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 반 논 문 :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재현 방식 -염리동 "소금길" 공간심상 분석을 중심으로 = with a focus on analysis of images of Yeomni-ding Salt W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27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은 2012년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첫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기존 주택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셉테드 원리를 적용한 지역공동체 ...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은 2012년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첫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기존 주택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셉테드 원리를 적용한 지역공동체 중심 안전마을 조성을 취지로 계획되었고, 염리동 ‘소금길’은 그 결과물이다. 소금길이 조성된 2012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수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자치위원회는 이곳을 모범사례로 삼아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디자인안을 기획하고 있다. 서울시는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염리동 소금길 조성사업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서울시 디자인’의 첫 번째 사업으로 부각시킨다. 언론매체는 소금길 조성을 통한 염리동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곳을 ‘마을공동체’를 통한 안전한 ‘지역명소’로서 재현한다. 아마추어 사진가들은 ‘최근 뜨는 출사지’로서 소금길을 ‘따뜻하게’ 바라보고, 그들의 주관적 시선은 블로그 속 사진을 통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지방정부, 언론매체, 블로그 등을 통해 재현된 ‘산책하고 싶은 소금길’의 모습은 “떠날 사람은 떠나고, 남을 사람은 남을 어차피 사라져 버릴 동네”라고 말하는 염리동 주민의 시선과 대조적이다. 사실상, 염리동은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물리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소금장수들이 사이좋게 모여 살던 ‘소금마을’에서 재개발의 논리 속에 논쟁이 끊이지 않는 ‘염리동 재개발지역’으로, 그리고 안전해서 걷고 싶고 사진에 담고 싶은 ‘소금길’의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심상화되고 있다. ‘소금길’이 형성된 염리동 일대에 대한 매체의 재현방식과 이를 통해 형성된 도시 이미지에 주목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언론매체에 보도된 염리동 관련 기사의 내용을 유형화함으로써 염리동이라는 공간을 대상으로 형성된 사회적 담론과 공간심상의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개인 블로그 속 소금길 사진을 유형화함으로써 소금길 이미지를 구성하는 지배적 시선을 분석한다. 셋째 소금길에 거주하는 염리동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분석함 으로써 언론매체와 블로그가 드러내는 소금길의 모습과 염리동 주민이 이곳을 바라보는 시각을 비교한다. 재개발의 논리 아래 갈등과 소송으로 얼룩졌던 ‘염리 제3,4구역’은 ‘소금길’ 조성 후 이웃과 손님이 함께 하는 장소라는 공간심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철거를 앞 둔 염리 재개발지역과 그 안에 위치한 소금길은 재개발로 인한 주거불안과 범죄로 인한 불안을 여전히 품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논문은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가 안전한 도시공간의 ‘재현’이 아닌 실체적인 도시공간 ‘형성’을 도모하기를 촉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2 Seoul launched a program titled as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to prevent crim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 city of Seoul chose Yeomni-dong as the first model site to implement the program, and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alt Way. S...

      In 2012 Seoul launched a program titled as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to prevent crim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 city of Seoul chose Yeomni-dong as the first model site to implement the program, and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alt Way. Since then, this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involving case of Salt Way has been benchmarked by many local governments and regional police agencies. The city of Seoul describes Salt Way in various mass media as the first urban design project initiated by Seoul to solve social problems. Mass media represent it as a ‘local attraction’ promoted by ‘local community’, with an emphasis on its physical and social changes. Many amateur photographers began to call it as a ‘hot place for photographers’, brought photo tours to it into vogue. Local residents, however, express their frustration of having to leave their community once redevelopment begins. Yeomni-dong, indeed, was designated as a redevelopment district in 2004 and has been through rough times with local crimes and other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development. This study traces the changing urban images of Yeomni-dong Salt Way that have been represented in mass media and blogs. It contains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nalyzes media release on the district of Yeomni-dong, so as to present the changes in social discourse and its resulting local images. Second, it categorizes local images which amateur photographers captured and displayed in their blogs, so as to understand how citizens view and experience Salt Way. Third, it compares local images represented in mass media and blogs with those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ocal image promoted by mass media and blogs may be false. Yeomni-dong has been described as a redevelopment district afflicted with economic plight and crimes. Since the creation of Salt Way, however, it appeared to be reborn as a model case where a small physical change can strengthen social cohesion and fix all social problems in a few months. Housing insecurity and fear of crimes still remain in Yeomni-dong Salt Way, with redevelopment and eviction impending. This study argue that the city of Seoul “implement”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not to be distracted by “showing”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호상, "커뮤니티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방법론 연구 - 서울시 범죄 예방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4 : 371-384, 2013

      2 김진명, "주민분쟁 예방 최우수 사례 ‘아현뉴타운’"

      3 강승규, "주민만 쏙 뺀 마포구 지방자치"

      4 김상훈, "주민갈등 풀면서 사업에 가속도"

      5 박수현, "주거, 상업, 놀이시설 모인 복합생활문화지로"

      6 정종오, "좁고 어둡고 두려웠던 서울 골목길 ... 대변신 시작되다"

      7 이훈성, "재개발 조합장 100억 꿀꺽"

      8 서미숙, "재개발 재건축 수주전 달아오른다"

      9 이군호, "재개발 재건축 수주시장 “총성 없는 전쟁”"

      10 이상우, "장안구청장이 마포 소금길을 찾은 까닭은"

      1 이호상, "커뮤니티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방법론 연구 - 서울시 범죄 예방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4 : 371-384, 2013

      2 김진명, "주민분쟁 예방 최우수 사례 ‘아현뉴타운’"

      3 강승규, "주민만 쏙 뺀 마포구 지방자치"

      4 김상훈, "주민갈등 풀면서 사업에 가속도"

      5 박수현, "주거, 상업, 놀이시설 모인 복합생활문화지로"

      6 정종오, "좁고 어둡고 두려웠던 서울 골목길 ... 대변신 시작되다"

      7 이훈성, "재개발 조합장 100억 꿀꺽"

      8 서미숙, "재개발 재건축 수주전 달아오른다"

      9 이군호, "재개발 재건축 수주시장 “총성 없는 전쟁”"

      10 이상우, "장안구청장이 마포 소금길을 찾은 까닭은"

      11 한준규, "음산한 골목길 ‘범죄 막는 노란색’ 입다"

      12 무지개반사, "염리동 소금마을 이야기" 이매진 2009

      13 서울시, "염리동 소금길에서 24시간 주민거점공간 ‘소금나루’ 개관"

      14 박종일, "염리동 소금길에 마포 황부자 뜬다"

      15 김예성, "염리동 소금길, 주민 생활에 소금이 되다"

      16 스증스증, "염리동 소금길 걷기"

      17 이승욱, "염리동 소금길"

      18 박기용, "염리동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지역 선정"

      19 김경현, "염리동 골목길, 디자인으로 범죄예방"

      20 윤경현, "아현뉴타운 염리3구역 1651가구 건립"

      21 이종배, "아현 뉴타운 복합생활문화타운 변모"

      22 메죵, "시간이 느린 동네 염리동 소금길 출사"

      23 이봉현, "소통하고 배려하는 도시, 2030년 서울 미래상이죠"

      24 이승주, "소금마을 전국 각지서 벤치마킹 쇄도"

      25 박종현, "소금길 따라 마을 곳곳서 이벤트"

      26 김명지, "세입자 울리는 재개발 주거이전비"

      27 박경래,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사업의 예비 효과성 분석" 형사정책연구원 84-89, 2013

      28 김영신,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효과 거뒀다”"

      29 강철원, "서울 염리동 재개발 조합에 10억 뿌린 삼성물산 2명 구속"

      30 고수현, "서울 마포구 염리동 마을공동체 ‘소금마을’ 눈길"

      31 김귀련, "서비스디자인 평가모델 SDES의 확장과 적용사례 연구 - 마포구 염리동 소금길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155-164, 2014

      32 신상영, "생활안전을 위한 도시환경 개선전략" 서울연구원 2012

      33 경돌짱, "사진과 함께 하는 골목길 산책 – 염리동 소금길 걷기"

      34 신의기,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 방안(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35 유광흠,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지침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36 김서연, "범죄예방디자인 효과 톡톡 서울시 행운동 등 3곳 추가지정"

      37 유광흠,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업 현황 및 제도 개선 방향" 105 : 1-8, 2015

      38 박승규, "바뀐 양도세 감면 법안, 마포권 수혜 단지 ‘웃음’"

      39 배경환, "바꾸고 늘리고 ... 재개발의 재발견"

      40 라온, "마포구 염리동 ‘소금길’ 트레킹"

      41 이동영, "마포구 염리 3구역 25층 아파트 건립"

      42 진영태, "마포 재개발 급물살"

      43 류민, "마포 염리동 소금길 나홀로 출사"

      44 문주영, "디자인, 범죄를 예방하다"

      45 이해주, "디자인 서울거리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CPTED 적용 연구" 서울연구원 16 (16): 149-164, 2015

      46 이건호, "덫에 걸린 ‘재개발의 꿈’ 비리 소송만 남아"

      47 블랙하우스, "느린 골목길 – 걷기 좋은 염리동 소금길"

      48 강다영, "노란색 경보등 ... 범죄예방디자인 효과있네"

      49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50 냥이, "골목길에서 출사지로 변신: 염리동 소금길"

      51 이종원, "검찰, 아현뉴타운 염리3구역 조합장 구속"

      52 박혜숙, "걷기도 무서웠던 염리동길, 디자인으로 살맛난다!"

      53 조영진, "건축물의 범죄예방 기준 의무 적용과 향후 과제" 16 : 80-86, 2014

      54 김지훈, "개발 지연 우범 지역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

      55 김보형, "가격 뚝뚝 떨어지는 대형 대신 소형 2채 받자"

      56 "http://romi0606.blog.me/220464220922"

      57 "http://blog.naver.com/younga2735/220492356564"

      58 "http://blog.naver.com/seungsook74/220404653074"

      59 "http://blog.naver.com/seojeong8024/220490004305"

      60 "http://blog.naver.com/ryu_min_312/220452590664"

      61 "http://blog.naver.com/maizon/22031783549"

      62 Jacobs, Jane,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Vintage Books 1961

      63 민동훈, "GS건설 염리3구역 재개발 수주 ... 총사업비 3000억 규모"

      64 Newman, Oscar,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Macmillan Publishing 1973

      65 Schneider, Stephen, "Crime Prevention: Theory and Practice" CRC Press 2015

      66 Crowe, Timothy 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National Crime Prevention Institute 2000

      67 Jeffery, Ra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age Publications 1971

      68 Wilson, James Q, "Broken Windows: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249 (249): 29-38, 1982

      69 김지훈, "'범죄예방디자인' 범죄 두려움 낮추고 동네에 대한 애착 향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Urban Humanit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도시인문학연구소
      영문명 :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Urban Humanit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9 1.0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