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6

      1 박정운, "한국어 호칭어 체계" 한국사회언어학회 5 (5): 1997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엉의 한국생활" 교육과세상 2007

      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화법 해설"

      4 "통계청홈페이지"

      5 농림부, "우리 엄마의 한국어" 아름다운 한국어학교 2007

      6 김덕호, "연령별・계층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06

      7 여성가족부,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재 초급" 누리미디어플러스 2005

      8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884

      9 조태린, "부부간 호칭어 및 높임법 사용의 양성 불평등적 측면" 한국사회언어학회 2010

      10 이정옥, "경상북도 결혼이주여성 현황 및 적응교육"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